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6도3346

선고일자:

199702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의자와 당구 큐대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의 '위험한 물건'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피고인이 의자와 당구 큐대를 사용하여 피해자를 폭행한 방법에 비추어 볼 때 의자와 당구 큐대를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소정의 '위험한 물건'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김창규 【원심판결】 수원지법 1996. 11. 28. 선고 96노179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8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유】 피고인과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채용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피고인의 이 사건 범죄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피고인이 의자와 당구 큐대를 사용하여 피해자를 폭행한 방법에 비추어 볼 때 의자와 당구 큐대를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 소정의 위험한 물건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의 판단도 정당 하고, 이 사건과 같이 징역 1년 6월의 형이 선고된 판결에 대하여는 형의 양정이 부당함을 들어 상고이유로 할 수 없는 것이므로, 논지는 모두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최종영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농약과 당구큐대로 폭행... 위험한 물건일까요?

농약을 먹이려 하고 당구큐대로 폭행한 행위는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위반(위험한 물건 휴대 폭행)에 해당한다. 농약과 당구큐대 모두 사람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한 물건'으로 판단되었다.

#농약#당구큐대#위험한 물건#휴대 폭행

형사판례

당구큐대로 때린 것도 '위험한 물건'에 의한 폭행일까?

당구큐대로 사람을 때렸다고 해서 무조건 '위험한 물건'을 사용한 특수폭행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 상황에 따라 사회통념상 위험하다고 볼 수 있는지 판단해야 한다.

#당구큐대#특수폭행#위험한 물건#사회통념

형사판례

당구공, 위험한 물건일까요? 폭행 사건에서 '위험한 물건' 판단 기준

당구공으로 상대방의 머리를 때렸더라도,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에서 말하는 '위험한 물건'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당구공#위험한 물건#폭처법#상해

형사판례

자동차로 사람을 들이받으면 '위험한 물건' 휴대 폭행죄?

자동차처럼 사람에게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물건을 이용한 폭행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위반(위험한 물건 휴대 폭행)에 해당한다. '휴대'는 단순히 소지하는 것 뿐 아니라 널리 이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자동차 폭행#위험한 물건#휴대#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형사판례

깨진 맥주병, 항아리 조각, 부러진 걸레자루도 '위험한 물건'일까요?

깨진 맥주병, 항아리 조각, 부러진 걸레자루처럼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는 물건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에서 말하는 "위험한 물건"에 해당한다.

#위험한 물건#깨진 맥주병#항아리 조각#부러진 걸레자루

형사판례

싸움 현장에 흉기가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가중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범죄 현장에서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범행에 사용할 의도로 가지고 있었다면, 실제로 사용하지 않았거나 피해자가 그 사실을 몰랐더라도 '휴대'한 것으로 보고 가중처벌 대상이 된다.

#흉기 휴대#사용 의도#가중처벌#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