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6.10.12

민사판례

감광드럼 특허침해, 부품 생산만으로도 성립할까?

오늘은 특허 침해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에 들어가는 감광드럼에 대한 특허권 침해 소송인데요, 부품 생산만으로도 특허 침해가 성립하는지, 손해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A사는 특정 기술이 적용된 감광드럼에 대한 특허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B사는 A사의 허락 없이 A사의 특허 기술이 적용된 감광드럼을 생산했습니다. A사는 B사를 상대로 특허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 감광드럼처럼 완제품이 아닌 부품을 생산하는 것만으로도 특허 침해가 성립하는가?
  • 특허 침해로 인한 손해액은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가?
  • 손해배상액 계산에서 비용 공제 방식은 자백의 대상인가?

판결

  1. 부품 생산만으로도 특허 침해 성립

감광드럼은 최종적으로는 프린터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부품이지만, 특허 기술이 적용된 감광드럼을 무단으로 생산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특허 침해가 성립합니다. 꼭 프린터에 장착해서 사용해야만 침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허법 제94조, 제97조, 제127조 제1호)

  1. 손해액 추정과 입증 책임

특허권 침해로 인한 손해액을 계산할 때, 침해자가 침해 행위로 얻은 이익을 손해액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특허법 제128조 제2항) 이때, 특허권자는 실제 손해 발생 여부를 입증할 필요는 없고, 경쟁 관계 등으로 인해 손해 발생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만 입증하면 됩니다. (민사소송법 제203조, 제288조, 대법원 1997. 9. 12. 선고 96다43119 판결)

  1. 비용 공제 방식은 자백 대상 아님

손해액을 계산할 때 침해자가 얻은 이익에서 관련 비용을 공제할 수 있는데, 이때 비용 계산 방식은 자백의 대상이 아닙니다. 즉, 침해자가 특정 비용 계산 방식을 제시했다고 해서 나중에 그 방식에 묶여서 손해배상액을 계산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허법 제12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288조)

결론

이 판례는 특허권 침해 범위와 손해액 산정 방식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품 생산만으로도 특허 침해가 성립한다는 점, 손해 발생 가능성만 입증하면 된다는 점은 특허권자에게 유리한 판결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침해자는 비용 계산 방식에 있어서 자백의 구속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특허법 제94조, 제97조, 제127조 제1호, 제128조 제2항
  • 민사소송법 제203조, 제288조
  • 대법원 1997. 9. 12. 선고 96다43119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레이저 프린터 소모품, 특허 침해일까?

레이저 프린터에 사용되는 특정 소모품 카트리지(감광드럼 카트리지)는 특허받은 프린터의 핵심 부품이며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이 카트리지를 만드는 행위는 특허 침해에 해당한다.

#레이저 프린터#소모품 카트리지#감광드럼#특허 침해

민사판례

CD 제작과 특허침해, 손해배상은 어떻게?

타인의 특허를 허락 없이 사용한 CD 제작업체에 대한 특허 침해 성립과 손해배상액 산정 기준, 그리고 과실 추정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허침해#손해배상#CD 제작#과실추정

특허판례

복잡한 프린터 부품 특허, 과연 유효할까?

캐논이 보유한 복사기 카트리지 관련 특허에 대해 국내 기업들이 특허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대법원은 캐논의 특허가 유효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복사기 카트리지#특허#캐논#무효소송

특허판례

특허 침해? 부분만 같다고 다 침해는 아니에요!

특허는 발명의 각 구성요소가 결합된 전체 기술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지, 각 구성요소를 따로따로 보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는 특허받은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일부 구성요소가 이미 알려진 기술이라도 다른 구성요소와 어떻게 결합하여 새로운 기술적 효과를 내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특허 침해#발명 구성요소#전체 기술#새로운 기술적 효과

특허판례

특허 침해 판단,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균등침해와 출원경과 금반언

이 판결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적용되는 '균등론'의 세부적인 기준과, 균등론 적용 시 구성 변경의 용이성을 판단하는 기준 시점, 그리고 특허 출원 과정에서 특정 구성을 의도적으로 제외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특허 침해#균등론#기준 시점#출원경과 금반언

민사판례

특허 침해와 보호범위, 그리고 손해배상 책임

특허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판단하되, 필요시 명세서와 도면을 참고해야 하며, 특허청구범위 정정 이후에도 실질적 변경이 없다면 침해자의 과실 추정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판결.

#특허#보호범위#청구범위#명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