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서는 사업을 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약속을 문서로 남기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그런데 계약서에 적힌 내용을 두고 서로 다르게 해석하면서 분쟁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내 맘대로 해석해도 되는 걸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계약서 해석에도 법적인 기준이 있습니다. 오늘은 계약서 해석 가이드를 통해 분쟁 없이 계약 내용을 이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계약서 해석, 왜 중요할까요?
계약은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법적 효력을 가지는 약속입니다. 계약서에 담긴 내용을 정확히 이해해야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알고, 예상치 못한 손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해석으로 분쟁이 발생하면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되고, 심각한 경우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계약서,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계약서 해석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통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당사자가 주장하는 의사만 고려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참고 판례: 대법원 2017. 6. 22. 선고 2014다225809 전원합의체 판결) 이 판례는 법률행위의 해석은 당사자가 표시행위에 부여한 객관적인 의미를 명확하게 확정하는 것이며, 문언의 내용, 약정이 이루어진 동기와 경위, 약정으로 달성하려는 목적,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논리와 경험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계약서 작성, 처음부터 꼼꼼하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계약서 작성 단계부터 꼼꼼하게 내용을 확인하고, 모호한 표현은 피해야 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계약서 해석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위에 제시된 기준들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해석하고, 필요한 경우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민사판례
계약서에 나타난 내용이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와 다를 경우, 계약서에 표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특히 보증보험의 경우, 보증 범위는 보증계약서에 명시된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보증인의 내심의 의사가 다르더라도 보증계약서에 표시된 범위를 벗어나는 책임은 부담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확인했습니다.
상담사례
계약서나 조정 결정문의 애매한 부분은 문구 자체뿐 아니라 계약 당시 상황, 목적, 거래 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민사판례
계약서의 문구가 명확하지 않을 때는 문구 자체뿐 아니라 계약 체결 동기, 목적,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거래 관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민사판례
계약서와 같은 처분문서에 적힌 내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계약서의 문구만 볼 것이 아니라, 계약 당시의 상황과 계약의 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민사판례
회사가 은행 대출금을 연대보증인이 대신 갚은 후, 보증인에게 갚아야 할 금액(구상금)의 이자율에 대한 분쟁에서, 기존 계약서 문구를 엄격하게 해석하여 회사와 보증인 간에 이자율 약정이 없었음을 확인하고, 다른 계약서의 내용으로 이를 임의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계약서에 적힌 내용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단순히 글자 그대로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계약 당시 상황, 계약 목적,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특히 상대방에게 큰 책임을 지우는 내용일수록 더욱 엄격하게 해석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