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건설 사업에서 벌어지는 입찰 담합은 공정한 경쟁을 저희하고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설사 임원들이 입찰 담합에 대해 어떤 책임을 지는지, 특히 감시 의무를 다하지 않은 이사들의 책임 범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대우건설은 4대강 살리기 사업, 영주댐 건설공사, 인천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 등 여러 대형 국책 사업 입찰 과정에서 담합 행위를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았고, 관련 임직원들은 형사 처벌까지 받았습니다. 이에 소액주주들은 회사에 손해를 끼친 이사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주요 쟁점:
법원의 판단:
법원은 이사들에게 담당 업무뿐 아니라 대표이사나 업무담당이사의 업무 집행을 감시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법 제399조 제1항). 이는 사외이사 등 회사 상무에 종사하지 않는 이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이사회 구성원 모두가 회사의 위법 행위를 감시하고 예방할 책임이 있는 것입니다.
특히 대규모 회사에서는 전문 분야별로 업무가 분담되기 때문에 모든 이사가 모든 업무를 상세히 알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최소한 높은 법적 위험이 예상되는 업무에 대해서는 내부통제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여 감시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다222368 판결). 사외이사 등 업무 집행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이사라도 내부통제시스템 구축을 촉구하거나 운영 실태를 감독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만약 이러한 노력을 게을리하여 위법 행위를 방치한다면 감시 의무 위반으로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다만, 법원은 이사의 임무 위반 경위, 회사 공헌도, 이사의 이득 여부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손해배상액을 제한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민법 제396조).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들의 재직 기간, 직책, 감시 의무 위반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손해배상 책임을 제한했습니다 (대법원 2007. 10. 11. 선고 2007다34746 판결).
결론:
이 판결은 이사회의 감시 의무를 강조하고,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이사가 회사의 위법 행위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함을 분명히 했습니다. 단순히 이사회에 참석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회사의 내부통제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위험 요소를 감시하는 등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회사 대표이사는 다른 이사나 직원들의 위법 행위를 막기 위해 적 megfelelően 감시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소홀히 하여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면 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특히 철강 업계처럼 담합 위험이 높은 업종에서는 더욱 철저한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회사 이사와 감사는 다른 이사나 직원의 위법 행위 (특히 회계분식)를 의심할 만한 사유가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감시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방치하여 제3자에게 손해를 입히면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업무 분장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감시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민사판례
대표이사는 다른 이사의 위법행위를 감시할 의무가 있고, 회사 규모가 크더라도 업무 분장을 핑계로 이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없다. 감사 역시 회사의 부정을 적발할 의무가 있으며, 회사 내부통제가 미흡할수록 더욱 철저히 감시해야 한다.
민사판례
회사 이사와 감사의 업무상 책임 범위와 면책 요건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히 이사의 다른 이사에 대한 감시 의무, 감사의 책임 범위, 상법상 책임 해제 요건, 그리고 감사의 다른 직무 겸직 시 사임 여부 등을 다룹니다.
일반행정판례
이 판례는 입찰 담합에 대한 과징금 산정 시 계약금액의 관련성을 명확히 하고, 임원의 위반행위 관여 정도에 따라 과징금 가중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민사판례
금호아시아나 컨소시엄이 한국자산관리공사 등으로부터 대우건설 주식을 매수하면서 체결한 계약에서, 매도인 측의 진술 및 보증 조항 위반 시 손해배상 책임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그 손해배상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특히, '인지 또는 인지가능성' 조항의 해석과 손해액 산정 방식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