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허관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7누17155

선고일자:

19990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입전량에 대하여 구 관세법 제16조 제1항 소정의 할당관세율이 적용되는 경우, 구 관세법시행령 제4조의25 제3항 소정의 주무부장관 등의 할당관세 추천 없이도 할당관세율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구 관세법(1996. 12. 30. 법률 제5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 제1항, 제3항, 구 관세법시행령(1996. 5. 4. 대통령령 제149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의25 제3항의 규정 내용을 종합해 보면, 구 관세법 제16조 제1항 후문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을 물품의 수량을 제한한 경우에는, 그 물품을 수입한 자들에 대하여 제한된 일정수량의 범위 내에서 이를 분배하여야 하므로 주무부장관 등의 추천 절차에 의하여 공정하게 할당수량을 정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게 할 필요가 있으나,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을 물품을 일정수량으로 제한하지 아니하고 그 수입전량에 대하여 할당관세율을 적용하도록 규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추천 절차에 의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대상 수량을 분배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무부장관 등의 추천 여부와 상관없이 할당관세율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또한 추천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구 관세법시행령 제4조의25 제3항의 규정도 '일정수량의 할당'을 전제로 하고 있어 수입전량에 대하여 할당관세율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한계수량을 수입전량으로 규정한 물품의 수입은 주무부장관 등의 할당관세 추천을 받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할당관세율이 적용된다.

참조조문

구 관세법(1996. 12. 30. 법률 제5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조 , 제16조 , 구 관세법시행령(1996. 5. 4. 대통령령 제149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의25 제3항(현행 제4조의29 제3항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 9. 27. 선고 82누275 판결(공1983, 1600)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주식회사 이조농수산 (소송대리인 변호사 나병인 외 1인) 【피고,피상고인】 인천세관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8. 29. 선고 96구23841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1995. 5. 9.자 과세처분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보충상고이유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1995. 1. 23. 식용대두 34t을 수입한 후 같은 해 2. 18. 관세율표상의 품목번호 0713.39(건조한 채두류 기타)에 해당하는 것으로 수입신고를 하고 그 수입가격 금 8,130,547원에 기본세율 30%를 적용하여 관세 금 2,439,160원을 신고납부한 사실, 피고는 같은 해 5. 9. 위 식용대두가 품목번호 1201.00(대두)에 해당한다고 보아 관세와무역에관한일반협정등에의한양허관세규정개정령(1994. 12. 31. 대통령령 제14465호)에서 정하는 시장 접근물량 초과분에 대한 양허관세율 535.6%를 적용하여 원고에게 관세 금 45,218,840원의 부과처분(이하 이 사건 과세처분이라 한다)을 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식용대두의 수입에 대하여는 양허관세율에 우선하는 관세법제16조의규정에의한할당관세의적용에관한규정중개정령(1995. 1. 3. 대통령령 제14510호)에서 정하는 할당관세율 2%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기 위하여는 주무부장관의 할당관세추천요령 공고 여부를 불문하고 그 할당관세 추천을 받아야 하는 것인데, 원고는 이 사건 식용대두를 수입함에 있어 농림수산부장관의 할당관세 추천을 받지 아니하였으므로 할당관세율이 적용될 수 없다고 하여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2. 구 관세법(1996. 12. 30. 법률 제51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 제1항은 할당관세에 관하여, 물자수급의 원활을 위하여 특정물품의 수입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수입가격이 급등한 물품 또는 이를 원재료로 한 제품의 국내가격의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및 유사물품 간의 세율이 현저히 불균형하여 이를 시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기본세율에서 100분의 40을 감한 율의 범위 안에서 관세를 부과할 수 있고, 이 경우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수량을 제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제3항은 제1항 규정의 적용을 받을 물품·수량·세율과 적용기간 등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구 관세법시행령(1996. 5. 4. 대통령령 제149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의25 제3항은 법 제16조의 규정에 의한 일정수량의 할당은 당해 수량의 범위 안에서 주무부장관 또는 그 위임을 받은 자의 추천으로 행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할당관세의 적용에 관한 위 대통령령 제14510호에서는 1995. 6. 30.까지 수입되는 대두(품목번호 1201)에 대하여 한계수량을 '수입전량'으로 하여 2%의 할당관세율을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계 법령의 규정 내용을 종합해 보면, 위 관세법 제16조 제1항 후문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을 물품의 수량을 제한한 경우에는, 그 물품을 수입한 자들에 대하여 제한된 일정수량의 범위 내에서 이를 분배하여야 하므로 주무부장관 등의 추천 절차에 의하여 공정하게 할당수량을 정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게 할 필요가 있으나, 할당관세율의 적용을 받을 물품을 일정수량으로 제한하지 아니하고 그 수입전량에 대하여 할당관세율을 적용하도록 규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추천 절차에 의하여 할당관세율의 적용대상 수량을 분배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무부장관 등의 추천 여부와 상관없이 할당관세율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또한 추천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 위 관세법시행령 제4조의25 제3항 규정도 '일정수량의 할당'을 전제로 하고 있어 수입전량에 대하여 할당관세율을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위 시행령 규정이 적용되지 아니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한계수량을 수입전량으로 규정한 위 대통령령 제14510호의 적용을 받는 이 사건 식용대두의 수입은 그에 관하여 농림수산부장관의 할당관세 추천을 받지 아니하였다 하더라도 할당관세율이 적용된다 할 것이다. 그런데도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할당관세율의 적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이 사건 과세처분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준서(재판장) 이돈희 이임수(주심) 서성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할당관세, 유효기간 연장된 추천서도 괜찮을까?

정부가 특정 물품 수입을 장려하기 위해 세금을 깎아주는 할당관세 제도에서, 할당관세 연장이 예정된 경우, 추천서 유효기간을 연장해서 발급해도 문제없다.

#할당관세#추천서#유효기간#연장

민사판례

수입 통관 시 세관의 확인 의무 범위는?

수입업자가 특정 물품 수입 시 낮은 세율(양허관세율)을 적용받기 위해 필요한 추천서를 제출하지 않았더라도, 세관은 수입신고 접수 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보완을 요구할 의무가 없다.

#양허관세율#추천서#미제출#세관

세무판례

땅콩버터 만들려고 싸게 땅콩 수입했는데, 그냥 팔았다면?

땅콩버터 제조용으로 할당관세(세금 감면) 추천을 받아 땅콩을 수입했지만, 일부를 다른 용도로 판매한 경우, 판매된 분량에 대해선 감면받았던 세금을 다시 내야 한다.

#할당관세#땅콩#관세 추징#용도 외 판매

세무판례

수입신고 시 양허관세 적용과 세관의 의무

수입업자가 할인된 세율(양허관세)을 적용받기 위한 추천서를 제출하지 않고 수입신고를 한 경우, 세관은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적법한 과세처분이다.

#수입신고#양허관세#추천서 미제출#과세처분 적법

세무판례

수입물품 관세, 어떻게 계산될까? 품목분류와 경정청구에 대한 오해와 진실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는 수입신고 시점의 물품의 객관적인 성질에 따라 물품별로 부과해야 하며, 수입 후 실제 사용 용도나 수입자의 의도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관세 경정(세금 수정) 소송에서도 수입신고 건별이 아닌 수입물품별로 과다 납부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수입물품#관세#물품별#객관적 성질

세무판례

수입 A/S 부품 할인, 관세 부과 대상일까?

기업이 수입한 A/S 부품에 적용된 할인 금액은 관세 부과 기준이 되는 과세가격에 포함되지 않는다.

#A/S 부품#관세#할인#과세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