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1.28

민사판례

가처분 뒤집히면 의결권 행사도 유효! 주주총회 결의 효력에 관한 이야기

주주총회!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자리이죠. 그런데 만약 주주총회에서 누군가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게 막는 법원의 결정이 있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나중에 그 결정이 잘못된 것으로 판결난다면, 그 사이에 이루어진 주주총회 결의는 유효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A라는 사람이 B회사와 다른 주주들을 상대로 특정 주식에 대한 의결권 행사를 금지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했습니다.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강제조정 결정을 내렸고, 이는 가처분과 같은 효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민사조정법 제30조 참조)

그런데 이후 B회사의 주주총회에서 문제의 주식을 가진 주주들이 강제조정 결정을 어기고 의결권을 행사했습니다. 이 때문에 주주총회 결의의 정족수가 문제 된 상황!

하지만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A가 B회사 등을 상대로 제기한 본안소송(가처분의 근거가 된 소송)에서 A가 패소했습니다. 즉, 처음부터 A가 의결권 행사를 막을 권리가 없었던 것이죠.

결국 대법원은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가처분이나 강제조정 결정을 어긴 행위가 무효가 되는 것은 단순히 절차를 어겼기 때문이 아니라, 가처분으로 보호하려던 권리를 침해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본안소송에서 A가 보호받을 권리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으니, 주주들이 의결권을 행사한 것은 아무런 권리 침해도 아니라는 겁니다. 따라서 의결권 행사는 유효하고, 주주총회 결의에도 문제가 없다는 결론! (상법 제361조, 제369조, 민사집행법 제300조 참조)

이 판례는 가처분과 본안소송의 관계, 그리고 의결권 행사의 효력에 대해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가처분 결정이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면, 그에 따른 위험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알려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주식, 제대로 넘겨받았나요? 주주총회 결의 효력에 관한 이야기

기명주식 양도는 단순 합의만으로는 불충분하며, 주권 양도가 이뤄져야 법적 효력이 발생하여 주주총회 참여 및 의결권 행사가 가능하다.

#기명주식#양도#주권#주주총회

형사판례

주주 전원 동의하면 소집절차 없어도 주주총회 결의 유효!

모든 주주가 참석하고 동의한 주주총회 결의는 소집절차가 잘못되었더라도 유효하며, 이에 따라 작성된 서류는 위법하지 않다.

#주주총회#소집절차#주주 전원 동의#결의 유효

상담사례

주주총회 소집, 제대로 안 하면 큰일 나요! 😱

주주총회 소집 절차(특히 소집 통지)에 하자가 있으면 모든 주주는 그 결의에 이의를 제기하고 무효화(취소 또는 부존재 확인)를 주장할 수 있다.

#주주총회#소집절차#하자#이의제기

민사판례

주주 전원 참석, 만장일치면 소집절차 없어도 주주총회 결의 유효할까?

주주총회 소집절차에 하자가 있더라도, 의결권을 위임받은 사람을 포함한 모든 주주가 참석하여 만장일치로 결의했다면 그 결의는 유효합니다.

#주주총회#소집절차 하자#만장일치#결의 유효

상담사례

대주주 맘대로? 소수주주 권리 지키기!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대주주가 소수주주에게 통지 없이 혼자 주주총회를 열고 결의한 경우, 해당 결의는 효력이 없으며(부존재),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부존재 확인 소송을 통해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소수주주#대주주#주주총회#부존재 확인 소송

생활법률

주주총회, 맘대로 하게 둘 순 없다! 가처분으로 막아서자!

불법적인 주주총회 결정을 막기 위해 법원에 미리 요청하는 주주총회 가처분은, 신청서에 당사자, 신청취지(총회개최/결의 금지, 효력정지 등), 신청이유(증거 포함), 관할법원, 소명방법, 날짜/서명을 기재하고, 인지 및 송달료를 납부해야 하며, 꼼꼼한 준비가 필요하다.

#주주총회#가처분#신청서#신청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