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채무부존재확인

사건번호:

97다9895

선고일자:

199707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에 있어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한 사례 [2] 대리인에 의하여 보증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본인의 자필서명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지 여부(소극) 및 본인에게 직접 보증의사를 확인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연대보증계약 체결 당시 대리인이 본인이 직접 발급받은 본인의 인감증명과 납세증명원, 본인의 인감도장을 보증보험회사 직원에게 교부하였고, 대리인이 자신 소유의 승용차를 구입할 때에도 본인을 대리하여 보증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본인 명의의 인감증명과 납세증명원, 본인의 인감도장을 이용하였으므로 담당직원이 위 거래를 통하여 대리인과 본인의 관계를 알게 되어 대리인에게 본인을 대리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의심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었으며, 회사를 대리하여 보증보험계약을 체결하는 직원이 연대보증인 본인에 대하여 직접 보증의사를 확인하고 서명날인을 받도록 하는 업무지침이나 실무관행이 없어 회사가 전문금융기관이라는 것만으로 회사의 직원이 본인에게 직접 보증의사를 확인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보기 어려우며, 연대보증약정서에 기재된 연대보증인의 전화번호는 차후 연락을 위한 것으로 반드시 연대보증인 본인의 전화번호만을 기재하여야 하는 것도 아니라면, 회사의 직원으로서는 대리인이 본인을 대리하여 연대보증계약을 체결할 대리권이 있다고 믿을 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었다고 한 사례. [2] 대리인에 의하여 보증보험계약이 체결되는 경우, 본인의 자필서명을 받지 아니하였다는 사정만으로 표현대리의 성립을 부정한다면 모든 대리행위에 있어 본인의 출석을 요구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대리행위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데까지 나아갈 우려가 있어 본인의 자필서명이 그 보증보험계약의 유효요건이 된다고 볼 수 없고, 또한 반드시 본인에게 전화 등으로 보증의사를 확인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도 볼 수 없다.

참조조문

[1] 민법 제126조/ [2] 민법 제126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5. 12. 26. 선고 95다43242 판결, 대법원 1995. 9. 5. 선고 95다20973 판결(공1995하, 335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대한보증보험 주식회사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7. 1. 24. 선고 96나444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의 대리인인 소외 1이 소외 2에게 원고를 대리할 권한이 있다고 믿을 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었는지에 관하여, 거시 증거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판시 연대보증계약 체결 당시 원고의 아들인 위 한상일는 원고가 직접 발급받은 원고의 인감증명과 납세증명원, 원고의 인감도장을 위 황대서에게 교부한 점, 위 한상일는 자신 소유의 승용차를 구입할 때에도 원고를 대리하여 보증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원고 명의의 인감증명과 납세증명원, 원고의 인감도장을 이용하였으므로 위 황대서은 위 거래를 통하여 위 한상일와 원고 및 소외 한기산의 관계를 알게 되어 위 한상일에게 원고를 대리할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의심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었던 점, 피고를 대리하여 보증보험계약을 체결하는 직원이 연대보증인 본인에 대하여 직접 보증의사를 확인하고 서명날인을 받도록 하는 업무지침이나 실무관행이 없어 피고가 전문금융기관이라는 것만으로 피고의 대리인인 위 황대서이 원고에게 직접 보증의사를 확인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보기 어려운 점, 연대보증약정서에 기재된 연대보증인의 전화번호는 차후 연락을 위한 것으로 반드시 연대보증인 본인의 전화번호만을 기재하여야 하는 것도 아닌 점 등에 비추어 피고의 대리인인 위 황대서로서는 위 한상일가 원고를 대리하여 승용차에 대한 연대보증계약을 체결할 대리권이 있다고 믿을 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관련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소론 주장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사실관계가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바와 같다면, 피고의 대리인인 위 소외 1로서는 위 소외 2가 원고를 대리하여 승용차에 대한 연대보증계약을 체결할 대리권이 있다고 믿을 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한 원심판단도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피고가 주의의무를 다하지 아니하였다고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사유는 ① 피고가 위 연대보증계약 체결시 원고의 자필서명을 받지 아니하였다는 사정과 ② 본인에게 전화로 확인하지 아니하였다는 사정인데, 원고 본인의 자필서명을 받지 아니하였다는 사정만으로 표현대리의 성립을 부정한다면 모든 대리행위에 있어 본인의 출석을 요구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대리행위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데까지 나아갈 우려가 있어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할 것이고, 대리인에 의하여 보증보험계약이 체결될 때에는 반드시 본인에게 전화로 확인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볼 수도 없다( 대법원 1995. 12. 26. 선고 95다43242 판결, 1995. 9. 5. 선고 95다20973 판결 참조). 소론이 지적하는 판결은 이 사건에서 적절한 선례가 되지 못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들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최종영(주심) 정귀호 이임수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남편/아내가 내 이름으로 보증을 섰다고?! 대리 보증, 이것만 알면 안전!

대리인 통해 보증(대리 보증) 시, 대리권 없으면 무효지만 표현대리(대리권 준 것처럼 보이고 본인 책임 있을 경우) 성립 시 유효하므로 인감도장 관리 철저 및 대리권 범위 명확히 해야 본인 모르게 빚지는 상황 피할 수 있다.

#대리보증#무권대리#표현대리#인감도장 관리

민사판례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를 맡겼다가 엉뚱한 사람의 보증을 서게 된 사연

차 할부금 보증을 위해 백지 위임장과 인감도장을 지인에게 맡겼다가, 지인이 허락 없이 다른 사람의 차량 구매에 보증을 서도록 한 경우에도 보증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백지위임장#인감도장#표현대리#보증책임

민사판례

딸에게 인감도장 맡겼다가 보증까지 서게 된 아버지 이야기

딸이 아버지에게 은행 대출용으로 받은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를 다른 사람에게 돈을 빌리는 데 사용하고 아버지를 보증인으로 내세웠을 때, 아버지는 원래 허락한 금액 범위 내에서는 보증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인감도장#인감증명서#보증#표현대리

민사판례

아내가 남편 몰래 보증 서줬다면? 남편 책임은?

아내가 남편 몰래 남편의 인감도장과 인감증명서를 사용하여 친정 오빠의 빚 보증을 섰더라도, 보증을 받은 회사가 아내에게 남편이 대리권을 주었다고 믿을 만한 타당한 이유가 없다면 남편은 빚을 갚을 책임이 없다.

#아내 무단 보증#남편 책임 없음#표현대리#대리권 부존재

민사판례

내 도장이 찍혔다고 다 내가 한 게 아니야! - 인감도용과 보증 사기

문서에 도장이 찍혀 있더라도, 그 도장을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다른 사람이 찍었다면 문서 자체가 진짜라고 볼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도장의 진짜 여부를 주장하는 쪽에서, 도장을 찍을 권한이 있었음을 증명해야 합니다.

#도장#진정성립#날인#권한

민사판례

남편이 멋대로 내 이름으로 보증을 섰다고?! 배우자의 대리권과 표현대리 책임

남편이 아내 몰래 아내 이름으로 연대보증을 섰는데, 아내가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까요? 대법원은 아내에게 대리권을 준 적이 없고, 회사도 남편에게 대리권이 있다고 믿을 만한 타당한 이유가 없으므로 아내는 책임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남편#아내#연대보증#대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