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2.28

일반행정판례

국외여행허가 후 귀국 지연에 따른 특례보충역 편입 취소는 정당한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외여행허가를 받고 출국한 특례보충역자가 허가 기간 내에 귀국하지 않은 경우, 병무청이 특례보충역 편입을 취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사례는 병역 의무와 관련된 중요한 쟁점을 다루고 있어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국비유학생으로 선발되어 특례보충역에 편입된 후 유학을 위해 출국했습니다. 그러나 유학 기간 만료 후에도 경제적 어려움과 학업 계속 등의 이유로 귀국하지 않았습니다. 병무청은 원고에게 귀국을 최고했지만, 원고는 이에 응하지 않고 기한을 넘겨 귀국했습니다. 이에 병무청은 원고의 특례보충역 편입을 취소하는 처분을 내렸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병무청이 특례보충역 편입 처분 당시에는 문제가 없었고, 편입 취소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단지 귀국 지연을 이유로 편입을 취소할 수 있는가 하는 점입니다. 둘째, 만약 취소할 수 있다면 이러한 처분이 재량권 남용에 해당하는지는 여부입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행정청은 처분 당시 하자가 없고 취소에 대한 명시적인 법적 근거가 없더라도, 사정 변경이나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발생한 경우 별개의 행정행위로 처분을 취소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귀국 지연은 특례보충역 편입의 소극적 요건 위반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사정 변경 또는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에 해당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병무청은 별도의 법적 근거 없이도 편입을 취소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88.12.27. 선고 87누1068 판결 등 참조)

또한, 병역의무는 국가 수호를 위한 중요한 의무이며, 병역 면탈 방지를 위한 공익적 필요성이 매우 크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원고의 귀국 지연 정도, 귀국 전후 정황 등을 고려했을 때, 병무청의 편입 취소 처분은 재량권을 일탈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행정소송법 제1조 (행정처분일반)
  • 구 병역의무의특례규제에관한법률 (1993.12.31 법률 제4685호로 폐지) 부칙 제11조 제1항
  • 구 병역법 제44조, 제46조 제2항, 제62조, 제66조 제3항
  • 헌법 제39조
  • 행정소송법 제27조
  • 대법원 1988.12.27. 선고 87누1068 판결, 1989.4.11. 선고 88누4782 판결, 1992.1.17. 선고 91누3130 판결

결론

이 판례는 특례보충역 편입 취소에 있어서 병역의무의 중요성과 공익적 필요성을 강조한 중요한 판결입니다. 귀국 지연과 같은 사소한(?) 사안이라도 병역 의무 이행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상기시키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국비 유학 후 영주권 취득과 병역 특례

국비유학생으로 특례보충역에 편입된 사람이 허가된 기간 내에 귀국하지 않았더라도, 귀국보증인에게 과태료가 부과되기 전에 영주권을 얻고 그 나라에서 1년 이상 살았다면 귀국 지연으로 보지 않아 특례보충역 편입을 취소할 수 없다.

#국비유학#특례보충역#영주권#1년거주

생활법률

해외이주 후 병역? 국외여행허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병역의무자는 국외여행 허가를 반드시 받아야 하며, 허가 후에도 이민, 취업 등의 조건 위반 시 허가가 취소될 수 있으므로 관련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해외여행#병역#국외여행허가#병역의무자

일반행정판례

영주권 얻어 병역 면제받았는데, 다시 병역의무 부과될 수 있을까? - 병역면제 취소에 대한 법원의 판단

정당하게 병역면제를 받았더라도, 나중에 상황이 바뀌거나 공익에 필요하다면 정부는 면제 처분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병역법 시행령에서 면제 취소 사유를 구체적으로 정한 것은 법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병역면제#취소#정당성#공익

형사판례

해외여행 허가기간 내 귀국 못했을 때, 처벌받을까? - 병역과 해외여행

병역의무자가 해외여행 허가기간 내에 귀국하지 못했을 때,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는지 여부는 **허가기간이 만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허가기간 만료 후에 발생한 사유는 '정당한 사유'로 인정되지 않는다.

#병역의무#국외여행#허가기간#정당한 사유

일반행정판례

전가족 영주권과 병역면제, 그리고 국외여행허가 취소에 관하여

이 판결은 병역면제 요건, 국외여행허가 취소 가능성, 그리고 현역입영대상자의 의미에 대해 다룹니다. 병역면제를 받으려면 전 가족이 해외에 거주하며 영주권을 얻어야 하고, 영주 목적 귀국 등은 국외여행허가 취소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역입영대상자"는 문자 그대로 해석해야 합니다.

#병역면제#영주권#국외여행허가#현역입영대상자

일반행정판례

특례보충역, 해고되면 군대 가야 할까?

회사에서 부당하게 해고당했지만 해고무효 판결을 받은 특례보충역은, 회사와의 근로관계가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병역 의무를 계속 이행할 수 있다.

#특례보충역#편입취소#방위소집#해고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