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가치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8두15290

선고일자:

19991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0조 제6항 소정의 불공제 매입세액인 '토지의 조성 등을 위한 자본적 지출에 관련된 매입세액'의 의미 [2] 농공단지개발사업 시행자가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귀속될 도로·배수장·양수장 등 부대시설공사를 함에 있어 지출한 비용에 관련된 매입세액이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0조 제6항 소정의 불공제 매입세액인 '토지조성을 위한 자본적 지출에 관련된 매입세액'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은 매출세액에서 공제하지 아니하는 매입세액의 하나로 제4호에서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에 관련된 매입세액(투자에 관련된 매입세액을 포함한다)과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지관련 매입세액'을 들고 있고,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0조 제6항은 위 규정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지관련 매입세액이라 함은 '토지의 조성 등을 위한 자본적 지출에 관련된 매입세액'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토지의 조성 등을 위한 자본적 지출이란 토지의 가치를 현실적으로 증가시키는 데에 소요된 비용을 말한다. [2] 자가공장용지 및 분양용 공장용지를 조성할 목적으로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전·답 등 토지에 관하여 당시 시행되던 산업입지및개발에관한법률에 의한 농공단지개발사업 시행자로 지정을 받고, 그 토지에 공장용지 및 그 부대시설인 도로·배수장·양수장 등을 조성·설치하되, 부대시설은 위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무상으로 귀속시킨다는 내용의 농공단지개발실시계획을 수립하여 승인을 받은 다음 농공단지 부지조성공사 및 부대시설공사를 도급준 경우, 수급인에게 지급한 부대시설공사비는 부지조성공사비와 마찬가지로 당초의 전·답 등을 공장용지로 변경하여 그 가치를 증가시키는 데에 소요된 비용이라 할 것이므로 이는 토지의 조성을 위한 자본적 지출에 해당하고, 따라서 이에 관련된 매입세액은 위 부대시설이 부가가치세 면제 재화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매출세액에서 공제될 수 없다.

참조조문

[1]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4호 ,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0조 제6항 , 구 소득세법시행령(1998. 12. 31. 대통령령 제159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9조(현행 삭제) , 구 법인세법시행령(1998. 12. 31. 대통령령 제1597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7조(현행 삭제) / [2]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 제4호 ,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0조 제6항 , 산업입지및개발에관한법률 제8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5. 12. 21. 선고 94누1449 전원합의체 판결(공1996상, 283)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마산세무서장 【원심판결】 부산고법 1998. 8. 12. 선고 98누195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부가가치세법 제17조 제2항은 매출세액에서 공제하지 아니하는 매입세액의 하나로 제4호에서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에 관련된 매입세액(투자에 관련된 매입세액을 포함한다)과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지관련 매입세액'을 들고 있고, 부가가치세법시행령 제60조 제6항은 위 규정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지관련 매입세액이라 함은 '토지의 조성 등을 위한 자본적 지출에 관련된 매입세액'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토지의 조성 등을 위한 자본적 지출이란 토지의 가치를 현실적으로 증가시키는 데에 소요된 비용을 말한다고 할 것이다{소득세법시행령(1998. 12. 31. 대통령령 제1596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9조, 법인세법시행령(1998. 12. 31. 대통령령 제1597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7조 등 참조}.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자동차부품제조업자인 원고가 1994.경 자가공장용지 및 분양용 공장용지를 조성할 목적으로 함안군수로부터 경남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123의 57 일대 70,610㎡(전 6,923㎡, 답 62,265㎡, 도로 112㎡, 구거 1,310㎡)의 토지에 관하여 당시 시행되던 산업입지및개발에관한법률에 의한 농공단지개발사업 시행자로 지정을 받고, 1994. 10. 27. 위 토지에 공장용지 61,879㎡ 및 그 부대시설인 도로·배수장·양수장 등을 조성·설치하되, 부대시설은 위 법률에서 정한 바에 따라 함안군에 무상으로 귀속시킨다는 내용의 농공단지(가야농공단지)개발실시계획을 수립하여 승인을 받은 다음, 소외 회사에 위 농공단지 부지조성공사 및 부대시설공사를 공사대금 4,627,084,000원에 도급준 것이라면, 원고가 소외 회사에 지급한 부대시설공사비는 부지조성공사비와 마찬가지로 당초의 전·답 등을 공장용지로 변경하여 그 가치를 증가시키는 데에 소요된 비용이라 할 것이므로 이는 토지의 조성을 위한 자본적 지출에 해당하고, 따라서 이에 관련된 매입세액은 위 부대시설이 부가가치세 면제 재화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관계 없이 매출세액에서 공제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결론을 같이 한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임수(재판장) 이돈희 송진훈 윤재식(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골프장 부지 조성 비용,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대상?

골프장 부지를 조성하는 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은 골프장 운영 사업의 매출세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

#골프장#부지조성용역#매입세액공제#골프장운영

세무판례

토지 조성비용,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될까? 땅 주인 아니면 공제 가능!

토지 소유자가 아닌 사업자가 토지를 조성하면서 지출한 비용에 대한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은 공제받을 수 있다.

#토지 조성 비용#매입세액 공제#토지 소유자 아닌 사업자#부가가치세

세무판례

재개발 사업에서의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토지 vs. 주택?

재개발사업에서 토지와 건물을 함께 취득하여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 건물을 신축할 때, 철거비용 등이 토지 관련 비용인지, 새 건물(주택) 관련 비용인지에 따라 부가가치세 매입세액 공제 여부가 결정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토지 위에 건물을 짓기 위한 비용이라고 해서 무조건 토지 관련 비용으로 보아 매입세액 공제를 불허해서는 안 되며, 각 비용의 목적과 경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합니다.

#재개발#철거비용#부가가치세#매입세액공제

세무판례

공장 부지 취득, 취득세 중과 대상일까? - 도시계획 도로 예정 부지 포함 여부

공장 부지 주변 토지를 추가로 취득했을 때, 그 토지가 공장 운영에 필요한 부속토지로 사용된다면, 비록 공장 안에 공장용이 아닌 건물이 있더라도, 그리고 그 토지 일부가 장래 도로로 계획되어 있더라도 취득세를 중과한다는 판결.

#취득세 중과#공장 부속토지#공장 증설#사무실

일반행정판례

택지개발사업에서 개발부담금 계산 시 공사비 인정 범위

택지개발사업에서 개발이익을 계산할 때, 실제로 땅값을 올리는 데 기여한 비용만 개발비용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공사업체에 지급한 돈 중 업체의 이윤 등은 제외하고, 토지 취득 관련 부대비용도 제외해야 합니다. 하지만 택지 조성 과정에서 발생한 부대비용(조성부대비)은 개발비용으로 인정됩니다.

#개발이익#개발비용#순공사비#조성부대비

세무판례

남의 땅에 내 건물 지었는데… 부지 공사비용, 세금 계산할 때 뺄 수 있나요?

다른 사람 땅을 빌려 건물을 지을 때, 건물을 짓기 위해 땅을 고르는 등 부지 조성에 쓴 비용도 건물 취득 비용에 포함되어 양도소득세 계산 시 공제받을 수 있다.

#양도소득세#부지조성비용#필요경비#건물취득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