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6누16254

선고일자:

199704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양도소득세 비과세 대상에서 제외되는 고급주택의 요건인 '주택의 연면적 264㎡ 이상'에의 해당 여부 판단 기준 및 주택의 연면적에 포함되는 부대시설의 범위 [2] 주택과 다른 목적 건물의 공용 부대시설에 대하여 주택의 연면적에 포함되는 부분을 계산하는 방법

판결요지

[1] 구 소득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5항 제1호 (가)목 소정의 이른바 고급주택의 요건인 '주택의 연면적이 264㎡ 이상'이라고 함은 하나의 주거용 생활단위에 제공된 건물의 연면적이 264㎡ 이상임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는 건물 전체의 경제적 용법에 따라 하나의 주거용으로 제공된 것이냐의 여부에 의하여 합목적적으로 가려져야 할 것인바, 어느 건물의 창고로 쓰여지는 부분이 구조상 독립되어 건축되어 있고 외형상 독립한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더라도 본건물인 주택의 효용과 편익을 위한 부대시설로서 하나의 주거용 생활단위로 제공된다면 이는 하나의 주거용 건물의 일부로 보아 그 면적은 위 주택의 연면적에 포함되어 계산되어야 한다. [2] 주택의 연면적 계산에 포함되는 건물의 부대시설이 주택과 다른 목적의 건물의 공용 부대시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부대시설은 이를 주택 부분과 다른 목적의 건물의 면적비율에 따라 안분계산하여 주택의 면적에 상응하는 부분만큼은 주택의 면적으로 산입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1] 구 소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6호 (자)목( 현행 제89조 제3호 참조) , 구 소득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5항 제1호 (가)목( 현행 제156조 제1호 가목 참조) / [2] 구 소득세법(1994. 12. 22. 법률 제480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6호 (자)목( 현행 제89조 제3호 참조) , 구 소득세법시행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5항 제1호 (가)목( 현행 제156조 제1호 가목 참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누4805 판결(공1992, 804) /[2] 대법원 1984. 4. 24. 선고 83누695 판결(공1984, 1032), 대법원 1987. 9. 8. 선고 87누471 판결(공1987, 1587), 대법원 1992. 5. 12. 선고 90누677 판결(공1992, 1903)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홍병희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현태) 【피고,피상고인】 부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9. 20. 선고 95구20715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소득세법시행령 (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 제5항 제1호 (가)목 소정의 이른바 고급주택의 요건인 '주택의 연면적이 264㎡ 이상'이라고 함은 하나의 주거용 생활단위에 제공된 건물의 연면적이 264㎡ 이상임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는 건물 전체의 경제적 용법에 따라 하나의 주거용으로 제공된 것이냐의 여부에 의하여 합목적적으로 가려져야 할 것인바, 어느 건물의 창고로 쓰여지는 부분이 구조상 독립되어 건축되어 있고 외형상 독립한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하더라도 본건물인 주택의 효용과 편익을 위한 부대시설로서 하나의 주거용 생활단위로 제공된다면 이는 하나의 주거용 건물의 일부로 보아 그 면적은 위 주택의 연면적에 포함되어 계산되어야 할 것 이고( 대법원 1991. 12. 27. 선고 91누4805 판결 참조), 주택의 연면적 계산에 포함되는 건물의 부대시설이 주택과 다른 목적의 건물의 공용 부대시설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부대시설은 이를 주택 부분과 다른 목적의 건물의 면적비율에 따라 안분계산하여 주택의 면적에 상응하는 부분만큼은 주택의 면적으로 산입하여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2. 5. 12. 선고 90누677 판결 등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각 건물들 중 이 사건 창고 1동과 이 사건 3층 건물의 3층 창고 부분을 주택과 점포의 공용 부대시설로 보고 그 면적을 주택 부분과 점포 부분의 면적비율에 따라 안분계산하여 주택의 면적에 상응하는 부분만큼은 주택의 면적으로 산입한 결과 주택의 연면적이 264㎡ 이상이 된다고 하여 이 사건 각 건물을 고급주택으로 본 것은 정당하고, 이 사건 창고 1동이 낡은 건물로서 사용불능 상태에 있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법리오해 및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그리고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판례는 소득세법시행령 제15조 제1항, 제3항의 비과세 대상인 1세대 1주택의 범위에 관한 것으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치 않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인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고급주택, 100평 기준에 창고랑 차고도 포함될까?

고급주택 여부를 판단하는 주택 연면적 계산 시, 주택의 효용과 편익을 위한 부대시설(창고, 차고 등)은 주택 연면적에 포함된다.

#주택 연면적#부대시설 포함#고급주택#소득세법

민사판례

다락방 면적, 고급주택 취득세 계산에 포함될까?

아파트에 딸린 다락방이 실제로 주거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락방 면적도 고급주택 여부를 판단하는 연면적에 포함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건축법상 연면적 계산 방식이 아니라, 실제 주거용으로 사용 가능한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다락방#고급주택#취득세#중과세

세무판례

고급주택 취득세 중과, 대체 대지 면적은 어떻게 계산할까?

고급주택에 대한 취득세 중과 여부를 판단할 때, '대지'는 단순히 1필지의 토지나 소유자가 같은 토지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주택과 경제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사회통념상 주거생활 공간으로 인정되는 모든 토지를 포함한다.

#고급주택#취득세 중과#대지#경제적 연결

세무판례

집 일부를 가게로 쓰면 고급주택 세금을 피할 수 있을까?

한 건물에 주거용과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이 섞여 있을 경우, 고급주택 여부를 판단할 때 실제로 주거용으로 쓰이는 부분의 면적만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고급주택#실제 주거면적#지방세#판례

세무판례

고급오락장 취득세 중과, 면적은 어떻게 계산할까?

건물의 일부만 고급오락장(나이트클럽, 룸살롱 등)인 경우, 취득세 중과세율을 적용하는 면적은 고급오락장 전용 면적에 고급오락장과 다른 용도가 함께 쓰는 공용 면적의 일부를 더해서 계산합니다.

#취득세#중과세#고급오락장#공용면적

세무판례

아파트 지하주차장 면적, 취득세 계산에 포함될까?

아파트 지하주차장 면적도 고급주택 여부를 판단하는 연면적 계산에 포함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개별적으로 지정된 주차 공간이 없더라도,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지하주차장은 아파트의 효용을 높이는 부대시설이므로 주택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고급주택#취득세 중과#지하주차장 면적#연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