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금등

사건번호:

97다29790

선고일자:

199711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전세금반환채권을 전세권과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전세권이 담보물권적 성격도 가지는 이상 부종성과 수반성이 있는 것이므로 전세권을 그 담보하는 전세금반환채권과 분리하여 양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나, 한편 담보물권의 수반성이란 피담보채권의 처분이 있으면 언제나 담보물권도 함께 처분된다는 것이 아니라, 채권 담보라고 하는 담보물권 제도의 존재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담보채권의 처분에는 담보물권의 처분도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일 뿐이므로, 전세권이 존속기간의 만료로 소멸한 경우이거나 전세계약의 합의해지 또는 당사자 간의 특약에 의하여 전세권반환채권의 처분에도 불구하고, 전세권의 처분이 따르지 않는 경우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채권양수인은 담보물권이 없는 무담보의 채권을 양수한 것이 된다.

참조조문

민법 제303조 제1항, 제44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9. 12. 23. 선고 69다1745 판결(집17-4, 민217)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7. 6. 13. 선고 95나683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 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주식회사 포항무훈연금매장이 위 회사의 피고에 대한 이 사건 전세금반환채권을 원고에게 양도하고 그 양도 사실을 피고에게 통지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채권양도의 효력을 인정하여 원고의 양수금 청구를 인용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관계 증거를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가 주장하는 취지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였거나 채권양도의 효력 발생 시기,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제3점에 대하여 전세권이 담보물권적 성격도 가지는 이상 부종성과 수반성이 있는 것이므로 전세권을 그 담보하는 전세금반환채권과 분리하여 양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나, 한편 담보물권의 수반성이란 피담보채권의 처분이 있으면 언제나 담보물권도 함께 처분된다는 것이 아니라, 채권 담보라고 하는 담보물권 제도의 존재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피담보채권의 처분에는 담보물권의 처분도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일 뿐이므로, 전세권이 존속기간의 만료로 소멸한 경우이거나 전세계약의 합의해지 또는 당사자 간의 특약에 의하여 전세권반환채권의 처분에도 불구하고, 전세권의 처분이 따르지 않는 경우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채권양수인은 담보물권이 없는 무담보의 채권을 양수한 것이 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결과적으로 이 사건 전세권이 존속기간의 만료로 소멸된 후 이 사건 전세금반환채권만이 양도된 것에 대하여 채권양도의 효력을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전세권과 전세금반환채권의 분리 양도의 효력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최종영 이돈희(주심)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전세권과 전세금반환채권은 한 몸! 따로 떼어 양도할 수 없어요!

전세권이 설정된 부동산의 전세금반환채권을 전세권과 분리하여 양도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무효입니다. 이는 임차보증금을 담보하기 위해 설정된 전세권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전세권#전세금반환채권#분리양도#무효

민사판례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만 팔 수 있을까? 전세권과 따로 떼어서?

전세권과 전세금반환채권은 특별한 약정이 없는 한 함께 양도되는 것이 원칙이며, 따로 양도하는 경우 전세권은 소멸합니다. 따라서 소멸한 전세권에 대한 가압류는 효력이 없고, 가압류권자는 전세권 말소등기에 협력해야 합니다.

#전세권#전세금반환채권#분리양도#가압류

상담사례

전세 끝났는데,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만 넘겨받을 수 있나요?

전세 계약 종료 후에는 전세금반환채권만 별도로 양도 가능하며, 사례의 민수처럼 채권 양수인은 전세권 등기 없이도 집주인에게 전세금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전세금반환채권#양도#전세권#계약만료

상담사례

전세금 돌려받을 권리, 전세 기간 중에 팔 수 있을까요?

전세 계약 기간 중 전세금 반환 권리만 양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전세 계약 종료 후 반환을 조건으로 하는 양도는 유효하며, 이 경우 계약 종료 후에는 양수인에게 전세금을 반환해야 한다.

#전세금 반환 권리 양도#전세권 양도#조건부 양도#전세 계약 기간

상담사례

전세금 돌려줘야 하는데, 세입자 빚 때문에 못 돌려준다고요? 잠깐!

세입자의 빚 때문에 전세금 반환이 어려운 경우, 채권자가 전세권에 대한 물상대위권을 행사하면 집주인은 다른 빚과 상관없이 채권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줘야 하지만, 세입자가 집에 손상을 입힌 경우 발생한 손해배상채권에 대해서는 상계가 가능하다.

#전세금#세입자##물상대위권

민사판례

사망한 사람을 상대로 소송을 걸 수 있을까? 그리고 전세금 반환 채권만 따로 양도할 수 있을까?

소송 상대방이 소송 제기 전에 사망하면 소송은 효력이 없으며, 전세권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전세금 반환 채권만 따로 떼어서 넘기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사망자 소송#상고 각하#전세권#전세금반환채권 양도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