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6다39219
선고일자:
199611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시공상의 잘못으로 발생한 공작물의 하자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민법 제758조가 공작물 시공자의 피해자에 대한 민법 제750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배제하는 규정인지 여부(소극)
민법 제758조는 공작물의 설치·보존의 하자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그 점유자 또는 소유자에게 일반 불법행위와 달리 이른바 위험책임의 법리에 따라 책임을 가중시킨 규정일 뿐이고, 그 공작물 시공자가 그 시공상의 고의·과실로 인하여 피해자에게 가한 손해를 민법 제750조에 의하여 직접 책임을 부담하게 되는 것을 배제하는 취지의 규정은 아니다.
민법 제750조, 제758조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6. 7. 25. 선고 94나33773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사고경위에 대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와 같은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민법 제758조는 공작물의 설치·보존의 하자로 인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그 점유자 또는 소유자에게 일반 불법행위와 달리 이른바 위험책임의 법리에 따라 책임을 가중시킨 규정일 뿐이고, 그 공작물 시공자가 그 시공상의 고의·과실로 인하여 피해자에게 가한 손해를 민법 제750조에 의하여 직접 책임을 부담하게 되는 것을 배제하는 취지의 규정이 아니다 .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논지와 같은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민사판례
건물 공사에서 하자가 발생했을 때, 공사업자의 책임이 원칙적으로 인정되지만, 건축주에게도 하자 발생이나 확대에 기여한 과실이 있다면 법원은 이를 고려하여 손해배상액을 정해야 한다.
상담사례
하수급인의 하자 발생 시 원칙적으로 수급인 책임이나, 건축주의 하도급 동의, 하수급인의 고의성 등에 따라 책임 범위가 달라지며, 필요시 수급인과 하수급인 모두에게 손해배상 청구 가능하다.
상담사례
건축주가 잘못된 공법을 지시했더라도 시공사가 그 부적절함을 알고도 알리지 않아 하자가 발생하면 시공사가 책임을 져야 한다.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로 입주민들이 건설사가 아닌 분양사(주택공사)를 상대로 소송을 걸어 승소했고, 분양사는 입주민들에게 하자보수 비용과 지연이자를 지급했습니다. 이후 분양사는 시공사에게 구상권을 행사했는데, 대법원은 시공사가 하자보수 비용은 물어줘야 하지만, **지연이자는 분양사가 늦게 배상해서 발생한 것이므로 시공사가 책임질 필요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상담사례
건설현장에서 동업자가 고용한 작업자의 사고에 대해, 업무를 일임한 동업자도 대리인에 대한 사용자 책임을 져야 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책임 범위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된다.
상담사례
도로 포장공사 하자로 인한 사고 발생 시, 공사 대행 여부와 관계없이 시청과 정부 모두 도로 관리 책임이 있으며, 따라서 사고 피해에 대한 책임을 공동으로 부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