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97다55164

선고일자:

199804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업무집행을 위임받은 동업자 중 1인이 업무집행 과정에서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다른 동업자의 사용자책임 유무(적극)

판결요지

동업관계에 있는 자들이 공동으로 처리하여야 할 업무를 동업자 중 1인에게 그 업무집행을 위임하여 그로 하여금 처리하도록 한 경우, 다른 동업자는 그 업무집행자의 동업자인 동시에 사용자의 지위에 있다 할 것이므로, 업무집행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하여 사용자로서의 손해배상책임이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712조, 제756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61. 10. 26. 선고 4293민상288 판결, 대법원 1979. 7. 10. 선고 79다644 판결(공1979, 12070)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7. 11. 5. 선고 97나21873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원심은, 피고들과 소외인이 동업으로 도급받은 연립주택의 건축공사를 완성한 뒤 하자보증기간 내로 동업관계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하자보수 문제가 생겨 소외인이 그 공사를 맡아서 하기로 합의하고, 이에 따라 소외인이 원고 1을 고용하여 공사를 하다가 그의 잘못으로 위 원고가 다치는 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이 사건 변론에 나온 자료들에 의하여 살펴보니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는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사실관계가 위와 같다면, 위 하자보수공사는 동업관계에 있는 피고들과 박성춘이 공동으로 처리하여야 할 업무로서 피고들은 박성춘에게 그 업무집행을 위임하여 그로 하여금 이를 처리하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피고들은 박성춘의 동업자인 동시에 그 사용자의 지위에 있었다 할 것이므로(대법원 1979. 7. 10. 선고 79다644 판결 참조), 피고들은 위 사고에 대하여 사용자로서의 손해배상책임이 있다. 원심판결은 이유 설시에 있어 다소 미흡한 점이 있으나 결과에 있어서는 원고들의 청구범위 내에서 위와 같은 법리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에 관한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 이임수 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동업자의 실수, 나도 책임져야 할까? 건설현장 사고와 동업자 책임

건설현장에서 동업자가 고용한 작업자의 사고에 대해, 업무를 일임한 동업자도 대리인에 대한 사용자 책임을 져야 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책임 범위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판단된다.

#동업자#실수#건설현장 사고#책임

생활법률

동업, 달콤한 꿈? 씁쓸한 현실? 동업 시 알아야 할 책임과 함정!

동업 시 업무집행조합원은 선관주의 의무, 보고 의무 등을 가지며, 모든 동업자는 출자 의무 및 조합채무 변제 책임을 지므로, 상호 신뢰와 책임감을 바탕으로 관련 법 조항 숙지 및 분쟁 대비가 필수적이다.

#동업#책임#업무집행조합원#선관주의의무

민사판례

동업자의 불법행위와 부동산 중개사무소 책임에 대한 법원의 판단

동업자가 공동 업무를 다른 동업자에게 맡겼을 때, 업무를 맡은 동업자가 불법행위를 저지르면 나머지 동업자도 사용자 책임을 진다. 또한, 공인중개사가 자신의 사무소를 다른 사람의 중개행위 장소로 제공하여 손해가 발생하면, 공인중개사도 배상 책임을 진다.

#동업자#사용자책임#불법행위#부동산중개

상담사례

친구와 동업, 빚 독박 쓰는 건가요? 내 책임은 어디까지?

친구와 동업 중 한 명만 대외 업무를 처리했다면, 대외 업무 담당자만 사업 관련 채무에 책임을 진다.

#동업#책임#특수한 조합#대외적 업무

상담사례

여러 명이 감독할 때 사고 나면 책임은 누구에게? 🤔

공사현장에서 다수의 지휘·감독 하에 사고 발생 시 손해배상 책임은 단순히 판결 금액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과실 비율에 따라 정해진다.

#공동불법행위#손해배상#과실비율#사용자책임

형사판례

내 직원이 남의 회사에서 다쳤다면, 누구 책임일까? - 하청업체 근로자 사고에 대한 사업주 책임

다른 회사 사업장에서 일하는 하청업체 근로자가 사고를 당했을 때, 하청 사업주도 근로자 안전을 위한 조치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단순히 원청 사업장에서 일한다는 이유만으로 하청 사업주의 책임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밀폐공간처럼 위험한 작업장이라면 더욱 그렇다.

#하청업체#근로자 사고#원청 사업장#안전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