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7.01.12

세무판례

가짜 세금계산서로 부가세 공제받았다면? 10년 동안 세금 추징당할 수도!

사업을 하다 보면 세금계산서 발급과 매입세액 공제는 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런데 만약 실제 거래 없이 가짜 세금계산서를 받아 부가가치세를 공제받았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플라스틱 제조업체가 다른 회사로부터 실제 거래 없이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을 공제받았습니다. 세무서는 이를 적발하고 5년이 지난 후에 세금을 추징했습니다. 사업자는 부과제척기간 5년이 지났으므로 세금 추징은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세무서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 세금을 포탈한 경우에는 10년까지 세금을 추징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한 것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맞섰습니다.

쟁점

가짜 세금계산서를 받아 매입세액 공제를 받은 행위가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는지가 핵심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단순히 가짜 세금계산서를 받아 매입세액을 공제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하려면 다음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가짜 세금계산서로 매입세액 공제를 받는다는 인식: 사업자가 가짜 세금계산서임을 알고 부당하게 세금 혜택을 받으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2. 국가 조세 수입 감소에 대한 인식: 가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자가 세금을 내지 않아, 결국 국가의 세금 수입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즉, 사업자가 가짜 세금계산서를 받았더라도, 세금계산서 발급자가 정상적으로 세금을 납부할 것이라고 생각했다면 10년 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5년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됩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구 국세기본법(2007. 12. 31. 법률 제88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의2 제1항 제1호, 제3호: 국세 부과제척기간에 대한 규정. 일반적인 경우 5년, 사기 등 부정한 행위로 국세를 포탈한 경우 10년.
  •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3두19516 판결
  • 대법원 2015. 2. 16. 선고 2014두42001 판결

결론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한 부가가치세 공제는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세금 혜택을 받으려는 의도가 없었다 하더라도, 세금계산서의 진위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지 않으면 뜻하지 않게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항상 주의를 기울여 성실하게 세금 신고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가짜 계약서로 부가세 공제받았다면? 10년 세금 추징 가능할까?

허위 세금계산서를 이용해 부당하게 매입세액을 공제받더라도, 그것만으로 10년 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하기는 어렵다. 납세자가 국가 세수 감소에 대한 인식까지 가지고 있어야 10년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된다.

#허위 세금계산서#매입세액 공제#부과제척기간 10년#국가 세수 감소 인식

세무판례

가짜 세금계산서를 썼지만 세금을 덜 내진 않았다면? 부가가치세 가산세 부과제척기간은 5년!

실제 거래 없이 가짜로 매입·매출세금계산서를 발행했더라도, 그로 인해 세금을 덜 내거나 더 돌려받지 않았다면 세무서가 세금을 추징할 수 있는 기간은 5년으로 제한된다.

#가공세금계산서#부가가치세#부과제척기간(5년)#탈세여부

세무판례

가짜 세금계산서, 매입세액 공제받았다면 10년 세금 추징?

실제 공급자와 세금계산서상 공급자가 다른 경우, 매입세액 공제를 받은 납세자에게 10년 부과제척기간(세금을 추징할 수 있는 기간)을 적용하려면, 납세자가 단순히 세금계산서가 사실과 다름을 알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국가 세금이 줄어든다는 사실까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세금계산서#매입세액공제#부과제척기간#사실과다른세금계산서

세무판례

가짜 거래로 세금 덜 냈다면? 10년 동안 세무조사 받을 수 있어요!

실제 거래 없이 발행된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공제받거나 법인세를 탈루한 경우, 단순히 세금 신고를 잘못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탈세 행위로 볼 수 있어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가짜 세금계산서#법인세 탈루#부과제척기간 10년#사기

세무판례

세금 안 내려고 장부 안 만들면 10년 동안 세무조사 받을 수 있어요!

세금 탈루를 목적으로 고의로 장부를 작성하지 않거나 숨긴 경우, 세금 부과 제척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난다는 판결. 단순히 세금 신고를 안 하거나 잘못 신고한 것만으로는 10년이 적용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숨기려는 의도가 있어야 함.

#장부미작성#부과제척기간#10년#고의

세무판례

가짜 세금계산서, 매입세액 공제받을 수 없어요!

자료상 등 실제 물건을 공급하지 않은 사업자의 이름으로 발행된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다. 특히,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공급자가 실제 공급자와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세금계산서의 다른 내용(공급가액, 날짜 등)이 사실과 일치하더라도 매입세액 공제는 불가능하다.

#세금계산서#매입세액공제#실제공급자#자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