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8두18510

선고일자:

200009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과세처분이 있은 후에 증액경정처분이 있었는데 납세의무자가 당초 과세처분에 대한 전심절차 외에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전심절차를 거친 경우, 그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제소기간은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통지 수령일로부터 기산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과세처분이 있은 후에 증액경정처분이 있는 경우 당초 과세처분은 경정처분에 흡수되어 독립적인 존재가치를 상실하므로 전심절차의 경유여부도 그 경정처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고, 다만 그 위법사유가 공통되고 당초 과세처분에 대하여 적법한 전심절차를 거친 경우에는 납세의무자는 그 경정처분에 대하여 다시 전심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도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이지만, 납세의무자 스스로 당초 과세처분에 대한 전심절차 외에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전심절차를 거쳤다면, 그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제소기간은 구 국세기본법(1994. 12. 22. 법률 제48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6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통지 수령일로부터 60일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당초 과세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통지 수령일을 제소기간 기산일로 삼을 근거는 없다.

참조조문

구 국세기본법(1994. 12. 22. 법률 제48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5조 , 제56조 제2항(현행 제56조 제3항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8. 14. 선고 91누13229 판결(공1992, 2691)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동대구세무서장 【원심판결】 대구고법 1998. 10. 29. 선고 97구6866 판결 【주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을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국세기본법(1994. 12. 22. 법률 제4810호로 개정되어 1998. 3. 1. 시행되기 전의 것) 제56조 제2항은 국세기본법 또는 세법에 의한 처분으로서의 위법한 처분에 대한 행정소송은 심판청구에 대한 결정의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제기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한편, 과세처분이 있은 후에 증액경정처분이 있는 경우 당초 과세처분은 경정처분에 흡수되어 독립적인 존재가치를 상실하므로 전심절차의 경유여부도 그 경정처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고, 다만 그 위법사유가 공통되고 당초 과세처분에 대하여 적법한 전심절차를 거친 경우에는 납세의무자는 그 경정처분에 대하여 다시 전심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도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이지만, 납세의무자 스스로 당초 과세처분에 대한 전심절차 외에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전심절차를 거쳤다면, 그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제소기간은 위의 국세기본법 규정에 따라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통지 수령일로부터 60일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당초 과세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통지 수령일을 제소기간 기산일로 삼을 근거는 없다.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가 1994. 7. 16. 원고들에게 1992 과세연도 종합소득세부과처분을 하고, 제1차로 1995. 8. 1.에, 제2차로 같은 해 10월 1일에 각각 증액경정처분을 한 데에 대하여, 원고가 제1차 증액경정 및 제2차 증액경정처분 모두에 대하여 전심절차를 거쳤다면, 쟁송의 대상이 되는 제2차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제소기간 기산일은 그 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통지 수령일인 1996. 11. 26.이 되는 것이고, 제2차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심판결정이 제1차 증액경정처분에 대한 심판결정 이전에 있었고, 그 내용이 원고들의 청구를 인용하는 결정이었다 하여 달리 볼 수는 없으므로, 그 기산일로부터 60일이 경과한 1997. 7. 22.에 제기된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위에서 본 이 사건 당초 과세처분, 제1차, 제2차 증액경정처분 그리고 전심절차와 제소에 이르는 경위 등 상황과 당초의 제기된 소장에서 취소를 구하는 대상 처분을 제1차 증액경정처분으로 삼았다가 제소를 위한 불변기간인 60일이 지난 뒤에야 비로소 취소대상처분을 제2차 증액경정처분으로 변경한 점을 함께 고려할 때, 이 사건 제소에 있어서 원고들이 책임질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불변기간인 제소기간을 준수할 수 없었던 경우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소를 부적법하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은 없다.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을 원고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대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조무제(주심) 이용우 이강국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원래 세금 부과 자체가 잘못된 거라면?

세금 부과 처분이 증액된 경우, 처음 부과된 세금과 증액된 세금에 대한 위법 사유가 동일하다면, 처음 부과된 세금에 대한 불복 절차만으로도 증액된 세금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으며, 제소기간은 처음 소송을 제기한 날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증액경정처분#행정소송#제소기간#동일 위법사유

세무판례

종합소득세 추가 신고 후 경정청구 기간은 언제부터?

종합소득세 신고기한 이후 소득처분으로 소득금액이 변경되어 추가 납부를 한 경우, 경정청구 기간은 **추가 납부 기한 다음 날**부터 시작한다.

#경정청구#추가납부기한#소득처분#종합소득세

세무판례

세금 소송, 기간 지나면 안 돼요!

세금 관련 불복 절차(이의신청, 심판청구) 후 소송을 제기할 때는 정해진 기간을 꼭 지켜야 합니다. 기간을 넘기면 설령 세금이 줄어든 결정을 받았더라도 소송은 각하됩니다. 또한, 세금 부과 자체가 완전히 잘못되었다고 주장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정해진 절차와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세금#불복소송#기간#각하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그럼 처음 세금은 어떻게 되는 거야? (+ 돈 번 건 맞는데, 계약이 잘못됐다고?)

세금을 더 내라고 하는 '증액경정처분'이 나오면 처음 세금 부과 처분은 효력을 잃고, 증액된 부분만 쟁송 대상이 된다. 그리고 세금을 매길 소득인지 판단할 때는 실제로 이득을 얻고 지배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보고, 그 이득을 얻게 된 과정이 법적으로 완벽하게 유효한지는 중요하지 않다.

#증액경정처분#쟁송대상#부과소득#실질과세

세무판례

세금 부과, 기간 다르면 따로따로 재판?

소득세나 부가가치세처럼 과세 기간을 단위로 하는 세금에서, 과세 기간이 다른 각각의 세금 부과는 서로 독립된 별개의 처분으로 봐야 합니다. 따라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도 각각의 세금 부과에 대해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과세기간#별개처분#제소기간#소득세

세무판례

세금 더 내라고 했는데, 처음 세금도 따져볼 수 있을까?

세무서에서 세금을 부과한 후, 나중에 세금을 더 내라고 증액하는 처분을 한 경우, 처음 부과된 세금이 이미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증액된 세금에 대한 소송에서 처음 부과된 세금이 잘못되었는지도 함께 다툴 수 있다.

#세금#증액경정#불복#기존세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