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사업 때문에 어업에 피해를 입었다면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어업피해 보상과 관련된 중요한 법적 쟁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쟁점 1: 보상 청구는 어떤 소송으로 해야 할까?
핵심은 보상 청구의 법적 근거가 무엇인지에 달려있습니다. 만약 옛날 수산업법(2007년 개정 전)이나 그와 비슷한 법을 적용해서 보상을 청구한다면 민사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옛날 공익사업법(2008년 개정 전)에 따라 어업피해 보상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먼저 행정기관의 재결을 거쳐야 합니다. 재결 결과에 불만이 있다면 그 다음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바로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안 됩니다. (대법원 2001. 6. 29. 선고 99다56468 판결 참조)
본 판례에서는 부산항 신항 개발 사업으로 어업피해를 입은 원고가 공익사업법상의 재결절차를 거치지 않고 민사소송을 제기했는데, 대법원은 해당 사업이 공익사업법의 적용을 받으므로 재결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보상청구의 근거 법률이 무엇인지에 따라 소송 종류가 달라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핵심 쟁점 2: 보상 대상이 되는 피해는 언제를 기준으로 판단할까?
보상은 공공사업 시행으로 인한 특별한 희생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사업 시행 당시를 기준으로 피해 여부를 판단합니다. 만약 사업 시행 계획 승인 및 고시 이후에 어업 허가나 신고를 받았다면, 이미 사업 시행에 따른 제한이 확정된 상태에서 허가를 받은 것이므로 특별한 희생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상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대법원 1991. 1. 29. 선고 90다6781 판결, 대법원 2006. 11. 23. 선고 2004다65978 판결 참조)
본 판례에서는 부산항 신항 개발 사업과 중앙하수처리장 건설 사업으로 어업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원고의 사례가 등장합니다. 원고는 하수처리장 사업의 인가 및 고시 이후에 어업허가를 받았는데, 대법원은 이 경우 사업 시행에 따른 제한이 확정된 이후의 행위이므로 보상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결론:
공공사업으로 인한 어업피해 보상을 받으려면, 보상 청구의 근거와 사업 시행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법률과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민사판례
국가 사업으로 바다를 매립할 때,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에게 보상을 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보상을 받으려면 **매립 승인 고시 이전에 어업 신고를 마쳐야 합니다.** 고시 이후에 신고했다면, 실제로 어업 활동을 하고 있었더라도 보상받을 수 없습니다.
민사판례
국가가 공공사업을 하면서 어민들에게 피해를 줄 경우, 허가받은 어업뿐 아니라 신고만 하고 하는 어업이라도 보상을 해줘야 한다. 마을어업 구역에서 조업하더라도, 마을어업권을 가진 어촌계와는 별개로 신고어업자 개인에게도 보상해야 한다.
일반행정판례
항만공사 계획이 발표된 후 기존 어업허가가 만료된 어민이 다시 허가를 받지 못하고 어업 피해를 입은 경우, 국가에 손실보상을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
일반행정판례
공익을 위해 어업 면허가 제한되어 손실을 입은 경우, 보상을 받으려면 행정소송이 아닌 민사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또한, 보상 청구 전에 행정기관의 보상 절차를 거칠 필요는 없다.
민사판례
공유수면 매립으로 어업권에 손실을 입은 경우, 보상을 받으려면 민사소송이 아닌 행정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일반행정판례
공익사업(예: 고속철도 건설) 때문에 사업지구 밖에서 영업손실을 입은 경우,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보상 청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손실보상과 손해배상 청구의 관계는 어떤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