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온 나라가 떠들썩했던 시기, 기억하시나요? 당시 촛불집회 도중 일부 시위자와 경찰의 충돌로 인해 경찰관 부상, 경찰버스 손괴 등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에 국가는 집회를 주최한 단체와 주요 구성원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는데요, 그 결과가 최근 대법원에서 확정되었습니다.
국가는 왜 배상을 청구했을까요?
국가는 집회 주최측이 폭력 시위를 예상하고도 막지 못했거나, 심지어 폭력 시위를 부추겼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쉽게 말해, 주최측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해 국가가 손해를 입었다는 것이죠. 이를 법적으로는 '공동불법행위'라고 합니다. (민법 제760조)
법원의 판단은?
1심과 2심에 이어 대법원도 국가의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핵심적인 판단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판결은 집회·시위의 자유를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주최측의 책임 범위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물론 폭력 행위는 어떤 상황에서도 정당화될 수 없지만, 집회 주최측에 모든 책임을 묻기는 어렵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입니다.
상담사례
경찰의 시위 진압은 상황에 비해 과도하거나 물리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불법이며, 소극적 저항에도 폭력을 행사하면 불법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집회·시위 참가자는 과잉진압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켜야 한다.
민사판례
경찰의 시위 진압 중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으로 건물에 불이 나 주민이 손해를 입었더라도, 경찰의 시위 진압 방법이 현저히 불합리하지 않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이 없다.
상담사례
시위 중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으로 가게가 불탔지만, 경찰의 과실을 입증하기 어려워 국가 배상 가능성은 낮다.
민사판례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에서 체포된 여성들에게 경찰이 유치장 입감 과정에서 브래지어 탈의를 요구한 행위는 위법하며,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민사판례
집회 참가자들이 사용할 조형물을 실은 차량을 경찰이 도로교통법 위반을 이유로 견인하고, 이에 항의하는 참가자를 체포한 행위에 대해 법원은 경찰의 직무집행이 정당성을 잃은 위법한 행위라고 판단하여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민사판례
이 판례는 검찰의 잘못된 수사로 무죄 판결을 받은 경우 국가의 배상 책임이 인정되는 기준과, 목격자의 진술이 허위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수사기관의 불법행위 책임은 수사 과정이 매우 불합리했을 때에만 인정되며, 목격자 진술의 경우, 형사재판에서 무죄 판결이 나왔다는 사실만으로는 목격자의 진술이 허위였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