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010년 12월 31일 이전에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한 법인사업자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세금계산서 관련 의무와 가산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한 법 조항 때문에 머리 아파하지 마세요!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2010년에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했다면? 이것까지 해야 했어요!
2010년 12월 31일 이전에는 법인사업자라도 전자세금계산서 외에 종이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면 다음 두 가지 의무를 모두 지켜야 했습니다.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 가산세 폭탄!
위의 의무를 지키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어떤 경우에 어떤 가산세가 부과되는지 알아볼까요?
핵심 정리!
2010년 이전이라도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면 발급명세 전송과 합계표 제출 의무가 모두 있었습니다. 하지만 발급명세를 전송하면 합계표 제출 의무는 면제되었고, 두 가지 모두 안 했다면 합계표 미제출 가산세만 부과되었습니다. 2010년 말까지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명세 미전송 가산세가 면제되었다는 점도 기억해 두세요!
참고 조문:
이 글이 2010년 이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과 관련된 의무와 가산세에 대한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관련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은 원칙적으로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가 면제되는데, 허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해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했다 하더라도 조세범 처벌법 위반으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정보를 국세청에 전송하면 세금계산서 합계표 제출 의무가 면제되는데, 이 경우 합계표에 거래처 정보를 상세히 적지 않고 총합계만 기재해도 조세범 처벌 대상이 되는지 여부. (처벌 대상 아님)
형사판례
이 판결은 전자세금계산서와 관련하여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도 제출했는데, 그 내용이 허위인 경우 조세범처벌법 위반인지, 조세포탈죄의 고의는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집행유예 기간이 끝난 전과가 선고유예를 받을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와 허위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에 대한 가중처벌 기준을 다룹니다. 특히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도입 이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한 합계표 제출 의무가 없음에도 제출된 경우, 이를 허위 합계표 제출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내역을 국세청에 전송하면 매출/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가 면제되는데, 이 경우 합계표에 거래처 정보를 일일이 기재하지 않고 총합계만 기재해도 조세범 처벌 대상이 되는지 여부
형사판례
세금계산서를 고의로 발행하지 않은 경우, 실제 탈세 금액과 상관없이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율을 기준으로 벌금을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