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에서 장사하는 분들, 주목! 시위 도중 갑자기 날아든 화염병 때문에 가게가 불타버렸다면?! 억울한 마음에 발만 동동 구르지 마시고, 오늘 포스팅을 꼭 확인하세요. 국가에 배상을 요구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열심히 장사하던 甲씨. 어느 날, 가게 앞 도로에서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경찰과 시위대 간의 충돌이 격해지더니, 갑자기 시위자가 던진 화염병이 甲씨의 가게로 날아들었습니다. 순식간에 불길에 휩싸인 가게는 잿더미가 되어버렸습니다. 이런 경우, 국가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요?
국가배상 책임, 어떤 경우에 인정될까?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에 따르면,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국민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국가는 배상 책임을 집니다. 즉,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와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핵심은 '경찰의 위법 행위' 입증!
그렇다면 시위 진압 중 발생한 화재에 대해 국가가 배상 책임을 지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핵심은 경찰의 시위 진압 과정에서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대법원 판례(대법원 2000. 11. 10. 선고 2000다26807 판결)는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법령이 정한 요건과 절차에 따랐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적법한 것으로 봅니다. 단순히 시위 진압 과정에서 피해가 발생했다고 해서 바로 국가의 배상 책임이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위 진압 중 화재, 국가 배상은 쉽지 않다?
실제로 시위 진압 과정에서 시위자가 던진 화염병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에 대해 국가 배상 책임을 묻는 소송에서 패소한 사례(대법원 1997. 7. 25. 선고 94다2480 판결)가 있습니다. 이 판례에서 대법원은 경찰의 시위 진압이 불필요하거나, 시위 상황에 비해 현저히 불합리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위법하다고 평가될 수 있는 경우에만 국가 배상 책임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결론:
위 사례에서 甲씨가 국가 배상을 받으려면, 경찰이 시위 상황에 비해 지나치게 과도하고 불합리한 방법으로 진압을 했다는 점을 입증해야 합니다. 단순히 시위 중 화재가 발생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국가 배상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경찰의 시위 진압 중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으로 건물에 불이 나 주민이 손해를 입었더라도, 경찰의 시위 진압 방법이 현저히 불합리하지 않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이 없다.
민사판례
경찰의 과도한 시위 진압으로 시위 참가자가 사망한 사건에서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지만, 시위 참가자에게도 사망에 이르게 된 책임이 있다고 보아 배상액의 30%를 감액했습니다.
형사판례
용산 재개발 지역 철거 반대 농성 중 발생한 화재로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에서, 농성자들이 던진 화염병이 화재 원인이며, 경찰의 진압 작전은 적법했다는 대법원 판결.
상담사례
경찰의 시위 진압은 상황에 비해 과도하거나 물리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불법이며, 소극적 저항에도 폭력을 행사하면 불법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집회·시위 참가자는 과잉진압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켜야 한다.
민사판례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에서 발생한 폭력 시위로 인한 손해에 대해 국가가 집회 주최 측에 손해배상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집회 주최 측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민사판례
군부대에서 폭음탄이 유출되어 범죄에 사용되고, 그 결과로 민간인이 부상을 입은 사건에서, 군의 관리 책임자의 과실과 피해자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어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