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법위반

사건번호:

96도2719

선고일자:

199702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건축물의 무허가 용도변경 후 이를 계속 사용하는 행위가 무허가 용도변경행위와는 별도로 건축물 유지·관리의무 위반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2] 무허가 용도변경행위에 대한 형사재판의 기판력이 용도변경행위 이후의 건축물 유지·관리의무 위반행위에도 미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건축법 제26조 제1항은 "건축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그 건축물·대지 및 건축설비를 항상 이 법 또는 이 법의 규정에 의한 명령이나 처분과 관계 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관리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건축허가 등에 관한 관계 법령에 비추어 보면 건축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게는 건축물을 원래 허가받은 '용도' 그대로 계속 유지할 의무가 부과되어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한 후 이를 계속 사용하는 행위는 건축법 제79조 제4호, 제26조 제1항의 규정에 위반된다. [2] 건축물 유지·관리의무 위반행위는 계속범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어서 건축물을 원래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회복시키지 않는 한 가벌적 위법상태는 계속되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어느 시점에서 동일한 건축물에 관한 무허가 용도변경행위에 대하여 형사재판을 받은 일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에 건축물 유지·관리의무 위반행위가 계속되었다면 이는 별도의 범죄를 구성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 형사재판의 기판력은 그 이후의 범행에 미치지 않는다.

참조조문

[1] 건축법 제26조 제1항 , 제79조 제4호 / [2] 형사소송법 제326조 , 건축법 제26조 제1항 , 제79조 제4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5. 11. 24. 선고 94도3089 판결(공1996상, 297)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이현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6. 10. 2. 선고 96노460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건축법 제26조 제1항은 "건축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그 건축물·대지 및 건축설비를 항상 이 법 또는 이 법의 규정에 의한 명령이나 처분과 관계 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관리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건축허가 등에 관한 관계 법령에 비추어 보면 건축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게는 건축물을 원래 허가받은 '용도' 그대로 계속 유지할 의무가 부과되어 있다고 보아야 하므로,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한 후 이를 계속 사용하는 행위는 건축법 제79조 제4호, 제26조 제1항의 규정에 위반된다 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대법원 1995. 11. 24. 선고 94도3089 판결 참조). 그리고 위 건축물 유지·관리의무 위반행위는 계속범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어서 건축물을 원래의 기준에 적합하도록 회복시키지 않는 한 가벌적 위법상태는 계속되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어느 시점에서 동일한 건축물에 관한 무허가 용도변경행위에 대하여 형사재판을 받은 일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에 건축물 유지·관리의무 위반행위가 계속되었다면 이는 별도의 범죄를 구성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 형사재판의 기판력은 그 이후의 범행에 미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피고인들의 이 사건 범행을 건축법 제79조 제4호, 제26조 제1항 위반으로 처벌한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위 죄의 성립과 기판력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일사부재리의 원칙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지창권 신성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 뭘까요? 처벌과 공소시효에 대한 법원 이야기

건축물의 무단 용도변경은 계속되는 범죄이므로 공소시효가 진행되지 않지만, 관련 법률 개정 및 위헌 결정으로 시기별로 적용 법률과 유무죄 판단을 달리해야 한다.

#건축물#무단 용도변경#공소시효#계속범

형사판례

건물 용도 변경, 생각보다 훨씬 넓은 범위! 무허가 용도변경, 처벌받을 수 있어요!

건물의 사용 목적을 바꾸는 것도 건축법상 '용도변경'으로 보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히 건물 구조를 바꾸는 것뿐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이전 소유자가 무허가로 용도를 바꾼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건축물 용도변경#허가#건축법 위반#무단 용도변경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 승계인도 책임 있다?

건물 용도를 허가 없이 변경한 후 매도하면, 매수인이 그 변경된 용도로 계속 사용하는 것 역시 건축법 위반입니다.

#건물 용도변경#승계인#위법#건축법 위반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과 관련된 법률 이야기

무허가로 대학교 부설 사회복지대학을 설립하고 건물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한 행위에 대해, 단순히 법을 몰랐다는 주장만으로는 처벌을 피할 수 없다는 판결.

#무허가 대학설립#건물 용도변경#법률 무지#처벌

일반행정판례

건물 용도 바꿨는데, 신고 안 하면 불법일까요? 🏢

건물 용도를 바꿨는데, 법이 바뀌기 전에는 신고 대상이 아니었지만 건축물대장 변경 신청 대상이었음. 소유자가 이를 하지 않았는데 법이 바뀌어 신고 대상이 되었고, 이에 따라 시정명령과 이행강제금이 부과되었는데, 이는 적법함.

#건축물 용도변경#미신고#이행강제금#적법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 꼭 공사해야 하나요? 무신고 용도변경은 언제 처벌받나요?

건물의 용도를 변경할 때는 실제로 공사를 하지 않더라도 관할 관청에 신고해야 하며, 신고 없이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면 건축법 위반입니다. 만약 공사를 수반한 용도 변경이라면, 신고 없이 공사를 시작하는 순간 범죄가 성립합니다.

#건물 용도변경#신고 의무#건축법 위반#무신고 용도변경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