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7.12

형사판례

계열사 자금 대여, 배임죄일까?

오늘은 회사 자금을 계열사에 대여했을 때 배임죄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합니다. 특히 상황에 따라 배임죄 성립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의 대표이사 B는 적대적 인수합병 시도를 방어하고 자신의 그룹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회사 C에게 계열사 D에 40억 원을 무담보로 대여하도록 지시했습니다. D는 이 자금으로 A 회사의 직원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을 매입했습니다. 검찰은 이 행위가 A 회사에 대한 배임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자금 대여는 배임, 담보 제공은 무죄

대법원은 B의 행위 중 자금 대여 부분은 배임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D는 신생 회사로 큰 적자를 내고 있었고, A 회사 주식 매입으로 거액의 채무를 지고 있어 40억 원을 갚을 능력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B는 상당한 채권 회수 조치 없이 자금을 대여했으므로, A 회사에 손해를 끼칠 위험을 발생시킨 것으로 보았습니다. 적대적 인수합병 방어라는 목적이 있더라도 배임죄 성립을 면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반면, B가 A 회사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다른 계열사 E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한 행위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A 회사는 당시 재무구조가 건전했고, E와 밀접한 사업 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담보 제공이 회사에 손해를 끼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담보 제공의 대가로 적절한 수수료를 받았고, A 회사는 사채를 모두 상환했기 때문에 실제 손해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배임죄의 핵심 요건: 임무 위배, 손해 발생 위험, 고의

이 판례는 배임죄의 핵심 요건들을 잘 보여줍니다.

  •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 회사 이사는 회사 이익을 위해 성실하게 직무를 수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에 반하는 행위는 임무 위배가 됩니다.
  • 재산상 손해 발생의 위험: 실제 손해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손해 발생의 위험을 초래한 경우 배임죄가 성립합니다.
  • 고의: 임무 위배 행위로 인해 회사에 손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미필적 고의도 인정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55조 제2항, 제356조 (업무상배임)
  • 대법원 2004. 5. 14. 선고 2001도4857 판결: 배임죄에서 '재산상 손해'는 현실적인 손해뿐 아니라 손해 발생의 위험을 초래한 경우도 포함한다.
  • 대법원 1999. 6. 25. 선고 99도1141 판결, 대법원 2007. 9. 7. 선고 2007도3373 판결: 회사 이사가 타인에게 회사 자금을 대여할 때 채무 변제 능력을 고려하지 않거나 충분한 담보를 확보하지 않으면 배임죄가 성립한다. 이는 자금 수령자가 계열사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 대법원 2009. 7. 23. 선고 2007도541 판결: 계열사 이익을 위해 회사에 손해를 끼칠 위험을 감수한 행위라도 배임의 고의가 인정될 수 있다.

이번 판례를 통해 계열사 간 거래에서도 배임죄 성립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회사 이사는 항상 회사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손해 발생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여 신중하게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회사 돈 빌려주고 보증 서주는 대표, 무조건 배임일까?

회사 대표이사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다른 회사에 회사 자금을 빌려주거나, 그 회사의 빚에 대해 연대보증을 서거나, 회사 재산을 담보로 제공한 경우, 단순히 그 회사가 재정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대표이사의 행위가 회사에 손해를 끼칠 것을 알면서도 고의로 한 행위인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배임죄#회사 자금 대여#연대보증#담보 제공

형사판례

계열사 부당 자금 대여와 회사 돈 횡령,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을까?

회사 이사가 채권 회수 가능성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계열사에 회사 자금을 대여한 행위, 그리고 회계 조작을 통해 회사 자금을 횡령한 행위 모두 유죄로 인정되었습니다.

#계열사 부당대여#자금횡령#배임#업무상횡령

형사판례

계열사 부도 막으려고 회사 돈 빌려줬다면 배임죄일까?

어려움에 처한 계열사를 지원하기 위해 회사 자금을 대여한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이미 보증을 선 채무 변제에 자금이 사용된 경우 새로운 손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

#계열사 지원#배임죄#손해 발생 위험#보증 채무 변제

형사판례

회사 돈 함부로 쓰면 횡령·배임? 회사 임원의 자금 대여와 배임죄

회사 임원이 회사 자금을 다른 회사에 대여할 때, 회사에 손해를 끼칠 위험이 있거나 회사에 대한 의무를 저버린 경우 배임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경영상 판단이었다는 이유만으로는 배임죄를 피할 수 없습니다. 회사 자금 대여의 목적, 대여 방식, 회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회사 자금 대여#배임죄#임원#손해 발생 위험

형사판례

망하는 계열사에 회사 돈 빌려주면 배임일까?

이미 보증을 선 회사가 부실 계열회사의 기존 채무 변제를 위해 추가 담보를 제공한 경우, 단순히 채무 변제 목적이라면 배임죄가 아니지만, 변제 능력 없는 계열회사의 불확실한 투자에 담보를 제공한 경우 배임죄가 성립한다.

#배임죄#계열회사 지원#추가담보#채무변제

형사판례

계열사 지원, 배임죄일까? 경영 판단일까?

이 판례는 회사 임원이 계열사에 자금을 지원했을 때, 어떤 경우에 배임죄가 성립하는지, 그리고 경영상의 판단과 배임죄의 고의를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손해가 발생했다는 사실만으로 배임죄를 인정할 수 없으며, 지원행위의 목적, 계열사의 상황, 지원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계열사#자금지원#배임죄#경영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