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제임용탈락처분취소

사건번호:

98두10554

선고일자:

199809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용기간 만료시 대학 교원에 대한 임용권자의 재임용거부결정 통지의 법적 성질 및 위 통지가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 제9조 제1항 소정의 재심청구 대상인 '징계처분 기타 교원의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사립학교법 제53조의2 제3항에 따라 기간을 정하여 임용된 대학교육기관의 교원은 임용기간이 만료되면 재임용거부결정 등 특별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당연퇴직되는 것이므로, 임용권자가 교원을 재임용하지 않기로 하는 결정을 하고서 이를 통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교원에 대하여 임기만료로 당연퇴직 됨을 확인하고 알려주는 데 지나지 아니하고, 이로 인하여 어떠한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통지를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 제9조 제1항의 재심청구 대상인 '징계처분 기타 교원의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이라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 제9조 제1항, 사립학교법 제53조의2 제3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4. 5. 13. 선고 94다4288 판결(공1994상, 1684), 대법원 1994. 7. 29. 선고 93다61789 판결(공1994하, 2234), 대법원 1994. 10. 14. 선고 94다12852 판결(공1994하, 2976), 대법원 1995. 1. 20. 선고 93다55425 판결(공1995상, 882), 대법원 1997. 6. 27. 선고 96다7069 판결(공1997하, 231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교육부교원징계심사위원회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8. 5. 29 선고 97구5215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사립학교법 제53조의2 제3항에 따라 기간을 정하여 임용된 대학교육기관의 교원은 임용기간이 만료되면 재임용거부결정 등 특별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당연퇴직되는 것이므로, 임용권자가 교원을 재임용하지 않기로 하는 결정을 하고서 이를 통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교원에 대하여 임기만료로 당연퇴직 됨을 확인하고 알려주는 데 지나지 아니하고, 이로 인하여 어떠한 법률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1997. 6. 27. 선고 96다7069 판결 참조). 따라서 이러한 통지를 교원지위향상을위한특별법 제9조 제1항의 재심청구 대상인 '징계처분 기타 교원의 의사에 반하는 불리한 처분'이라고 볼 수 없다.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박준서 이임수 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기간제 교수님, 재임용 거절당했는데 소송까지 갈 수 있을까요?

계약 기간을 정해 임용된 사립대학 교원은 계약 기간 만료 시 당연히 퇴직되므로, 학교 측의 재임용 거부 처분은 아무런 법적 효력이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무효확인 소송은 할 수 없다.

#기간제교원#재임용거부#소송불가#당연퇴직

민사판례

사립대학 기간제 교원 재임용 거부, 정당한가요?

사립대학에서 기간제로 임용된 교원이 재임용 거부를 당했을 때, 학교법인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요건과 범위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 이전과 이후의 책임 범위가 다르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사립대학#기간제교원#재임용거부#손해배상

민사판례

기간제 사립대학 교원의 재임용과 관련된 권리

기간제 사립대학 교원은 임용기간이 끝나더라도 공정한 재임용 심사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재임용 거부가 부당하다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사립대학#기간제 교원#재임용 거부#헌법불합치

민사판례

기간제 교수 재임용 거부, 대학의 책임은 어디까지?

사립대학이 기간제 전임강사를 재임용 심사 없이 부당하게 거부한 경우, 학교법인은 해당 강사에게 재산상 손해뿐만 아니라 정신적 손해까지 배상할 책임이 있다.

#사립대학#전임강사#재임용 거부#손해배상

민사판례

기간제 교수의 재임용 거부, 대학의 책임은 어디까지?

사립대학이 기간임용제 교원을 부당하게 재임용 거부했을 때, 어떤 경우에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하는지, 그리고 배상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히 교원의 재임용 신청 의사가 명확히 확인된 이후부터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한다는 점과, 위자료 지급은 매우 제한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사립대학#기간임용제 교원#재임용 거부#손해배상

민사판례

기간제 교수 재임용 탈락, 학교 상대로 소송 제기했지만...

임용 기간이 끝난 기간제 교수는 재임용을 보장받지 못하며, 학교 측의 재임용 거부가 부당하다고 해서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기간제교수#재임용거부#소송#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