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관행어업권이 양식어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관행어업권 소멸에 따른 손실은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관행어업권이란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허가나 면허 없이 오랫동안 특정 장소에서 어업 활동을 해왔고, 주변 사람들도 이를 인정하는 경우에 생기는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마을 사람들이 대대로 특정 해변에서 김을 채취해왔고, 다른 사람들도 이를 당연하게 여겨왔다면, 그 마을 사람들은 그 해변에서 김을 채취할 관행어업권을 갖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권리는 다른 사람이 함부로 그곳에서 어업 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구 수산업법 제40조 제1항).
그렇다면 관행어업권은 양식어업에도 적용될까요?
법원은 "아니오"라고 판단했습니다. 양식어업은 특정 수면을 구획하고 시설을 설치해서 수산물을 기르는 어업인데, 관행어업권은 단순히 남의 방해 없이 어업 활동을 할 수 있는 권리일 뿐, 특정 수면을 독점적으로 사용할 권리까지는 포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정 수면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양식어업에는 관행어업권이 성립될 수 없습니다.
관행어업으로 인정되는 패류 채취 어업권이 소멸하면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사례에서는 어민들이 오랫동안 특정 지역에서 조개류 등을 채취해 왔는데, 개발 사업으로 인해 더 이상 어업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 경우 어민들은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을까요?
법원은 이러한 관행어업이 신고어업과 유사하다고 보았습니다. 신고어업이란 허가나 면허는 필요 없지만, 관할 기관에 신고를 해야 하는 어업입니다. 법원은 관행어업 역시 신고어업처럼 특정 수면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유사하다고 판단하고, 관행어업권 소멸에 따른 보상 기준을 정할 때 신고어업 보상 규정을 참고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구 수산업법 제22조, 구 수산업법시행령 제62조 제1항 제2호).
결론적으로,
참고 법조항 및 판례:
민사판례
옛날부터 해오던 방식으로 고기를 잡을 수 있는 권리(관행어업권)는 누구에게나 인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손해배상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오랫동안 허가 없이 특정 바다에서 어업활동을 해온 어민들이(관행어업권자), 시화지구 공유수면 매립 사업으로 인해 어업활동을 할 수 없게 되어 발생한 손해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관행어업권자들의 손해배상 청구를 인정했습니다.
민사판례
오랫동안 허가 없이 특정 수역에서 어업활동을 해 온 어민들의 권리(관행어업권)가 인정되고, 이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이 판결은 관행어업권의 손해배상 산정 기준, 권리의 의미, 그리고 누가 이 권리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민사판례
오랜 기간 특정 바다에서 허가 없이 어업을 해 온 어민들의 권리(관행어업권)를 인정하고, 국가 사업으로 이 권리가 침해될 경우 어떻게 보상해야 하는지 판단한 판례입니다. 관행어업권은 어촌계 소유가 아니며, 개인별로 인정됩니다. 또한, 관행어업권 침해 시 보상은 신고어업과 유사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일반행정판례
오랫동안 바닷가에서 어업활동을 해온 어민들이 간척사업으로 생계 터전을 잃게 되어 손실보상을 청구했는데, 대법원은 손실보상 청구가 가능하지만, 실제 피해 발생 시점과 소멸시효 등을 제대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민사판례
진도군이 매립사업을 하면서 어민들의 관행어업권에 대한 보상을 제대로 하지 않아 소송이 발생했고, 대법원은 보상액 산정 방식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