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증재등)·뇌물공여{인정된 죄명 :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증재등)}

사건번호:

96도3325

선고일자:

199704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항소이유서 제출의 효력발생 시기

판결요지

항소이유서는 적법한 기간 내에 항소법원에 도달하면 되는 것으로, 그 도달은 항소법원의 지배권 안에 들어가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면 되고 나아가 항소법원의 내부적인 업무처리에 따른 문서의 접수, 결재과정 등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361조의3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76. 3. 23. 선고 75도3312 판결(공1976, 9111), 대법원 1984. 10. 11.자 84모57 결정(공1985, 44), 대법원 1986. 9. 23. 선고 85누757 판결(공1986, 2962)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11. 28. 선고 96노1917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인 1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피고인 2에 대한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항소이유서는 적법한 기간 내에 항소법원에 도달하면 되는 것으로, 그 도달은 항소법원의 지배권 안에 들어가 사회통념상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면 되고 나아가 항소법원의 내부적인 업무처리에 따른 문서의 접수, 결재과정 등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에 대한 검사의 항소이유서(1996. 10. 16. 원심법원에 접수된 것과는 다른 것임)가 이 사건 소송기록이 원심법원에 접수된 1996. 9. 6. 이후로서 검사에게 소송기록접수통지가 송달된 같은 달 23.보다 앞서 같은 달 11. 원심법원에 접수된 사실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비록 그것이 원심재판부에 송부되지 아니하였다고 하더라도 검사는 적법한 기간 내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였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검사가 적법한 기간 내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형사소송법 제361조의4 제1항을 적용하여 피고인들에 대한 검사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있으므로 원심판결은 파기를 면할 수 없다 할 것이다. 그러나 피고인 2에 대하여는 검사가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를 제기한 후 그러한 취지의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였다는 것인데 같은 피고인에 대하여 원심이 그의 항소를 받아들여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제1심판결의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이유로 이를 파기하고 벌금형을 선고하고 있으므로 같은 피고인에 대한 검사의 항소는 어차피 기각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같은 피고인에 대한 원심의 위와 같은 위법은 판결 결과에 영향이 없다고 할 것이므로 이는 원심판결을 파기할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인 1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고, 검사의 피고인 2에 대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박만호 김형선 이용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항소했지만 이유서 안 내면 어떻게 될까?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피고인과 검사 둘 다 항소했지만, 피고인이 항소이유서를 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아 항소가 기각된 경우, 피고인은 상고할 때 사실관계나 증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항소이유서 미제출#상고이유 제한#사실오인/법리오해 주장 불가#상고기각

상담사례

항소, 어디에 제출해야 할까요? - 항소 기간과 법원에 대한 오해 풀기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하려면 2주 이내에 1심 판결을 내린 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해야 하며, 잘못된 법원에 제출하면 항소는 효력이 없다.

#항소#항소기간(2주)#항소장 제출처(1심 법원)#잘못된 제출(효력 없음)

형사판례

항소이유서 제출기한 놓치면 어떻게 될까?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지만, 정해진 기간 내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나중에 대법원에 상고할 때 사실오인이나 증거 판단의 잘못을 이유로 다툴 수 없습니다.

#항소이유서#제출기간 도과#상고#사실오인

형사판례

항소이유서는 법원에 직접! 구치소 제출은 인정 안 돼요!

항소이유서는 정해진 기간 안에 법원에 직접 제출해야 효력이 있으며, 구치소에 제출한 것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항소이유서#법원 직접 제출#구치소 제출 무효#기간 준수

민사판례

항소는 어디에, 언제까지 해야 할까요?

항소는 정해진 기간 안에 1심을 진행했던 법원에 제출해야 유효하며, 다른 법원에 제출하면 효력이 없습니다. 또한, 같은 지역의 지원(예: 서울민사지방법원과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이라도 별개의 법원으로 취급됩니다.

#항소#1심 법원 제출#효력#지원

형사판례

항소이유서 부본 송달 안 됐는데, 재판은 유효할까?

항소이유서 사본이 상대방에게 전달되지 않았더라도, 상대방이 재판에 참석하여 별다른 이의 제기 없이 재판 절차에 협조했다면 문제가 없다는 판결.

#항소이유서#부본송달#미송달#재판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