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채무금

사건번호:

97다23372

선고일자:

199709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금전소비대차 내지 담보권설정계약을 체결할 권한을 수여받은 대리인에게 계약관계를 해제할 대리권이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임의대리권은 그것을 수여하는 본인의 행위, 즉 수권행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어느 행위가 대리권 범위 내의 행위인지 여부는 개별적인 수권행위의 내용이나 그 해석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인바, 통상 사채알선업자가 전주(錢主)를 위하여 금전소비대차계약과 그 담보를 위한 담보권설정계약을 체결할 대리권을 수여받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일단 금전소비대차계약과 그 담보를 위한 담보권설정계약이 체결된 후에 이를 해제할 권한까지 당연히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14조, 제11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7. 4. 28. 선고 85다카971 판결(공1987, 865), 대법원 1991. 2. 12. 선고 90다7364 판결(공1991, 967),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39365 판결(공1993상, 707),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51271 판결(공1997상, 1183)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7. 5. 1. 선고 96나50390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서울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의 판단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한 증거들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하였다. ① 피고가 1993. 12. 4. 소외 1에게 임대차보증금은 금 26,000,000원, 임대차 기간은 1994. 12. 4.까지로 정하여 피고 소유의 의정부시 (주소 생략)(이하 이 사건 아파트라고 한다)를 임대하였다. ② 소외 1은 1994. 2. 4. ○○○○이라는 상호로 사채중개업을 하는 소외 2를 통하여 원고로부터 이율은 월 3.5%, 연체시의 이율은 월 4.5%로 정하여 금 15,000,000원을 차용하였다. 이 때에 소외 1은 소외 2의 담보 제공 요구에 따라 위 임대차보증금 중 금 22,500,000원의 반환채권을 원고에게 양도하였고, 피고는 원고에게 원고가 양수한 위 임차보증금의 지급을 보증하여 주었다. ③ 소외 1은 소외 2를 통하여 원고에게 1995. 1.분까지의 원고가 요구하는 이자와 연체이자를 지급하고 1994. 11. 2. 위 차용원금 중 금 5,000,000원을 변제하였다. ④ 소외 1은 1994. 10. 5.경 피고로부터 이 사건 아파트를 매수하였다. 당시 피고와 소외 1은 그 매매대금에서 위 임대차보증금 전액을 공제하기로 하였다. 위 매매계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소외 1은 같은 해 9.경 ○○○○에 이 사건 아파트의 매매에 따른 피고의 면책과 향후 차용금 상환 방안을 문의한 결과 소외 2로부터 피고의 지급보증책임을 면제하여 주는 대신 소외 1 앞으로 이 사건 아파트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같은 해 11.부터 월 5%의 비율에 의한 이자를 지급하라는 제의를 받고 이를 받아들여 같은 해 11.부터는 잔존 원금 10,000,000원에 대하여 월 5%의 비율에 의한 이자를 지급하였다(1995. 1.에는 그 일부인 400,000원의 약정이자만 지불하고 그 이후에는 자금 사정의 악화로 원리금을 변제하지 못하였다). 원심은 피고가 1994. 2. 4.자 지급보증에 의하여 원고에 대하여 차용금을 변제할 책임을 부담하게 되었음을 전제로 하고, 더 나아가 피고가 이 사건 아파트를 소외 1에게 매도할 당시 원고가 이 사건 차용금에 대한 피고의 책임을 면제하여 주었으므로 원고의 청구는 이유 없다는 피고의 항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판단하여 이를 받아들였다. ① 이 사건 차용금에 대하여 피고가 원고에게 부담하는 책임은 피고가 이 사건 아파트의 소유자 겸 임대인의 지위에서 종국적으로 이 사건 아파트 자체에 의하여 담보되는 임차보증금 반환채권의 범위 안에서 원고에 대하여 위 차용금 상당액의 지급을 보증한 것으로서 그 실질은 사실상 물적 담보의 성질을 지닌다(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가 양수한 일부 보증금 반환채권의 범위 안에서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대항력 있는 담보권을 가진다고 본 듯하다). ② 피고는 사채중개업자인 소외 2의 양해하에 이 사건 아파트의 소유권을 주채무자인 소외 1에게 양도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소외 1이 사전에 소외 2로부터 피고의 면책 사실을 확인하였다(피고를 면책시킨다는 의사표시를 수령하였다는 뜻으로 보인다). ③ 피고를 면책시키는 대가로 소외 1은 잔여 차용금에 대한 이율을 월 5%로 상향 조정하였고 실제로 그 후 2개월간에 걸쳐 인상된 이자가 수수되었다. ④ 이러한 사정들을 종합하여 보면 소외 2가 이 사건 아파트의 매도에 즈음하여 이 사건 차용금에 대한 피고의 책임을 면책시켜 준 것이 반드시 본인인 원고의 이익에 현저히 반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고, 오히려 원고는 피고가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한 소유권을 상실함에 따라 피고에 대하여 면책권을 행사할 권한을 소외 2에게 부여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 2. 당원의 판단 가. 채증법칙 위반 여부 원심이 채택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검토하여 보면, 소외 1이 피고로부터 이 사건 아파트를 매수할 즈음에 소외 2가 소외 1에 대하여 피고의 원고에 대한 책임을 면책시키겠다는 의사표시를 하였다고 본 원심의 사실인정은 수긍할 수 있고, 여기에 논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가 없다. 나. 소외 2에게 피고를 면책시켜 줄 대리권이 있는지 여부 원심은 앞에 적은 바와 같은 사유들을 종합하여 소외 2가 피고를 면책시킬 대리권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임의대리권은 그것을 수여하는 본인의 행위, 즉 수권행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어느 행위가 대리권 범위 내의 행위인지 여부는 개별적인 수권행위의 내용이나 그 해석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당원 1994. 2. 8. 선고 93다39379 판결 참조). 그런데 통상 사채알선업자가 전주(錢主)를 위하여 금전소비대차계약과 그 담보를 위한 담보권설정계약을 체결할 대리권을 수여받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일단 금전소비대차계약과 그 담보를 위한 담보권설정계약이 체결된 후에 이를 해제할 권한까지 당연히 가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당원 1993. 1. 15. 선고 92다39365 판결 참조). 그러므로 원심이 내세운 사정들이 원고가 소외 2에게 피고를 면책시킬 수 있는 대리권을 수여하였음을 추단하게 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되는가에 관하여 본다. 우선 원심이 인정한 사실에 의하면 소외 1는 원고에 대한 차용금 채무를 담보할 목적으로 피고에 대한 임차보증금 반환채권을 양도하고, 피고는 그에 대하여 그 지급을 보증하였다는 것인바, 여기에 보태어 위 약정에 관한 처분문서인 갑 제1호증(을 제1호증과 같다)의 기재 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피고가 원고에 대하여 한 의사표시는 일반적인 보증채무를 부담하겠다는 것이 아니고 소외 1의 위와 같은 채권양도를 승낙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소외 1이 위 임대차보증금 반환채권에 대하여 질권을 설정하기 위하여 원고에게 양도하는 것을 승낙한다는 것에 다름 아니라고 보인다. 그러므로 원고와 피고는 위 임대차보증금 반환청구채권에 대한 질권자와 채권양도를 승낙한 제3채무자의 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원고의 소외 1에 대한 대여금 채권을 담보하는 것은 위와 같이 양도된 임대차보증금 반환채권 자체로서 이 사건 아파트는 그 채권에 대한 일반 책임재산을 구성하는 것일 뿐이고,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 자체에 대하여 어떤 담보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원심이 마치 원고가 이 사건 아파트 자체에 대하여 어떠한 물적 담보권을 취득한 것인 양 설시한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원심이 그 담보물인 이 사건 아파트가 주채무자인 소외 1에게 이전되어도 원고는 위 일부 보증금 반환채권의 범위 안에서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대항력 있는 담보권(그 의미가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을 가진다고 보는 것도 수긍할 수 없다. 결국 소외 2가 피고를 면책시킨 것에 그대로 효력을 인정한다면 원고는 담보로 취득하였던 채권질권을 상실하고, 소외 1 소유로 된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는 일반 채권자로서의 권리만을 가지게 된다. 그렇다면 비록 피고를 면책시킨 이후에 대여금에 대한 약정이자의 이율이 상향 조정되었다 하더라도 피고를 면책시키는 것이 원고의 이익에 현저히 반하지 않는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원심은 그 이후 소외 1이 인상된 이율에 따른 약정이자를 지급한 사실을 인정하고 있는바, 만약 원고가 이를 수령하였다면 원고가 소외 2에게 피고를 면책시킬 대리권을 수여하였다고 추단할 수 있거나, 혹은 소외 2의 무권대리행위를 추인하였다고 볼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지만, 원고는 소외 2를 통하여서라도 인상된 이율에 의한 약정이자를 수령한 사실을 부인하고 있으며, 기록상 원고가 인상된 이율에 따른 약정이자를 수령하였다고 볼 자료도 보이지 않는다. 결국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정만으로 소외 2가 원고를 대리하여 피고의 책임을 면책시켜 줄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고 단정한 것은 대리권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나머지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채증법칙에 위반하여 증거 없이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고, 이는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임이 명백하다.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귀호(재판장) 최종영 이돈희 이임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채알선업자, 대리권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사채 알선업자가 채권자와 채무자 양쪽 모두를 대리할 수는 있지만, 별도의 권한 없이 이미 체결된 계약을 해지할 권한까지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채#알선#대리권#계약해지

