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12.28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그리고 조세범 처벌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자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 관련해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허위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경우, 세금계산서합계표와 관련하여 어떤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도입 배경

과거에는 종이 세금계산서를 사용했지만, 납세 관련 비용 절감과 거래 투명성 확보를 위해 전자세금계산서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는 발급과 동시에 국세청에 전송되기 때문에, 거래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제32조 제2항, 제3항)

전자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국세청에 전송했다면, 부가가치세 신고 시 매출·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됩니다. (부가가치세법 제54조 제2항) 즉, 전자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이미 국세청에 전송되었기 때문에, 굳이 합계표를 따로 제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허위 전자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만약 허위로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가 면제됨에도 불구하고 합계표를 제출한 경우, 조세범 처벌법 위반에 해당할까요? 이번 판례는 "아니오"라고 판단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해서는 합계표 제출 의무가 없고, 설령 제출하더라도 매출·매입처별 명세와 같은 필수 기재사항이 기재되지 않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38호 서식(1)], [별지 제39호 서식(1)]) 따라서 허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해 합계표를 제출했더라도, 이를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매출·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를 거짓으로 기재하여 정부에 제출한 행위" (조세범 처벌법 제10조 제3항 제3호)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죠.

판례의 결론

이번 대법원 판결은 허위 전자세금계산서와 관련된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제도의 취지와 세금계산서합계표의 역할을 고려하여, 허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한 합계표 제출 행위만으로는 조세범 처벌법 위반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7도12804 판결)

관련 법 조항:

  • 부가가치세법 제32조 제2항, 제3항
  • 부가가치세법 제54조 제1항, 제2항
  •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별지 제38호 서식(1)], [별지 제39호 서식(1)]
  • 조세범 처벌법 제10조 제3항 제3호
  •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이번 포스팅이 전자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관련 법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복잡한 세금 문제, 꼼꼼하게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그리고 조세포탈죄

이 판결은 전자세금계산서와 관련하여 세금계산서합계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도 제출했는데, 그 내용이 허위인 경우 조세범처벌법 위반인지, 조세포탈죄의 고의는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집행유예 기간이 끝난 전과가 선고유예를 받을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세금계산서합계표#허위기재#조세포탈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어디까지 적어야 할까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정보를 국세청에 전송하면 세금계산서 합계표 제출 의무가 면제되는데, 이 경우 합계표에 거래처 정보를 상세히 적지 않고 총합계만 기재해도 조세범 처벌 대상이 되는지 여부. (처벌 대상 아님)

#전자세금계산서#합계표#총합계기재#조세범처벌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와 세금계산서합계표,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례는 허위 세금계산서와 허위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에 대한 가중처벌 기준을 다룹니다. 특히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도입 이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에 대한 합계표 제출 의무가 없음에도 제출된 경우, 이를 허위 합계표 제출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허위 전자세금계산서#가중처벌#허위 합계표#전자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 없음

형사판례

전자세금계산서 총합계만 기재했는데, 조세포탈인가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내역을 국세청에 전송하면 매출/매입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 의무가 면제되는데, 이 경우 합계표에 거래처 정보를 일일이 기재하지 않고 총합계만 기재해도 조세범 처벌 대상이 되는지 여부

#전자세금계산서#합계표#거래처정보#총합계

세무판례

2010년 이전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꼭 알아야 할 의무와 가산세!

2010년 12월 31일 이전에도 법인이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했다면,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명세를 국세청에 전송해야 할 뿐만 아니라 세금계산서합계표도 제출해야 합니다. 다만,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명세를 제대로 전송했다면 합계표 제출은 면제됩니다. 둘 다 안 했다면 합계표 미제출 가산세만 내면 됩니다.

#전자세금계산서#합계표#제출의무#발급명세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수취, 가중처벌 기준은 어떻게 될까?

한 사람이 서로 다른 사업자로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동시에 수취한 경우, 가중처벌을 위한 공급가액은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

#허위세금계산서#가중처벌#공급가액#합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