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유기

사건번호:

99도1904

선고일자:

19991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직무유기죄의 성립요건 [2] 하나의 행위가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와 작위범인 범인도피죄의 구성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그 중 하나의 죄로만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직무유기죄는 구체적으로 그 직무를 수행하여야 할 작위의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직무를 버린다는 인식하에 그 작위의무를 수행하지 아니하면 성립하는 것이다. [2] 하나의 행위가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와 작위범인 범인도피죄의 구성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공소제기권자는 재량에 의하여 작위범인 범인도피죄로 공소를 제기하지 않고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로만 공소를 제기할 수도 있다.

참조조문

[1] 형법 제122조 / [2] 형법 제122조 , 제151조 제1항 , 형사소송법 제24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5. 11. 25. 75도306 판결 대법원 1983. 3. 22. 선고 82도3065 판결(공1983, 775),, 대법원 1983. 3. 22. 선고 82도3065 판결(공1983, 775), 대법원 1997. 4. 22. 선고 95도748 판결(공1997상, 1675)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김남진 【원심판결】 고등군법 1999. 3. 2. 선고 98노74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의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 및 피고인의 상고이유 제1, 3점에 대하여 직무유기죄는 구체적으로 그 직무를 수행하여야 할 작위의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직무를 버린다는 인식하에 그 작위의무를 수행하지 아니하면 성립하는 것이다(대법원 1997. 4. 22. 선고 95도748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위와 같은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이 국방부 합동조사단장으로부터 공소외 1의 병무비리사건과 관련하여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수배 중인 공소외 2을 체포하도록 구체적인 임무를 부여받아 그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공소외 2과 여러 차례에 걸쳐 전화통화를 하고, 나아가 공소외 2을 위하여 서류를 전달해주는 한편 그의 예금통장까지 개설해 주고서도 그와 같은 사실을 보고조차 하지 아니하여 직무를 유기하였다는 이 사건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여 처벌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직무유기죄에 관한 법리오해, 기대가능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피고인 및 국선 변호인의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2. 피고인의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하나의 행위가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와 작위범인 범인도피죄의 구성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공소제기권자는 재량에 의하여 작위범인 범인도피죄로 공소를 제기하지 않고 부작위범인 직무유기죄로만 공소를 제기할 수도 있으므로, 군검찰관이 피고인의 행위를 범인도피죄로 공소를 제기하지 않고 직무유기죄로만 공소를 제기한 이 사건에서 원심이 그 공소범위 내에서 피고인을 직무유기죄로 인정하여 처벌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죄수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김형선 이용훈(주심) 조무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경찰관이 수배자를 놓아주면 범인도피죄와 직무유기죄가 모두 성립할까?

지명수배범을 돕고 도피시킨 경찰관에게 범인도피죄 외에 직무유기죄가 추가로 성립하는지 여부와 범인도피죄의 기수 및 종료 시점에 대한 판례입니다.

#경찰관#범인도피#직무유기#기수

형사판례

공무원의 직무유기죄, 어떤 경우에 성립할까?

경찰관이 교통사고 발생 사실을 알고도 정당한 이유 없이 수사를 미루면 직무유기죄가 성립한다. 직무유기죄는 단순히 업무를 성실히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업무를 하지 않은 경우에 성립한다. 또한, 직무유기는 하지 않아야 할 의무를 위반한 순간 죄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의무를 계속 이행하지 않는 동안 죄가 지속되는 것으로 본다.

#경찰관#교통사고#수사지연#직무유기죄

형사판례

경찰관이 범인을 돕게 되면 어떤 죄가 될까?

검사의 범인 검거 지시를 받은 경찰관이 오히려 범인을 도피시킨 경우, 범인도피죄만 성립하고 직무유기죄는 별도로 성립하지 않는다.

#범인도피죄#직무유기죄#상상적 경합#경찰관

형사판례

공무원의 실수, 무조건 직무유기일까?

단순히 직무를 성실히 하지 않았거나 실수로 잘못 처리한 것은 직무유기죄가 아니다. 고의로 직무를 방치하거나 포기해야 직무유기죄가 성립한다.

#공무원#직무유기죄#고의#방치

형사판례

뇌물죄의 '직무'와 수뢰후부정처사죄의 '부정한 행위', 그리고 공소장 변경 없는 사실인정

이 판례는 뇌물죄에서 '직무'의 범위를 넓게 해석하고, 공소장 변경 없이 법원이 사실인정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요건을 제시합니다.

#뇌물죄#직무범위#공소장변경#사실인정

형사판례

위법 은폐 목적의 허위공문서 작성 시, 직무유기죄는 성립할까?

공무원이 위법 사실을 숨기려고 허위 공문서를 만들어 사용한 경우, 허위공문서 작성죄 외에 직무유기죄가 추가로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허위공문서작성#직무유기죄#불성립#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