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9도82

선고일자:

199904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소사실의 특정 정도 [2] 폭행죄의 공소사실로서 그 범행의 일시, 장소, 수단 등이 특정되어 있으나 단지 피해자가 성명미상으로 표시된 경우, 범죄사실이 특정되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공소사실의 특정은 공소제기된 범죄의 성격에 비추어 그 공소의 원인이 된 사실을 다른 공소사실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일시, 장소, 방법, 목적 등을 적시하여 특정하면 족하고, 그 일부가 다소 불명확하더라도 그와 함께 적시된 다른 사항들에 의하여 그 공소사실을 특정할 수 있고, 그리하여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면, 공소제기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2] 폭행죄의 공소사실로서 그 범행의 일시, 장소, 수단 등이 특정되어 있으나 단지 피해자가 성명미상으로 표시된 경우, 범죄사실이 특정되었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254조 / [2] 형사소송법 제254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1. 20. 선고 86도2260 판결(공1987, 325), 대법원 1989. 12. 12. 선고 89도2020 판결(공1990, 311),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1도2496 판결(공1992, 722), 대법원 1996. 5. 31. 선고 96도197 판결(공1996하, 2087), 대법원 1997. 7. 11. 선고 97도1097, 97감도34 판결(공1997하, 2581) /[2] 대법원 1995. 3. 24. 선고 95도22 판결(공1995상, 1785), 대법원 1995. 8. 22. 선고 95도594 판결(공1995하, 3305), 대법원 1996. 2. 13. 선고 95도2121 판결(공1996상, 1025)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및 검사 【변호인】 변호사 김익성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8. 12. 16. 선고 98노2180 판결 【주문】 검사 및 피고인 피고인 1, 피고인 2의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범죄단체조직 및 가입의 점에 관하여,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4조에 규정된 범죄단체라 함은 폭력을 내용으로 하는 각종 범죄를 행한다는 공동목적 아래 특정다수인에 의하여 이루어진 계속적이고 최소한 통솔체제를 갖춘 조직체를 의미하고, 또 폭력범죄단체로 인정하여 처단하기 위하여는 일정한 범죄를 저지르거나 준비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여러 명의 공범이 가담하였다는 정도를 넘어서 그들이 일정한 통솔체계에 따라 일사불란하게 행동하고, 계속적으로 범행을 계획하고 실행할 우려가 있을 정도로 유기적인 결합체를 이룬 경우를 의미한다고 전제한 다음, 피고인들이 그와 같은 범죄단체의 구성을 결의하거나 이를 조직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러한 원심의 인정·판단은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4조 소정의 범죄단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2. 피고인 피고인 1 및 변호인들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공소사실의 특정은 공소제기된 범죄의 성격에 비추어 그 공소의 원인이 된 사실을 다른 공소사실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일시, 장소, 방법, 목적 등을 적시하여 특정하면 족하고, 그 일부가 다소 불명확하더라도 그와 함께 적시된 다른 사항들에 의하여 그 공소사실을 특정할 수 있고, 그리하여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면, 공소제기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대법원 1989. 12. 12. 선고 89도2020 판결, 1987. 1. 20. 선고 86도2260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 피고인 2에 대한 폭행죄의 공소사실로서 그 범행의 일시, 장소, 수단 등이 특정된 것으로 인정되므로, 단지 피해자가 성명미상으로 표시되어 있다 하여 범죄사실이 특정되지 아니하여 그 공소제기가 부적법하다고 볼 수는 없다. 이 점을 지적하는 피고인 피고인 2의 변호인의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또한 원심판결과 관계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 피고인 1의 판시 상해죄에 대하여 심신미약의 감경을 하지 아니한 것과, 피고인 피고인 1, 피고인 2의 판시 폭행의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것은 모두 수긍이 가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심신장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 또한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검사 및 피고인 피고인 1, 피고인 2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돈희(재판장) 지창권 송진훈(주심) 변재승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폭행 당했는데 가해자 인적사항을 몰라요?! 보상은 어떻게 받죠? 🤔

가해자 인적사항을 모르는 폭행 피해자는 법원의 '사실조회'를 통해 검찰에 가해자 정보를 요청, 민사소송으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폭행#가해자 인적사항 불명#손해배상#사실조회

형사판례

폭행치사죄에서 '불상의 방법'으로는 유죄 판결 어려워!

폭행치사 사건에서 판결문에 단순히 '불상의 방법으로 가격'했다고만 적으면 유죄 판결의 이유가 충분하지 않다. 어떤 방식으로 폭행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폭행치사#판결#폭행방법#불상

형사판례

폭행 사건, 피해자 특정 못하면 공소 무효!

여러 사람을 폭행한 사건에서, 검사가 공소장에 피해자를 특정하지 않으면 공소가 무효가 된다는 판결.

#폭행#피해자 특정#공소 무효#공소장

형사판례

상해죄? 상처 부위를 특정해야 인정됩니다!

상해죄가 성립하려면 단순히 상해를 입혔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구체적으로 어느 부위에 어떤 상해를 입혔는지 명확히 밝혀져야 합니다.

#상해죄#상해부위 특정#신체 완전성#생리적 기능 장애

민사판례

꼭 이름을 밝혀야 명예훼손인가요?

신문기사에서 특정인의 실명을 거론하지 않았더라도, 기사 내용과 주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누구를 지칭하는지 알 수 있다면 명예훼손이 성립될 수 있다.

#명예훼손#실명#특정#신문기사

형사판례

범행 현장에 없어도 공범? 협박과 폭행으로 인한 실신도 상해죄!

범죄를 함께 모의했지만 현장에 없었더라도 공동정범으로 처벌될 수 있으며, 협박과 폭행으로 실신한 경우 상해로 인정되고, 진단서 없이도 다른 증거로 상해를 인정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공모공동정범#협박폭행#실신#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