도로교통법위반,범인도피

사건번호:

95도577

선고일자:

1995090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범자의 범인도피행위 도중에 기왕의 범인도피상태를 이용하여 스스로 범인도피행위를 계속한 자에 대하여 범인도피죄의 공동정범이 성립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범인도피죄는 범인을 도피하게 함으로써 기수에 이르지만 범인도피행위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범죄행위도 계속되고 행위가 끝날 때 비로소 범죄행위가 종료되고, 공범자의 범인도피행위의 도중에 그 범행을 인식하면서 그와 공동의 범의를 가지고 기왕의 범인도피상태를 이용하여 스스로 범인도피행위를 계속한 자에 대하여는 범인도피죄의 공동정범이 성립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30조 , 제15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이재성 【원심판결】 창원지방법원 1995.2.10. 선고 94노1413 판결 【주 문】 피고인들의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피고인 1에 대하여, 원심의 설시에 다소 미흡한 점이 없지 아니하나, 원심은 피고인 1이 공범자들과 범인도피의 사전공모를 하였다고 하여 공모공동정범의 성립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 공범자들과 공동하여 범인도피의 실행행위를 하였다고 하여 공동정범의 성립을 인정한 취지로 보이므로,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범인도피죄는 범인을 도피하게 함으로써 기수에 이르지만 범인도피행위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범죄행위도 계속되고 행위가 끝날 때 비로소 범죄행위가 종료된다고 할 것이고, 공범자의 범인도피행위의 도중에 그 범행을 인식하면서 그와 공동의 범의를 가지고 기왕의 범인도피상태를 이용하여 스스로 범인도피행위를 계속한 자에 대하여는 범인도피죄의 공동정범이 성립한다고 할 것이다. 원심판시와 같이 피고인 2, 원심공동피고인 1, 2가 서로 공모하여 위 원심공동피고인 2가 이 사건 사고를 낸 운전사인 양 수사관서에 허위신고한 후 진범인 원심 공동피고인 3이 자수하기 전에, 피고인 1이가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면서, 위 원심공동피고인 2와 3을 만나 판시와 같은 행위를 하였다면, 비록 동 피고인이 다른 공범자들과 사전에 범인도피의 공모를 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그들과 공동의 범인도피의 범의를 가지고 기왕의 범인도피상태를 이용하여 스스로 범인도피의 실행행위를 계속한 것으로서 범인도피죄의 공동정범이 성립된다고 할 것이다. 논지는 동 피고인의 행위가 이미 범인도피행위가 완료된 후의 행위로서 범인도피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나 받아들일 수 없다. 2. 피고인 2에 대하여,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 2에 대한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조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결국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선택과 사실인정을 비난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여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김석수 정귀호(주심) 이돈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 동승자의 도주, 처벌 가능할까?

교통사고 후 운전자가 아닌 동승자가 운전자와 함께 도주했다고 해서, 동승자를 뺑소니의 공범으로 처벌하기는 어렵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교통사고#동승자#도주#뺑소니

형사판례

뺑소니? 아니라고요! 동승자 허위신고했지만 무죄받은 사례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가 동승자를 운전자라고 허위 신고했더라도, 사고 현장을 떠나지 않고 보험 접수 및 경찰 조사에 협조했다면 뺑소니(도주차량)로 처벌할 수 없다.

#뺑소니#허위신고#현장이탈#도주차량

형사판례

끙... 교통사고 났는데, 도주죄? 괜찮을까요?

경미한 교통사고로 피해자가 구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현장을 잠시 떠났더라도, 도주차량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교통사고#구호조치#도주차량#무죄

형사판례

뺑소니, 정말 나쁜 짓입니다!

교통사고를 내고 도주한 피고인에 대한 상고심 판결. 법원의 증인 소환에 불응하는 경우 해당 증인의 경찰 진술조서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우 교통사고 후 '도주'로 인정되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

#교통사고#도주#증인소환불응#진술조서

형사판례

뺑소니, 현장에 있어도 성립할 수 있다?!

교통사고를 낸 후 현장에 머물렀더라도 사고 사실을 부인하고 피해자 구호 없이 떠났다면 뺑소니(도주치상)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뺑소니#도주치상#사고사실 부인#구호조치 미이행

형사판례

공모, 범인도피, 그리고 고의에 대한 이야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서 허위 보고서를 작성하고 상부에 보고하여 사건을 은폐하려 한 피고인들의 행위는 범인도피죄에 해당한다. 범인도피죄의 공모는 범죄 실행 의사의 합치만으로 성립하며, 도피 행위는 수사를 방해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범인도피죄 성립에 있어서 범죄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범인의 인적사항 등을 모두 알 필요는 없다.

#박종철#고문치사#은폐#범인도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