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기간제? 단시간? 내 권리는 뭘까? 알기 쉬운 근로계약 해설!

안녕하세요! 워라밸 지킴이입니다. 요즘 다양한 형태의 근로계약이 많아지면서 내가 어떤 유형의 근로자인지, 어떤 권리를 갖고 있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오늘은 기간제근로자단시간근로자의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 관련 법률과 적용 범위까지 꼼꼼히 알려드릴게요!

1. 나도 기간제 근로자일까?

쉽게 말해, 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기간제근로자입니다. "2년 동안 근무하세요", "프로젝트 끝날 때까지 근무하세요" 와 같이 시작과 끝이 정해진 계약을 맺었다면 기간제근로자에 해당합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2. 단시간근로자는 뭘까?

단시간근로자는 같은 직장에서 같은 일을 하는 통상근로자보다 주당 근무시간이 짧은 사람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통상근로자가 주 40시간 근무하는 회사에서 주 20시간만 근무한다면 단시간근로자입니다. 주 7일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휴일도 포함됩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7호·제9호)

3. 핵심 키워드: 소정근로시간!

단시간근로자를 이해하려면 소정근로시간을 알아야 해요. 소정근로시간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약정한 근무시간으로,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 40시간, 일 8시간을 넘을 수 없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8호, 제50조, 제69조 본문 및 산업안전보건법 제139조제1항) 미성년자나 위험한 작업의 경우 법적으로 더 짧은 근무시간이 적용됩니다.

4.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법, 누구에게 적용될까?

이 법은 상시 5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항) 하지만 동거 친족만 고용하거나 가사도우미를 고용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근로자 수와 관계없이 이 법을 적용받습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제3항)

5. 상시 4명 이하 사업장은 어떻게 될까?

상시 4명 이하 사업장의 경우에도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법 중 일부가 적용됩니다.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제2항,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및 별표 1) 주로 차별 금지, 근로조건 서면 명시 등 기본적인 권리 보호에 관한 조항들이 적용됩니다.

6. 상시근로자 수는 어떻게 계산할까?

상시근로자 수는 사업 또는 사업장 단위로 계산합니다. 중요한 점은 파견근로자는 제외한다는 것입니다.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 파견근로자는 파견법에 따라 별도로 보호받습니다.

오늘은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의 개념과 관련 법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행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시간선택제 근로자? 나의 권리는 뭘까? 🧐

시간선택제(단시간) 근로자는 근무시간에 비례하여 임금 등을 보장받으며, 정규직과의 부당한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되고,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주휴수당, 연차휴가, 퇴직금이 없다.

#시간선택제 근로자#단시간근로자#근로기준법#권리

생활법률

기간제·단시간 근로자 차별? NO! 알아두면 쓸모있는 차별금지 가이드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정규직/통상 근로자보다 임금 및 근로조건 등에서 불리한 처우를 받아서는 안 된다. (단, 상시 4인 이하 사업장 제외)

#기간제 근로자#단시간 근로자#차별 금지#임금

생활법률

알바도 꼼꼼하게! 단시간 근로계약서 작성, 이것만 알면 OK!

아르바이트를 포함한 모든 단시간 근로는 근로계약서 작성이 필수이며, 특히 근로기간, 근로시간/휴게, 임금, 휴일/휴가, 장소/업무 내용 등을 명시해야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

#단시간 근로계약서#근로계약#서면 작성#필수 항목

형사판례

기간제 근로자도 근로계약서 꼼꼼히 확인하세요!

기간제 근로자를 고용할 때에도 임금, 근로시간, 휴일 등 주요 근로조건을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기간제 근로자 보호법에 과태료 규정이 있더라도 근로기준법상 벌금 규정 적용이 배제되지 않는다.

#기간제 근로계약#근로조건 명시 의무#서면 명시#벌금형

생활법률

알기 쉬운 근로계약 이야기: 나의 권리를 지키는 첫걸음!

근로계약은 근로 제공과 임금 지급에 대한 약속이며, 근로자 보호를 위해 근로기준법 준수가 필수적이고, 특히 기간제 근로자는 계약서에 명시된 근로 조건(계약기간, 근로/휴게시간, 임금, 휴일/휴가, 취업장소/업무내용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 임금은 정기적, 계속적으로 지급되는 모든 금품을 의미한다.

#근로계약#근로기준법#임금#근로계약서

생활법률

알기 쉬운 대한민국 근로자의 권리! 노동기본권 A to Z

헌법과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에게 근로권,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의 기본권을 보장하며, 임금, 근로시간, 휴일·휴가, 해고, 최저임금, 퇴직금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여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한다.

#헌법#근로기준법#노동기본권#근로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