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

사건번호:

96도1049

선고일자:

199606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 사실에 대하여 운전자를 비난할 수 없는 객관적 사정이 있는 경우 운전자에게 과실이 있는지 여부(소극) [2] 중앙선을 침범한 운전자에게 과실이 있다고 판단한 사례

판결요지

[1] 운전자가 진행차선에 나타난 장애물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겨를이 없었다거나, 자기 차선을 지켜 운행하려고 하였으나 운전자가 지배할 수 없는 외부적 여건으로 말미암아 어쩔 수 없이 중앙선을 침범하게 되었다는 등 중앙선 침범 자체에 대하여 운전자를 비난할 수 없는 객관적인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운행하였다 하더라도 그 중앙선 침범 자체만으로 그 운전자에게 어떠한 과실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2] 피해자가 운전하는 승용차가 중앙선에 근접하여 운전하여 오는 것을 상당한 거리에서 발견하고도 두 차가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진행하다가 두 차가 매우 가까와진 시점에서야 급제동 조치를 취하며 조향장치를 왼쪽으로 조작하여 중앙선을 넘어가며 피해자의 승용차를 들이받은 경우 피고인에게 과실이 있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제2호 / [2]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88. 3. 22. 선고 87도2171 판결(공1988, 728), 대법원 1990. 9. 25. 선고 90도536 판결(공1990, 2217), 대법원 1991. 10. 11. 선고 91도1783 판결(공1991, 2764), 대법원 1994. 9. 27. 선고 94도1629 판결(공1994하, 2916)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양동학 【원심판결】 광주지법 1996. 4. 8. 선고 95노94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운전자가 진행차선에 나타난 장애물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겨를이 없었다거나, 자기 차선을 지켜 운행하려고 하였으나 운전자가 지배할 수 없는 외부적 여건으로 말미암아 어쩔 수 없이 중앙선을 침범하게 되었다는 등 중앙선 침범 자체에 대하여 운전자를 비난할 수 없는 객관적인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운행하였다 하더라도 그 중앙선 침범 자체만으로 그 운전자에게 어떠한 과실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당원 1994. 9. 27. 선고 94도1629 판결 참조). 그러나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관계 증거를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피고인은 피해자 이상남이 운전하는 승용차가 중앙선에 근접하여 운전하여 오는 것을 상당한 거리에서 발견하고도 두 차가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진행하다가 두 차가 매우 가까와진 시점에서야 급제동 조치를 취하며 조향장치를 왼쪽으로 조작하여 중앙선을 넘어가며 피해자의 승용차를 들이받았다고 하는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이 가고 여기에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그와 같은 사실관계라면 피고인에게 과실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원심의 조처도 옳다고 할 것이다.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김석수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무조건 가해자일까?

단순히 사고 발생 지점이 중앙선 너머라고 해서 무조건 중앙선 침범 사고로 보는 것은 아닙니다. 운전자의 잘못으로 중앙선을 넘어 사고가 발생해야 중앙선 침범 사고로 인정됩니다. 다른 차량에 의해 밀려서 중앙선을 넘어 발생한 사고는 중앙선 침범 사고가 아닙니다.

#중앙선 침범#교통사고#운전자 과실#부득이한 사유

민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누구의 잘못일까?

마주 오는 차가 중앙선을 침범하는 것을 미리 봤다면, 사고를 피할 수 있었는지 판단해서 상대 차량 운전자의 과실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단순히 과속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과실이 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중앙선 침범#과실 판단#회피 가능성#과속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무조건 운전자 잘못일까?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중앙선을 침범하여 사고가 났을 경우, 중앙선 침범 자체만으로 운전자의 과실을 인정할 수는 없다는 판결.

#중앙선 침범#불가피성#운전자 과실#파기환송

민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과속차량의 책임은?

중앙선을 넘어온 차와 과속 차량이 충돌했을 때, 과속 차량에게도 책임이 있을까요? 단순히 과속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책임을 물을 수 없고, 과속하지 않았다면 사고를 피할 수 있었는지가 핵심입니다.

#중앙선 침범#과속#사고 책임#인과관계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교통사고, 상대방 과실도 따져봐야 할까?

교통사고 재판에서 검사가 주장한 내용(공소사실)과 법원이 인정한 내용(범죄사실)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핵심적인 사실이 같고 피고인의 방어권에 문제가 없다면 유죄 판결이 가능하다.

#교통사고#공소사실#범죄사실#불일치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사고, 무조건 12대 중과실인가요?

중앙선 침범 사고는 반대편 차량 운전자의 신뢰를 저버린 경우에만 처벌한다는 주장은 잘못됐다는 판결입니다. 중앙선 침범 자체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라면, 상대방 운전자의 예측 가능성이나 신뢰 여부와 관계없이 처벌 대상이 됩니다.

#중앙선 침범#처벌#신뢰원칙#직접적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