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뉴스에서 "국회의사당 앞 100m 집회금지 위헌"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게 무슨 말인지, 왜 무죄 판결이 나왔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과거에는 국회의사당 주변 100m 이내에서 집회나 시위를 하면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이하 집시법)' 위반으로 처벌받았습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이 법률 조항(집시법 제11조 제1호 중 '국회의사당'에 관한 부분 & 제23조 중 제11조 제1호 가운데 '국회의사당'에 관한 부분)이 헌법에 어긋난다고 판단했어요. 이게 바로 "헌법불합치" 결정입니다.
헌법불합치는 뭐가 다른가요?
헌법불합치는 위헌 결정과 비슷하지만, 해당 법률을 당장 효력을 잃게 하지는 않고, 국회가 기한 내에 법을 고치도록 하는 결정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2019년 12월 31일까지 법을 고쳐야 했지만, 국회가 개정하지 않아 결국 해당 조항은 효력을 잃게 되었죠.
그래서 무죄가 된 이유는?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은 사실상 위헌 결정과 같은 효력을 가집니다. 특히 이번 사건처럼 형벌(처벌)과 관련된 법 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이 나면, 그 조항은 소급해서 효력을 잃게 됩니다. 쉽게 말해, 과거에 그 법을 어겨서 처벌받았더라도, 이후 위헌 결정이 나면 무죄가 되는 거죠.
이 사건에서도 피고인은 국회의사당 100m 이내에서 집회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기소되었지만,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해당 법 조항이 효력을 잃게 되면서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25조 전단)
핵심 정리!
참고 법조항 & 판례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국회 앞 100m 이내에서 시위를 금지하는 법률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후, 이 조항을 적용하여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대법원이 무죄를 확정했습니다. 헌법불합치 결정은 위헌 결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해당 법률 조항은 소급 적용되어 무효가 됩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사당 100m 이내 집회를 금지하는 법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고, 대법원은 이 결정이 위헌 결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이 법을 적용하여 기소된 사람은 무죄라고 판결했습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국회 앞 100m 이내 시위를 금지한 법률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후, 대법원은 해당 법률에 따라 기소된 시위 참가자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판결은 국회 앞 시위 금지가 위헌임을 재확인하고, 과거 이 법을 적용받아 처벌받은 사람들에게도 소급 적용되어 구제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국무총리 공관 인근 집회 금지를 위헌으로 판결함에 따라, 이 법을 적용하여 유죄 판결을 받았던 피고인에게 무죄가 선고되었습니다.
형사판례
헌법재판소가 국회의사당 앞 시위를 금지하는 집시법 조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고, 이에 따라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위를 했다는 이유로 기소된 피고인에게 무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형사판례
국회의사당 100m 이내에서 집회/시위는 금지되며, 경찰은 해산 명령을 내릴 수 있고, 불응 시 처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