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4.14

형사판례

같은 날 여러 번 거짓말하면 위증죄 몇 개? 한 개!

법정에서 선서하고 증인석에 서는 건 중요한 일입니다. 진실만을 말해야 할 의무가 있죠. 만약 거짓말을 하면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날 법정에서 여러 번 거짓말을 하면 위증죄가 여러 개가 될까요? 아니면 하나일까요? 오늘은 이 문제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사람이 상속 관련 재심에서 증인으로 나섰습니다. 이 사람은 같은 날 여러 가지 사실에 대해 거짓말을 했습니다. 이후 이 사람은 위증죄로 재판을 받고 벌금형을 확정받았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이 사람이 그날 했던 다른 거짓말에 대해서도 위증죄로 다시 기소했습니다.

쟁점

같은 날 여러 번 거짓말을 하면 위증죄가 거짓말 횟수만큼 여러 개 성립하는지, 아니면 하나의 위증죄로 봐야 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하나의 사건에 관하여 한 번 선서한 증인이 같은 기일에 여러 가지 사실에 관하여 기억에 반하는 허위 진술을 한 경우, 이는 하나의 범죄의사에 의하여 계속하여 허위 진술을 한 것으로 보아 포괄일죄로서 하나의 위증죄를 구성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여러 번 거짓말을 했더라도 위증죄는 하나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전에 확정판결을 받은 위증죄와 같은 날 같은 사건에 대해 진술한 다른 거짓말은, 내용이 다르더라도 이전 판결의 효력(기판력)이 미치므로 다시 처벌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결과적으로 대법원은 이 사람에 대한 두 번째 위증죄 공소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152조 (위증)
  • 형사소송법 제326조 (면소의 판결)
  • 대법원 1990. 2. 23. 선고 89도1212 판결
  • 대법원 1992. 11. 27. 선고 92도498 판결

결론

같은 날 법정에서 여러 번 거짓말을 하더라도 하나의 위증죄로 처벌받습니다. 이미 그 행위에 대해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다른 거짓말에 대해서는 다시 처벌할 수 없습니다. 이 판례는 법정에서의 진술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같은 재판에서 여러 번 거짓말하면 죄가 여러 개일까? 위증죄, 몇 개?

같은 재판에서 여러 번 거짓말을 하더라도, 한 번 선서를 했으면 위증죄는 하나로 취급됩니다. 심지어 다른 날짜에 증언하더라도, 처음 한 선서가 유효하다면 여전히 위증죄는 하나입니다.

#위증죄#포괄일죄#면소#동일재판

형사판례

한 번 선서하고 여러 거짓말, 위증 몇 개?

법정에서 한 번 선서하고 같은 날 여러 가지 거짓말을 해도 위증죄는 하나만 성립한다.

#위증죄#하나의 선서#여러 거짓말#포괄일죄

형사판례

법정에서 거짓말을 했다가 나중에 진실을 말하면 위증죄가 없어질까?

법정에서 선서 후 거짓 증언을 하고 나중에 다른 재판 날짜에 진실을 말해도, 처음 거짓말을 한 시점에 이미 위증죄가 성립한다.

#위증죄#기수#진실#번복

형사판례

법정에서 거짓말을 했다가 바로 고쳐 말하면 위증죄일까요?

법정에서 선서 후 거짓 증언을 했더라도 신문(질문과 답변)이 끝나기 전에 진실을 말하면 위증죄로 처벌받지 않는다.

#위증죄#정정#진실#신문 종료 전

형사판례

증언 중 말을 바꾸면 위증죄일까요?

증인이 법정에서 선서 후 거짓말을 했더라도 신문(증인에게 질문하는 절차)이 끝나기 전에 진술을 바로잡으면 위증죄로 처벌받지 않는다.

#위증죄#정정#번복#철회

형사판례

이미 유죄 확정된 사람도 공범 재판에서 거짓말하면 위증죄?

이미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이 공범 재판에서 자신의 범행을 부인하고 거짓 증언을 하면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확정판결#범죄자#위증죄#공범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