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7.28

민사판례

갑상선 고주파 절제술,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갑상선 결절 치료를 위해 고주파 절제술을 받았는데, 보험사에서 수술로 인정하지 않아 보험금 지급을 거부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주파 절제술이란?

먼저 고주파 절제술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고주파 절제술은 초음파를 보면서 바늘을 통해 종양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보내 열을 발생시켜 종양을 제거하는 치료법입니다. 절개 부위가 작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험사의 주장과 문제점

보험사는 종종 고주파 절제술이 '절단'이나 '절제'와 같은 외과적 수술이 아니라는 이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부합니다. 기존의 수술 개념에 얽매여 새로운 치료 기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죠.

대법원의 판단

하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보험사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약관에 '수술'의 정의가 명확하게 나와 있지 않다면, 고객에게 유리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죠.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5조)

대법원은 고주파 절제술 역시 종양을 제거하는 목적의 의료행위이고, 의료기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수술'에 포함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고주파 절제술이 외과적 수술과 다르다고 해서 '수술'이 아니라고 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이 판결은 보험 약관 해석에 있어서 고객에게 유리하게, 보험사에게 불리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에도 부합합니다.

(참고 판례: 대법원 2005. 10. 28. 선고 2005다35226 판결, 대법원 2007. 2. 22. 선고 2006다72093 판결)

결론

갑상선 결절 치료를 위해 고주파 절제술을 받았다면, 보험 약관에 '수술'의 정의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한, 수술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보험사가 부당하게 보험금 지급을 거부한다면, 관련 판례를 참고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갑상선 결절,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요? 😰

건강검진에서 치료 불필요 판정받은 갑상선 결절은 고의/중과실 없음을 입증하면 보험금 수령 가능성이 높다.

#갑상선 결절#보험금#계약 전 알릴 의무#치료 필요 없음

민사판례

난소 절제 수술, 보험금 지급 받을 수 있을까?

자궁 질환 치료를 위해 자궁과 난소를 함께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경우, 난소 제거에 암 예방 목적이 포함되었더라도 질병 치료 목적을 겸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면 보험료 납입 면제 사유에 해당한다.

#난소제거#보험료납입면제#암예방#질병치료

상담사례

수술 중 의료사고, 보험금 못 받는다고요? 🤕 알고 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 중 의료사고로 인한 손해는 보험사가 약관에 명시했더라도, 계약 시 이를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다면 보험금 지급을 거부할 수 없다.

#수술중 의료사고#보험금#약관#설명의무

민사판례

수술 중 의료사고, 상해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질병 치료 중 의료사고로 상해를 입었을 때, 상해보험에서 보험금을 지급해야 하는지, 그리고 보험사가 약관에 대해 설명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수술#의료사고#상해보험#면책조항

상담사례

이모가 가입해준 보험, 조카 갑상선암 진단 후 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

이모가 조카의 갑상선암 진단 사실을 모르고 보험에 가입했더라도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아니므로 조카는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보험금 지급#고의/중과실#보험계약자/피보험자 불일치#갑상선결절

민사판례

갑상선 결절 고지 안 했다고 무조건 보험금 못 받는 건 아닙니다!

건강검진에서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었지만, 추가 검사 없이 2년 후 보험 가입 시 이를 알리지 않은 경우, 고지의무 위반으로 보험계약 해지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피보험자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고지의무를 위반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갑상선 결절#고지의무#보험계약#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