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0.08

세무판례

금융기관의 채권보전용 토지 매각과 취득세 중과세

오늘은 금융기관이 채권보전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를 2년 6개월 이내에 매각했을 때, 취득세 중과세 대상이 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은 '매각'의 시점을 언제로 보느냐 하는 것입니다.

사건의 개요

한 금융기관(원고)이 채권을 회수하기 위해 담보로 토지를 취득했습니다. 그리고 2년 6개월 이내에 해당 토지를 매도하는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받았습니다. 이 경우, 취득세를 중과해야 하는 비업무용 토지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쟁점

구 지방세법시행령(1990.6.29. 대통령령 제13033호로 개정되기 전) 제84조의4 제4항 제2호에서는 법인의 비업무용 토지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에 따라 취득세 중과세 여부가 결정되는데, 여기서 '매각'의 의미가 중요해집니다.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수령 시점을 매각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잔금 수령 시점을 매각으로 볼 것인지가 관건이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금융기관이 채권보전 목적으로 토지를 취득한 후 2년 6개월 이내에 통상적인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을 받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각'으로 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서울고등법원 1991.3.7. 선고 90구18199 판결). 즉, 잔금 수령 시점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계약금 수령 시점에 이미 매각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이는 취득세 중과세 제도의 취지, 즉 투기 목적의 토지 취득을 억제하려는 목적에 부합하는 해석입니다.

핵심 정리

  • 금융기관이 채권보전 목적으로 토지를 취득
  • 2년 6개월 이내에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수령
  • 대법원: 계약금 수령 시점에 이미 '매각'으로 간주 (잔금 수령 시점X)
  • 관련 법령: 구 지방세법시행령 (1990.6.29. 대통령령 제13033호로 개정되기 전) 제84조의4 제4항 제2호

이 판례는 금융기관의 채권보전용 토지 매각에 대한 취득세 부과 기준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토지 관련 세금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으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은행이 채권보전용으로 취득한 토지, 업무용으로 잠깐 사용하려다 매각해도 취득세 중과 대상 아니다!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잡은 토지를 경매로 낙찰받아 출장소 용도로 검토했으나, 계획을 변경하여 일정 기간 내에 매각한 경우, 해당 토지는 취득세 중과 대상인 비업무용 토지가 아니다.

#취득세 중과#비업무용 토지#채권보전#은행

세무판례

은행이 압류한 땅을 되팔 때, 취득세 중과세 피하려면?

금융기관이 빌려준 돈을 회수하기 위해 담보로 받은 땅을 2년 6개월 안에 팔았다면, 계약금만 받았어도 매각한 것으로 보고 취득세를 중과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중간에 매수인이 바뀌더라도 최초 계약일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금융기관#채권보전#토지매각#취득세 중과

세무판례

은행이 채권보전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 업무용 전환 결의만으로 취득세 중과 대상이 될까?

은행이 빚을 회수하기 위해 압류한 땅을 자기네 업무용으로 쓰기로 이사회에서 결정했더라도, 실제로 업무에 사용하기 전까지는 세금 혜택을 받는 기간이 끝나더라도 바로 비업무용 토지로 보고 추가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채권보전용 토지#비업무용 토지#취득세 중과세 유예#이사회 결의

세무판례

비영리법인의 토지 매각과 비업무용 토지 판단 기준

비영리법인이 운영 자금 마련을 위해 토지를 매각할 때, 취득 후 3년 이내에 매각하면 비업무용 토지로 보지 않아 취득세 중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비영리법인#토지 매각#비업무용 토지#취득세 중과세

세무판례

빚 받으려고 땅 경매로 샀는데… 세금 폭탄 맞았다고요?

빚을 받기 위해 땅을 경매로 낙찰받았더라도, 1년 안에 팔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지 않으면 비업무용 토지로 간주되어 세금이 더 많이 나올 수 있다.

#채권보전#토지취득#매각노력부족#비업무용토지

세무판례

회사가 빚 담보로 땅을 받았는데, 왜 취득세 중과를 걱정해야 할까?

회사가 돈을 빌려주고 담보로 토지를 받았는데, 돈을 돌려받기 전에 그 토지를 팔지 않았다고 취득세를 더 내라고 한 것은 부당하다는 판결입니다. 돈을 돌려받기로 한 날짜가 지나야 토지를 팔 수 있기 때문에 팔지 않은 데에는 '정당한 사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양도담보#취득세 중과#정당한 사유#변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