민사판례

보증인 면책 범위, 어디까지일까? - 양도담보와 관련된 보증인 면책 사례

돈을 빌려주고 부동산을 담보로 받았는데, 다른 채권자가 그 부동산에 가압류를 걸었다고 해서 담보를 제공한 사람의 책임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담보 가치가 떨어져서 빌려준 돈보다 적어졌다면, 보증인은 그 차액만큼만 책임을 면한다.

#양도담보#가압류#보증인#책임범위

민사판례

보증, 그 책임의 범위는? (feat. 확인서와 이행각서 해석)

보증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장래 채무까지 보증하는지 여부는 보증서의 내용, 작성 동기와 경위, 당사자의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히 "보증한다"는 문구만으로는 장래 채무까지 보증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보증#장래채무#보증서 해석#엄격해석

생활법률

보증 섰는데 돈 내라고 한다면? 보증인의 권리 알아보기!

보증인은 주채무자의 항변권, 상계권을 행사하거나, 계약 취소/해지에 따른 이행거절, (연대보증인 제외) 주채무자에게 먼저 청구를 요구하는 최고·검색의 항변권을 통해 채무 상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보증#보증인#항변권#주채무자

민사판례

부동산 매매 대리권, 중도금/잔금 수령 권한도 포함될까?

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할 권한을 위임받은 대리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중도금과 잔금도 수령할 권한을 가진다.

#부동산#매매계약#대리인#중도금

민사판례

보증인도 보호받을 수 있을까? 채권자의 담보 관리 책임

채권자가 담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담보 가치가 떨어지거나 사라진 경우, 연대보증인은 그만큼 빚을 갚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채권자#담보보존의무#연대보증인#면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