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3.27

형사판례

관세법 개정 후에도 이전 가중처벌 적용 가능할까? 관세포탈 예비범죄 처벌에 대한 심층 분석

관세법이 개정되었는데, 이전에 있던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있을까요? 특히 관세 포탈을 하려고 준비하다가 미수에 그친 경우에도 그럴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이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중국산 녹두를 수입하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높은 관세율 때문에 실제 가격보다 낮게 신고해서 관세를 포탈하려고 했죠. 일부 물량만 들여온 상태에서 적발되었는데, 이 시점에는 이미 관세법이 개정된 이후였습니다. 이전 관세법보다 처벌 수위가 낮아진 상황이었죠.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관세법 개정 후의 관세포탈 예비 범죄에 대해, 이전의 가중처벌법규인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을 적용할 수 있는지"입니다. 즉, 법이 개정되어 처벌이 약화된 후에 벌어진 미수 사건에 대해 이전의 더 무거운 법을 적용할 수 있느냐는 것이죠.

법원의 판단

원심은 개정된 관세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고, 이전 가중처벌 법규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논리를 제시했습니다.

  1. 구 관세법(1996.12.30. 법률 제5194호로 개정되기 전) 제180조 제1항과 제181조는 관세 포탈에 대한 처벌 규정을 두고 있었습니다.

  2. 개정 관세법(1997.1.1. 시행)은 이 조항들을 개정하여 관세포탈죄 유형을 세분화하고 법정형을 낮췄습니다.

  3. 그러나 관세포탈죄 가중처벌 규정인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1997.8.22. 법률 제534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2항은 개정되지 않았습니다.

  4. 개정 관세법 부칙 제8조는 "다른 법령에서 종전의 규정을 인용한 경우에 이 법 중 그에 해당하는 규정이 있는 때에는 이 법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5. 이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면, 관세법 개정과 무관하게 죄질이 무거운 관세포탈 행위에 대해서는 이전과 동일하게 가중처벌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관세법 개정 의 관세포탈 예비범행이라도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관세법 제180조, 제182조
  •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6조

결론

이번 판례는 관세포탈 예비범죄에 대한 처벌 기준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법 개정 이후에도 이전의 가중처벌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시켜준 사례입니다. 관련 업무를 하는 분들은 이 판례의 내용을 숙지하고, 관세 포탈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관세법 개정과 가중처벌, 그리고 검사의 항소이유서 미제출 시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관세법이 개정되어도, 개정 전 관세포탈에 대해서는 여전히 가중처벌이 가능하며, 검사가 항소했지만 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아 항소가 기각된 경우, 피고인에게 더 불리한 판결을 할 수 없다.

#관세포탈#가중처벌#검사 항소기각#불이익변경금지원칙

형사판례

관세 포탈 공범의 추징과 법 개정 후 형량 변경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공범과 함께 관세를 포탈한 경우, 공범이 판 물건에 대해서도 피고인에게 추징할 수 있다. 또한, 판결 후 법이 개정되어 가중처벌 요건이 더 엄격해진 경우, 이는 형의 변경 사유에 해당하여 감형될 수 있다.

#관세포탈#공범추징#법개정#감형

형사판례

녹두 밀수입? 예비 단계에서 잡았다! 관세포탈예비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수입할 물품의 수량과 가격을 속여서 관세를 내지 않으려고 미리 허위로 과세가격 사전심사를 받아놓은 행위는 관세 포탈을 준비한 것으로 보고 처벌할 수 있다. 이런 예비 행위까지 처벌하는 법은 합헌이며, 나중에 수입을 포기했다고 해서 처벌을 면할 수 없다.

#관세포탈예비죄#허위 과세가격 사전심사#상고기각#합헌

형사판례

법 바뀌었는데 옛날 법으로 처벌한다고? 죄형법정주의 위반 아냐?

법을 개정하면서 형벌을 가볍게 하더라도 부칙으로 이전 범죄에는 이전 법을 적용하도록 규정할 수 있으며, 이는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또한, 부정한 방법으로 수입 승인을 받은 후 수입 조건이 변경되더라도 이는 사후 감형 사유가 아닙니다.

#죄형법정주의#신법우선주의#부칙#형벌변경

형사판례

관세포탈 미수죄, 법 개정으로 형량 줄면 공소시효도 줄어든다!

범죄 후 법이 개정되어 형량이 낮아진 경우, 바뀐 법에 따라 공소시효를 계산해야 한다. 관세포탈 미수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의 경우, 범죄 후 관련 특별법이 개정되어 일반 관세법으로 처벌받게 되었고, 따라서 공소시효도 관세법에 따른 3년으로 계산되어 면소 판결을 받았다.

#관세포탈#공소시효#신법#형량감경

형사판례

절도죄 누범에 대한 가중처벌, 법 개정으로 형량 줄어들어

절도죄로 여러 번 처벌받은 사람(누범)을 가중처벌하는 법이 너무 과하다고 판단되어 법이 개정되었는데, 이 개정된 법은 과거 범죄에도 적용된다는 판례입니다.

#절도#누범#가중처벌#법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