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 중 하나인 결손금 소급공제 제도, 들어보셨나요? 이 제도는 기업이 결손이 발생했을 때 이전 사업연도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만약 환급을 받은 후에 소급공제 대상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지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한 중소기업이 결손금 소급공제를 통해 세금을 환급받았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세무서에서 해당 기업이 소급공제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고 환급받은 세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기업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대법원의 판단:
결론: 결손금 소급공제를 통해 세금을 환급받았더라도 나중에 자격이 없다고 판명되면 세무서는 환급 결정을 취소하고 세금을 강제징수할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소급공제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여 이러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참조조문:
세무판례
중소기업이 아닌 법인이 잘못하여 결손금 소급공제를 받아 환급받았더라도, 법에서 정한 특정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세무서가 이자를 덧붙여 환급액을 다시 징수할 수 없다는 판결.
세무판례
중소기업이 결손금 소급공제를 받아 법인세를 환급받았지만, 나중에 중소기업 자격이 없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 세무서가 환급받은 세금을 다시 징수할 수 없다는 판결. 법에는 이런 경우 환급금을 징수할 명확한 근거 규정이 없기 때문.
세무판례
옛날 법인세법에서 중소기업에 주던 결손금 소급공제 환급은 정해진 기간 안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고, 일반적인 세금 정정 절차인 경정청구로는 받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회사가 이전 사업연도 손실(결손금)을 이후 사업연도 이익에서 공제하여 세금을 돌려받는 제도(결손금 소급공제)에서, 이전 사업연도 세금 계산이 변경되어 추가 환급이 발생할 경우, 이 추가 환급은 세무서의 내부적인 절차일 뿐 행정소송의 대상이 아니며, 세무서가 추가 환급을 거부하면 회사는 바로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세무판례
중소기업이 결손금 소급공제로 세금을 환급받은 후, 이전 사업연도의 법인세가 줄어들어 환급받은 금액이 과다해진 경우, 세무서가 추가로 징수하는 세금은 새로운 법인세 부과에 해당하므로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과거의 결손금을 공제받아 법인세를 환급받았더라도, 그와 별개로 납부했던 지방세(법인세할 주민세)는 자동으로 환급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