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98마1333
선고일자:
19981007
선고:
자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1] 가등기 이후 경료된 국세 압류등기의 효력 [2] 가등기 이후 국세 압류등기가 경료된 사안에서 당해 가등기가 담보 가등기라는 점에 관하여 소명자료가 제출되어 담보 가등기인지의 여부가 다투어지는 경우, 등기공무원이 당해 가등기를 순위 보전의 가등기로 인정하여 국세 압류등기를 직권말소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및 당해 가등기가 담보 가등기인지 여부가 등기부의 등기원인 기재에 의해 결정되는지 여부(소극)
[1] 국세 압류등기 이전에 소유권이전청구권 보전의 가등기가 경료되고 그 후 본등기가 이루어진 경우, 그 가등기가 매매예약에 기한 순위 보전의 가등기라면 그 이후에 경료된 압류등기는 효력을 상실하여 말소되어야 할 것이지만, 그 가등기가 채무담보를 위한 가등기 즉 담보 가등기라면 그 후 본등기가 경료되더라도 가등기는 담보적 효력을 갖는데 그치므로 압류등기는 여전히 유효하므로 말소될 수 없다. [2] 가등기 이후 국세 압류등기가 경료된 사안에서 당해 가등기가 담보 가등기라는 점에 관한 소명자료가 제출되어 담보 가등기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해관계인 사이에 실질적으로 다투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권자의 태도 여하에 불구하고 형식적 심사권밖에 없는 등기공무원으로서는 당해 가등기를 순위 보전의 가등기로 인정하여 국세 압류등기를 직권말소할 수 없고, 또한 당해 가등기가 담보 가등기인지 여부는 당해 가등기가 실제상 채권담보를 목적으로 한 것인지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지 당해 가등기의 등기부상 원인이 매매예약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아니면 대물변제예약으로 기재되어 있는가 하는 형식적 기재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1] 가등기담보등에관한법률 제17조 제3항, 국세기본법 제35조 제2항, 부동산등기법 제55조 제2호, 제178조/ [2] 가등기담보등에관한법률 제17조 제3항, 국세기본법 제35조 제2항, 부동산등기법 제55조 제2호, 제178조
[1] 대법원 1988. 3. 24.자 87마1270 결정(공1988, 683), 대법원 1989. 2. 28. 선고 87다카684 판결(공1989, 513), 대법원 1989. 11. 2.자 89마640 결정(공1990, 12), 대법원 1996. 12. 20. 선고 95누15193 판결(공1997상, 435) /[2] 대법원 1992. 3. 18.자 91마675 결정(공1992, 1381)
【재항고인】 【원심결정】 부산지법 1998. 5. 19.자 98라136 결정 【주문】 재항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가등기담보등에관한법률 제17조 제3항은, 담보가등기권리는 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지방세법, 회사정리법의 적용에 있어서는 이를 저당권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고, 국세기본법 제35조 제2항은 납세의무자를 등기의무자로 하고 채무불이행을 정지조건으로 하는 대물변제의 예약에 기하여 권리 이전의 청구권의 보전을 위한 가등기 기타 이와 유사한 담보의 목적으로 된 가등기가 되어 있는 재산을 압류하는 경우에 당해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압류 후에 행하여진 때에는 그 가등기의 권리자는 그 재산에 대한 체납처분에 대하여 그 가등기에 기한 권리를 주장할 수 없고, 다만 국세 또는 가산금의 법정기일 전에 가등기된 재산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세 압류등기 이전에 소유권이전청구권 보전의 가등기가 경료되고 그 후 본등기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 가등기가 매매예약에 기한 순위 보전의 가등기라면 그 이후에 경료된 압류등기는 효력을 상실하여 말소되어야 할 것이지만, 그 가등기가 채무담보를 위한 가등기 즉 담보 가등기라면 그 후 본등기가 경료되더라도 가등기는 담보적 효력을 갖는데 그치므로 압류등기는 여전히 유효하므로 말소될 수 없다고 할 것인데(대법원 1996. 12. 20. 선고 95누15193 판결, 1989. 11. 2.자 89마640 결정 등 참조), 당해 가등기가 담보 가등기라는 점에 관한 소명자료가 제출되어 담보 가등기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이해관계인 사이에 실질적으로 다투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권자의 태도 여하에 불구하고 형식적 심사권밖에 없는 등기공무원으로서는 당해 가등기를 순위 보전의 가등기로 인정하여 국세 압류등기를 직권말소할 수 없고(대법원 1992. 3. 18.자 91마675 결정 참조), 또한 당해 가등기가 담보 가등기인지 여부는 당해 가등기가 실제상 채권담보를 목적으로 한 것인지 여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지 당해 가등기의 등기부상 원인이 매매예약으로 기재되어 있는가 아니면 대물변제예약으로 기재되어 있는가 하는 형식적 기재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원심이 이와 같은 법리에 따라 신청인들의 각 가등기를 담보 가등기로 판단하여 그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경료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각 가등기와 본등기 사이에 경료된 국세 압류등기를 말소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이에 논지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재항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천경송 지창권(주심) 신성택
민사판례
부동산에 가등기 후 국세압류등기가 된 후 가등기에 기반한 본등기가 이루어졌는데, 가등기가 실제로는 돈을 빌려주고 갚지 않으면 부동산을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담보가등기라고 주장하는 경우, 등기공무원은 함부로 국세압류등기를 없앨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부동산에 가등기 후 세금 체납으로 압류등기가 된 경우, 가등기 기반 본등기 이후 압류등기의 직권말소 여부는 가등기의 종류(담보 가등기 여부), 세금 종류(당해세 여부), 세금 발생 시점(가등기보다 이전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등기관은 복잡한 법률관계까지 심사할 의무는 없다.
민사판례
부동산을 사면서 순위 보전을 위해 가등기를 했다가 나중에 본등기를 했는데, 그 사이에 세금 때문에 압류등기가 들어왔다면, 압류등기를 말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민사판례
소유권 이전 청구권 보전을 위한 가등기 후에 가압류가 들어왔더라도, 가등기에 기반한 본등기가 완료되면 해당 가압류는 효력을 잃고 등기관이 직권으로 말소해야 한다.
민사판례
부동산에 가등기 후 세금 체납으로 압류등기가 된 경우, 가등기에 기반한 본등기 후 압류등기의 직권말소 여부는 가등기의 종류(순위보전 가등기 또는 담보 가등기)와 세금 관련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등기관은 제한적인 심사 권한을 가지며, 체납처분권자가 필요한 소명자료를 제출하지 않으면 압류등기를 직권으로 말소해야 한다.
민사판례
갑의 땅에 을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가등기가 된 후, 병이 가압류를 했습니다. 병은 을의 가등기가 담보가등기인지 확인하는 소송을 냈지만, 대법원은 병에게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가등기 종류와 관계없이 본등기가 되면 병의 가압류는 말소되고, 다른 구제 방법도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