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등

사건번호:

97누2665

선고일자:

1998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소득세법 제29조 제1항 소정의 간주임대료 계산의 대상인 임대보증금에서 제외되는 '임대사업과 관련된 차입금의 상환에 충당된 금액'에 그 이자나 연체이자의 상환액이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소득세법(1993. 12. 31. 법률 제466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1항의 위임에 의한 구 소득세법시행령(1992. 12. 31. 대통령령 제138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8조 제3항 소정의 간주임대료 산식에 의하면 임대보증금 등에 대한 정기예금이자 상당액에서 임대사업개시 후의 차입금 상환액에 대한 정기예금이자 상당액을 공제한 금액을 기초로 하여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위 임대보증금이 그 원금을 말하는 것과의 균형상 위 차입금 상환액도 그 원금 상환액만을 말하고 그에 대한 이자나 연체이자의 상환액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1993. 12. 31. 법률 제466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9조 제1항(현행 제25조 제1항 참조) , 구 소득세법시행령(1992. 12. 31. 대통령령 제138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8조 제3항(현행 제53조 제2항 참조) , 제4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최득련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성락) 【피고,피상고인】 북대구 세무서장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7. 1. 9. 선고 94구299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1991년도 귀속 종합소득세 과세표준확정신고시 그 부속서류로 제출한 합계잔액시산표에 이 사건 건물 중 그 과세기간 동안 임대중인 부분에 대한 임대보증금(이하 '이 사건 임대보증금'이라고 한다)으로 1,580,000,000원을 기재하고도 부동산소득 항목의 총수입금액에는 그에 대한 간주임대료를 산입하지 아니함으로써, 피고가 이 사건 임대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를 계산하여 원고의 부동산소득의 총수입금액에 산입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의 위 간주임대료 수입의 산입은 실지조사의 방법으로 구 소득세법(1993. 12. 31. 법률 제466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9조 제1항, 같은법시행령(1992. 12. 31. 대통령령 제138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58조 제2항, 제3항의 규정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라는 이유로, 위 간주임대료 수입의 인정이 보충자료의 제출기회를 부여하지 아니한 채 추계조사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위법하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다. 기록과 관계 법령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추계과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부분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구 소득세법 제29조 제1항은 '거주자가 부동산 또는 부동산 상의 권리 등을 대여하고 받은 보증금·전세금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의 금액(임대사업과 관련된 차입금의 상환에 충당된 금액을 제외한다)에서 발생한 수입금액이 그 보증금 등에 금융기관의 이자율을 참작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이자율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에 미달하는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산한 금액을 부동산소득금액의 계산에 있어서 총수입금액에 산입한다.'고 규정하고, 이에 따라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58조 제3항은 총수입금액에 산입할 금액의 계산 산식을 '(당해 과세기간의 임대보증금 등의 적수-임대사업개시 후의 차입금 상환액의 당해 과세기간 중 적수)×계약기간 1년의 정기예금이자율×1/365-당해 과세기간의 당해 임대사업에서 발생한 수입이자와 할인료·배당금·신주인수권처분익 및 유가증권처분이익의 합계액'으로 규정하고 있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건물 중 임대부분의 신축공사비는 350,000,000원,추가(2층개조·주차장설비)공사비는81,707,000원이고,이사건임대보증금1,580,000,000원 중, 위 공사비 총액인 431,707,000원(350,000,000원+81,707,000원) 상당액만이 그 판시와 같은 경위로 직접 공사비의 상환에 충당되거나 그 상환을 위한 차입금 원금의 상환에 충당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임대보증금 중 간주임대료 계산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금액은 위 431,707,000원뿐이라고 판단하였는바, 기록과 관계 법령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나아가, 간주임대료 계산의 대상이 되는 임대보증금에서 제외하는 차입금 상환액에는 차입금 원금의 상환액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이자나 연체이자의 상환액도 포함된다는 것이나,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위 산식에 의하면 임대보증금 등에 대한 정기예금이자 상당액에서 차입금 상환액에 대한 정기예금이자 상당액을 공제한 금액을 기초로 하여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위 임대보증금이 그 원금을 말하는 것과의 균형상 위 차입금 상환액도 그 원금 상환액만을 말하고 그에 대한 이자나 연체이자의 상환액까지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다. 상고이유의 주장은 또, 이 사건 건물의 건축공사를 위하여 원고가 자기 자금으로 지출한 비용 등도 간주임대료 계산의 대상이 되는 임대보증금에서 추가로 공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나, 이는 원심에서 내세운 바 없는 새로운 주장일 뿐만 아니라, 이 사건 건물에 관한 공사비의 총액이 431,707,000원뿐임은 앞서 본 바와 같으므로 이 사건 보증금에 대한 간주임대료의 계산에서 더 이상 공제될 공사비는 없다고 할 것이다. 이 부분 상고이유도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천경송(재판장) 지창권 신성택(주심) 송진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전세보증금 이자는 소득세 계산에서 빼줘야 할까? (간주임대료 계산)

임대보증금으로 얻은 이자소득이 간주임대료 계산 시 공제되므로, 이자소득이 간주임대료보다 많으면 간주임대료를 세금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다.

#간주임대료#이자소득#세금#공제

세무판례

임대보증금으로 건물 공사대금 갚았다면 간주임대료 계산 대상일까?

임대보증금 중 임대 부동산의 미지급 공사대금을 갚는 데 쓴 돈은 간주임대료 계산 시 임대보증금에서 빼야 한다. 왜냐하면 이는 사실상 건물 건축을 위한 대출금을 갚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간주임대료#임대보증금#공사대금#차입금

세무판례

임대보증금으로 건물 짓고 땅 샀다면, 간주임대료는 어떻게 될까?

임대사업자가 받은 임대보증금으로 임대 건물의 대지 매입이나 건물 신축 비용을 상환한 경우, 그 상환액은 간주임대료 계산에서 제외된다. 또한, 이러한 비용 상환은 임대사업 개시 전에 이루어진 경우에도 간주임대료 계산에서 제외된다.

#간주임대료#임대보증금#건물신축#대지매입

세무판례

임대보증금으로 다른 부동산 샀다고 간주임대료 안 내도 될까요?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받은 임대보증금을 다른 부동산을 사는 데 사용했다 하더라도, 그 보증금에 대해서는 '간주임대료'라는 세금을 내야 한다.

#간주임대료#임대보증금#부동산취득#과세

세무판례

임대보증금으로 건물 신축? 간주임대료 계산은 어떻게?

임대사업자가 임대용 건물을 지을 때 낸 부가가치세는 간주임대료 계산 시 공사비에서 빼주는 항목이 아니다. 사업자라면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간주임대료#부가가치세#매입세액#공사비

세무판례

임대 사업자의 자본 인출 및 저가 임대에 대한 세금 문제

임대사업자가 투자금 회수를 위해 빌린 돈의 이자도 필요경비로 인정될 수 있으며, 부당행위계산 부인 시 간주임대료는 정해진 방식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임대사업자#자본인출금#차입금 이자#필요경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