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무효(상)

사건번호:

99후2044

선고일자:

19991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플라토닉딥시 상표 " "와 "DEEP"의 유사 여부(소극) PLATONIC DEEP-SEA

판결요지

플라토닉딥시 등록상표 " "와 인용상표 "DEEP"을 비교하여 보면, 등록상표 PLATONIC DEEP-SEA 는 한글 '플라토닉딥시'와 영문 'PLATONIC DEEP-SEA'가 상하 2단으로 구성된 결합상표인데 반하여, 인용상표는 영문으로 단순히 'DEEP'으로 표기하고 있어 그 외관이 상이하고, 등록상표는 '플라톤의, 플라톤 철학의, 플라톤 학파의' 등을 뜻하는 '플라토닉/PLATONIC', 일반적으로 '깊은' 등을 뜻하는 '딥/DEEP', '바다'를 뜻하는 '시/SEA'로 구성되어 있으나, 영문자 'DEEP'과 'SEA'가 하이픈으로 연결됨으로써 '심해의, 원양의' 등의 뜻을 가진 새로운 관념을 형성하는 단어로 되어 이를 '딥/DEEP'과 '시/SEA'로 분리하여 관찰하기에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결국 등록상표는 '플라토닉/PLATONIC'과 '딥시/DEEP-SEA'로 분리하여 관찰될 수 있지만, 등록상표가 '딥시/DEEP-SEA'로 약칭된다고 하여도 인용상표 '딥/DEEP'과는 호칭 및 관념이 상이하여 거래자나 일반 수요자들로 하여금 상품의 출처에 대한 오인·혼동을 초래할 염려가 없다고 할 것이므로 두 상표는 유사하지 아니하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 제71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7. 9. 26. 선고 96후2517 판결(공1997하, 3294), 대법원 1998. 7. 14. 선고 97후2866 판결(공1998하, 2120), 대법원 1999. 4. 23. 선고 98후829 판결(공1999상, 1049), 대법원 1999. 7. 23. 선고 98후2382 판결(공1999하, 1787)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주식회사 태평양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삼정 담당변호사 김학세 외 11인) 【피고,피상고인】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심판결】 특허법원 1999. 6. 11. 선고 99허221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플라토닉딥시 【이유】이 사건 등록상표 " "와 인용상표 "DEEP"을 비교하여 PLATONIC DEEP-SEA 보면, 등록상표는 한글 '플라토닉딥시'와 영문 'PLATONIC DEEP-SEA'가 상하 2단으로 구성된 결합상표인데 반하여, 인용상표는 영문으로 단순히 'DEEP'으로 표기하고 있어 그 외관이 상이하고, 등록상표는 '플라톤의, 플라톤 철학의, 플라톤 학파의' 등을 뜻하는 '플라토닉/PLATONIC', 일반적으로 '깊은' 등을 뜻하는 '딥/DEEP', '바다'를 뜻하는 '시/SEA'로 구성되어 있으나, 영문자 'DEEP'과 'SEA'가 하이픈으로 연결됨으로써 '심해의, 원양의' 등의 뜻을 가진 새로운 관념을 형성하는 단어로 되어 이를 '딥/DEEP'과 '시/SEA'로 분리하여 관찰하기에 자연스럽지 못하므로, 결국 등록상표는 '플라토닉/PLATONIC'과 '딥시/DEEP-SEA'로 분리하여 관찰될 수 있지만, 등록상표가 '딥시/DEEP-SEA'로 약칭된다고 하여도 인용상표 '딥/DEEP'과는 호칭 및 관념이 상이하여 거래자나 일반 수요자들로 하여금 상품의 출처에 대한 오인·혼동을 초래할 염려가 없다고 할 것이므로 두 상표는 유사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나 판례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지창권(재판장) 신성택 서성(주심) 유지담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바다 진주와 진주, 같은 상표일까요? 상표 유사 판단 기준 알아보기

영어 단어 "OCEAN PEARL"과 한글 "진주"는 의미상 일부 유사성이 있지만, 전체적인 외관과 발음이 달라 일반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유사한 상표로 볼 수 없다.

#상표#OCEAN PEARL#진주#유사성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유사 상표와 유사 상품은 무엇일까요?

'아르멕스'라는 상표를 페인트 제거제에 사용하려는 출원이 기존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아멕스')와 유사하고, 지정 상품도 유사하여 거절되었습니다.

#아르멕스#상표등록거절#아멕스#상표유사

특허판례

'SUPRO-PLUS'와 'PLUS'는 헷갈릴 수 있을까? 상표 유사성 판단 이야기

"SUPRO-PLUS"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PLUS" 상표와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비록 전체적인 모양과 의미는 다르더라도, "SUPRO-PLUS"를 "플러스"라고 줄여 부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상표#SUPRO-PLUS#PLUS#유사

특허판례

'국제' 상표, 유사 판정 받아!

도형과 함께 '국제상사'라는 상표를 등록하려 했지만, 이미 '국제'라는 상표가 존재해서 거절당한 사례입니다. 법원은 도형이 붙어있더라도 '상사' 부분은 식별력이 없어 핵심인 '국제'만 남고, 기존 '국제' 상표와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국제상표#유사상표#도형#식별력

특허판례

비슷한 상표, 누구 거야? 상표 유사 판단 기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유사상표#호칭#발음#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Natural'이 들어간 상표, 무조건 유사할까? 천연 성분 화장품 상표 분쟁 이야기

'내츄럴' 또는 'NATURAL'은 화장품에서 천연 성분을 암시하는 일반적인 표현이므로 상표의 핵심 요소로 볼 수 없어, 해당 부분이 유사하더라도 전체적인 상표가 다르면 유사상표로 판단하지 않는다는 판결.

#화장품#상표#NATURAL#내츄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