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1.26

형사판례

기자가 깽판 치면 죄가 될까? 알아보는 공갈죄, 공무집행방해, 병역법 위반

오늘은 기자가 공공기관에서 자료를 요구하다가 공갈죄, 공무집행방해, 병역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건을 통해 관련 법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잡지사 기자가 공공기관에서 자료 열람 및 제출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폭력과 협박을 행사하고, 병역 동원 훈련에 불참했습니다. 이로 인해 그는 공갈죄, 공무집행방해죄, 병역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쟁점 1: 공갈죄

기자는 자료 요구가 정당한 권리 행사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권리 행사를 빙자하더라도 협박을 통해 상대방을 겁먹게 하고, 그 수단과 방법이 사회 통념상 허용되는 정도를 넘어서면 공갈죄가 성립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형법 제350조 제1항) 단순히 권리 행사라는 이유만으로 폭력과 협박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는 것이죠. 법원은 협박이란 사람의 의사결정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의사실행의 자유를 방해할 정도로 겁을 먹게 할 만한 해악을 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형법 제20조) 해악 고지 자체가 위법하지 않더라도, 그 방식이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없다면 공갈죄가 성립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판단은 대법원의 기존 판례 (대법원 1985.9.10. 선고 84도2644 판결, 1990.8.14. 선고 90도114 판결, 1990.11.23. 선고 90도1864 판결)와 일맥상통합니다.

쟁점 2: 공무집행방해죄

기자는 잡지사 기자라는 신분을 내세워 자료 열람 및 제출 요구가 정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잡지사 기자에게 일반 국민 이상의 자료 열람, 제출 요구권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형법 제136조 제1항) 설령 그러한 권리가 있다 하더라도 합법적인 절차를 따라야 하며, 폭행, 협박 등 불법적인 수단을 사용할 수는 없다고 명시했습니다.

쟁점 3: 병역법 위반

기자는 예비군 동대 행정병에게 훈련 면제에 대한 문의를 하고 답변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이유로 병역 동원 훈련 불참을 정당화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단순히 행정병에게 문의하고 답변을 기다리는 것만으로는 병역법 제78조에서 정한 입영하지 아니할 정당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예비군 소대장의 복무 기간 동안 병력 동원 훈련이 면제된다는 주장 역시 법적 근거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판례를 통해 우리는 권리 행사에도 적법한 절차와 방법이 중요하며, 신분이나 직업을 이용하여 불법 행위를 정당화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병역 의무 이행에 있어서도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회피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언론사의 광고 요청, 공갈죄일까? 명예훼손은 어떨까?

지역 신문 발행인이 시정 비판 기사를 쓴 후 시에 광고 게재 확대를 요청한 행위가 공갈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비판 기사 내용이 명예훼손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결.

#공갈죄#명예훼손죄#지역신문#광고요청

형사판례

기자가 공사하자 보도 빌미로 돈 받으면 공갈죄? 깨진 병으로 위협하면 정당방위일까?

방송기자가 아파트 하자 보도를 빌미로 건설사 사장에게 돈을 받은 것은 공갈죄이고, 싸움 중 깨진 병으로 상대를 위협한 것은 정당방위가 아니다.

#공갈죄#정당방위#협박#방송보도

형사판례

군대 안 가려고 거짓말? 공범도 처벌받을 수 있을까?

보충대에 입영했다가 귀향조치된 사람은 군인 신분이 아니므로 군형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지만, 일반인이라도 군인의 군형법 위반을 도왔다면 공범으로 처벌될 수 있다.

#보충대 입영#귀향조치#군형법 위반#군인 신분

형사판례

신문사의 사과광고 강요, 공갈죄로 처벌될 수 있을까?

신문사 사주와 광고국장이 부실공사 관련 기사를 이용해 건설업체에 사과광고를 강요하고 과다한 광고료를 받아 공갈죄로 처벌받은 사례. 사전 모의가 없었더라도 암묵적 합의가 있었다면 공동범행으로 처벌될 수 있음.

#공갈죄#신문사 사주#광고국장#공동정범

형사판례

기자가 취재 거부시 보도하겠다고 말한 것은 협박일까?

기자가 취재를 거부하는 사람에게 취재한 내용을 보도하겠다고 말한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협박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기자의 정당한 취재 활동의 일환으로 볼 수 있기 때문.

#기자#취재거부#보도#협박죄

형사판례

돈 돌려달라며 난소리치고 협박하면, 정당한 권리행사일까요? 공갈죄일까요?

돈을 받아낼 목적으로 협박을 하면 정당한 채권추심이라도 공갈죄가 될 수 있다. 피해자의 진술이 일관되고 합리적이라면 이해관계가 대립된다는 이유만으로 함부로 배척해서는 안 된다.

#공갈죄#협박#채권추심#정당한 권리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