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3.16

형사판례

경범죄 범칙금, 냈으면 재판 없다?!

경범죄로 범칙금 통지서를 받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혹시 범칙금을 냈는데도 재판까지 가야 할까 봐 걱정되시나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범칙금 제도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경범죄 범칙금 제도, 쉽게 알아보기

경범죄를 저지르면 복잡한 재판 절차 없이 경찰서장이 범칙금을 내라고 통고처분을 합니다. 이 범칙금을 기한 내에 내면, 마치 교통 딱지를 냈을 때처럼 더 이상의 처벌 없이 사건이 종결됩니다. 즉, 재판에 가지 않아도 된다는 뜻입니다! 이게 바로 범칙금 제도의 핵심입니다.

범칙금 납부기간, 꼭 기억하세요!

경찰서장이 범칙금 납부기간을 정해줍니다. 이 기간 안에 범칙금을 내면 추가적인 법적 절차 없이 사건이 마무리됩니다. 만약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즉결심판에 넘겨질 수 있습니다. 즉결심판이란 약식재판과 비슷한 개념으로, 정식 재판보다는 간소화된 절차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즉결심판 선고 전까지 범칙금을 내면 역시 형사처벌을 면할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범칙금과 관련된 대법원 판결

이번 대법원 판결은 범칙금 납부기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납부기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경찰은 즉결심판을 청구할 수 없고, 검사도 같은 범죄 사실로 정식 재판에 넘길 수 없습니다. 이미 범칙금 통고처분이 이루어진 사건에 대해서는, 검사가 다시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 이름을 썼다면?

만약 다른 사람의 이름을 도용해서 범칙행위를 저질렀고, 그 결과 도용당한 사람이 범칙금 통지서를 받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대법원은 이름을 도용한 사람이 진짜 범칙자가 되고, 도용당한 사람에게는 아무런 법적 책임이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범칙금 통고처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관련 법조항 & 판례

  • 경범죄 처벌법: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8조의2, 제9조 제1항 제2호, 제2항, 제3항
  • 형사소송법: 제248조, 제254조, 제327조 제2호
  • 대법원 1997. 11. 28. 선고 97도2215 판결
  •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09도12249 판결
  • 대법원 2012. 9. 13. 선고 2012도6612 판결
  •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7도13409 판결
  • 대법원 2021. 4. 1. 선고 2020도15194 판결

경범죄로 범칙금 통지서를 받았다면, 납부기간을 꼼꼼히 확인하고 기한 내에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법적 절차를 피하고 신속하게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경범죄 범칙금, 내면 어떻게 되나요?

경범죄로 범칙금 통고처분을 받았다면, 정해진 납부기간 동안에는 즉결심판 청구도, 검사의 정식 재판 회부도 할 수 없다. 범칙금을 낼 기회를 충분히 줘야 한다는 취지다.

#경범죄#범칙금#납부기간#즉결심판

형사판례

경범죄 범칙금, 내고 나면 끝? 한 번 내면 두 번 처벌 안 돼요!

경찰이 경범죄에 대해 범칙금을 부과했으면, 납부기간 동안에는 즉결심판 청구나 검찰의 기소가 불가능하다. 납부기간이 지나면 즉결심판은 청구할 수 있지만, 검찰 기소는 안 된다. 또한 경찰은 이미 부과한 범칙금 통고처분을 함부로 취소할 수 없다.

#경범죄#범칙금#납부기간#즉결심판

형사판례

범칙금 납부기간 중 즉결심판 청구나 공소 제기 가능할까?

경찰이 경범죄로 범칙금을 부과했는데, 납부기간이 끝나기 전에 검찰이 똑같은 행위로 기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은 "납부기간 중에는 원칙적으로 기소할 수 없다"입니다. 다만, 범칙금 부과 대상이 된 행위와 동일한 행위에 대해서만 기소가 제한됩니다.

#경범죄#범칙금#납부기간#검사

형사판례

교통 범칙금 납부와 이중처벌, 그 경계는 어디까지일까?

단순 교통 범칙금을 냈다고 해서 모든 교통 관련 범죄에서 처벌받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범칙금 납부는 납부한 **구체적인 범칙행위**에 대해서만 효력을 가집니다. 같은 시간, 장소라도 더 심각한 범죄를 저질렀다면 (예: 사고 유발) 추가적인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교통범칙금#형사처벌#범칙행위#효력범위

형사판례

교통 범칙금, 납부기간 전에 취소나 즉심 가능할까?

교통 범칙금을 부과받은 사람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경찰은 납부기간 전에는 원칙적으로 범칙금 통고를 취소하거나 즉결심판을 청구할 수 없지만, 이의를 제기하면 납부기간 전에도 즉결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교통범칙금#즉결심판#이의제기#납부기간

일반행정판례

교통 범칙금 통고처분,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 있을까?

교통 범칙금 통고처분에 불만이 있어도 행정소송으로 다툴 수는 없고, 범칙금을 내지 않고 즉결심판을 통해 법원의 판단을 받아야 합니다.

#교통범칙금#통고처분#행정소송#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