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

사건번호:

99다34420

선고일자:

199911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주택조합 정관 소정의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조합원이 주택조합을 상대로 조합원지위확인 승소확정판결을 받아 조합아파트를 배정받은 경우, 그 아파트는 조합원의 소유로 확정되는지 여부(적극) [2] 주택조합이 조합원 지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조합원에 대하여 조합아파트 분양계약을 해제하거나 취소한 경우, 조합원의 아파트에 관한 권리가 소멸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주택조합의 정관이 정한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조합원이지만 그 주택조합과의 사이에서 조합원 지위를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됨으로써 주택조합의 적법한 조합원으로 확정되고, 그 주택조합의 조합아파트를 배정받은 경우, 그 조합아파트는 조합원의 소유로 확정된다. [2] 주택조합은 그 실체에 있어 비법인사단에 해당하고 조합원은 그 지위에서 조합아파트에 관한 권리를 취득하는 것이므로, 주택조합이 조합원 지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조합원에 대하여 조합아파트에 관한 분양계약을 해제하거나 취소하였다 하여 그 조합아파트에 관한 조합원의 권리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다.

참조조문

[1] 주택건설촉진법 제44조 , 민법 제187조 / [2] 민법 제31조 , 주택건설촉진법 제44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6. 24. 선고 93누18839 판결(공1994하, 2139), 대법원 1995. 1. 24. 선고 94다47797 판결(공1995상, 1140), 대법원 1996. 4. 12. 선고 96다3807 판결(공1996상, 1531) /[2] 대법원 1997. 1. 24. 선고 96다39721, 39738 판결(공1997상, 640)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1999. 5. 20. 선고 98나38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1.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는 정릉동제1지역주택조합(다음부터는 소외 조합이라고 한다)의 정관이 정한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조합원이지만, 원고와 소외 조합 사이에서 원고의 조합원 지위를 확인하는 판결이 확정됨으로써 원고가 소외 조합의 적법한 조합원으로 확정되었고, 원고가 소외 조합의 조합원들이 원시취득한 조합아파트 중 이 사건 부동산을 배정받음으로써 이 사건 부동산은 원고의 소유로 확정되었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판결의 기판력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점들에 관한 상고이유는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소외 조합은 그 실체에 있어 비법인사단에 해당하고, 원고는 그 조합원 지위에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취득한 것이므로, 소외 조합이 조합원 지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원고에 대하여 이 사건 아파트에 관한 분양계약을 해제하거나 취소하였다 하여 원고의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권리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소외 조합이 원고를 조합원으로 가입시켜 원고에게 이 사건 부동산을 배정한 것과 원고가 소외 조합을 상대로 위 조합원지위확인판결을 받은 것이 원고와 소외 조합이 통정하여 사회질서에 반하는 행위를 한 것이라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이 점들에 관한 상고이유도 모두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신성택 서성(주심) 유지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조합원 자격, 쉽게 알려드립니다!

주택조합 조합원 자격 기준 미달 시 자동으로 자격을 잃는 것은 아니며, 관련 법 금지 규정을 어긴 약속을 했다고 해서 그 약속이 무효인 것도 아니다.

#주택조합#조합원 자격#금지규정#약정 효력

형사판례

아파트 조합원 자격, 제대로 갖춰야죠!

아파트 조합원 자격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주택 공급권을 샀다 팔았다는 이유로 처벌할 수는 없다. 적법한 주택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갖춘 후에야 주택 공급권이 생기고, 그 이후에 양도·양수를 했을 때 처벌할 수 있다.

#주택공급권#양도#양수#대법원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조합원 자격 상실, 조합의 해지 없이도 가능할까?

지역주택조합 조합원이 세대주 자격을 잃으면 조합 측의 별도 해지 절차 없이도 자동으로 조합원 자격을 상실한다.

#지역주택조합#조합원 자격 상실#세대주 자격#조합 규약

민사판례

우리 아파트 주택조합, 그 정체는 무엇일까요?

주택조합은 구성원들이 바뀌어도 그 자체로 존재하는 비법인사단입니다. 따라서 조합원 개인이 조합 재산에 대해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주택조합#비법인사단#조합재산#권리

민사판례

지역주택조합 미분양 아파트, 총회 결의 없이 분양해도 유효할까?

주택조합이 규약으로 운영위원회나 대행사에 미분양 아파트 처분 권한을 위임했다면, 조합원 총회 결의 없이 체결된 분양계약도 유효하다.

#주택조합#임의분양#분양계약 유효#조합원 총회

일반행정판례

주택조합 아파트, 자격 없는 조합원 있으면 사용검사 못 받아요!

주택조합이 아파트를 지을 때, 자격 없는 조합원을 정리하거나 조합원 변동이 생기면 사업계획 변경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검사를 받을 수 없고, 따라서 입주할 수 없습니다.

#주택조합#무자격 조합원#사업계획 변경#사용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