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7.24

민사판례

김 자르는 기계, 특허 침해일까? 균등론에 대한 이야기

오늘은 김 자르는 기계에 대한 특허 침해 소송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는 최대한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게요!

사건의 개요

'구이김 자동 절단 및 수납장치' 특허권자인 A씨가 B회사를 상대로 특허권 침해 소송을 걸었습니다. A씨는 B회사의 김 자르는 기계가 자신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했죠.

쟁점: 똑같이 만들지 않았어도 특허 침해일까?

특허 침해라고 하면 똑같이 베껴 만든 경우만 생각하기 쉬운데요, 실제로는 조금 다르게 만들었더라도 특허 침해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균등론이라고 합니다.

B회사는 A씨의 기계와 완전히 똑같이 만든 것은 아니었어요. A씨 기계의 핵심 부품 중 하나인 '격자형 칼날'의 위치와 작동 방식을 조금 다르게 만들었죠. A씨 기계에서는 격자형 칼날이 고정되어 있었지만, B회사 기계에서는 칼날이 위아래로 움직였습니다.

법원의 판단: 핵심 원리가 같다면 특허 침해!

대법원은 B회사의 기계가 A씨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결했습니다. 비록 칼날 부분의 구체적인 형태는 달랐지만, 김을 자르고 용기에 담는 핵심 원리는 같다고 본 것이죠.

법원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히 부품 하나하나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작동 원리와 해결하려는 과제가 같은지를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대법원 2009. 6. 25. 선고 2007후3806 판결, 대법원 2011. 9. 29. 선고 2010다65818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핵심은 '자른 김 조각들을 용기에 담기 쉽게 자동으로 벌리는 기능'이었습니다. B회사 기계도 이 핵심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했기 때문에, 칼날 부분이 조금 다르다고 해도 특허 침해로 인정된 것입니다. 또한, 그 변경된 부분이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였다는 점도 중요하게 작용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이 사건과 관련된 법 조항은 특허법 제97조(특허권의 효력), 제126조(균등론), 제128조(침해의 유형) 입니다.

결론

이번 판례를 통해 특허 침해는 단순히 똑같이 베끼는 것뿐만 아니라, 핵심 원리를 유지하면서 일부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허권자와 제조업자 모두 특허의 보호 범위와 균등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겠죠?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구이김 자동 절단 기술, 특허권 침해 분쟁 승소!

김 자르는 기계 특허를 가진 갑이 을 회사를 상대로 "네가 만든 기계는 내 특허를 침해한 것"이라고 소송을 걸었는데, 대법원은 갑의 주장이 맞다고 판결했습니다. 을 회사 기계가 갑의 특허와 일부 다르지만, 핵심적인 기술 원리는 같고 그 차이는 업계에서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이기 때문입니다.

#특허침해#김 자동 절단 장치#과제 해결원리#균등론

특허판례

구이김 자르고 담는 기계, 특허 침해일까? 특허권리범위 속부 판단 기준 살펴보기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의 구성요소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과제 해결 원리가 동일**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며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특허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 침해#균등론#과제 해결 원리#작용효과

민사판례

냄비 손잡이 특허, 베끼면 안될까? 균등침해의 함정

특허 침해 소송에서, 유사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지 않은 제품이 특허를 침해하는지(균등침해) 판단할 때, 단순히 구성 요소의 유사성만 볼 것이 아니라, 특허의 핵심 기술 사상과 작용 효과가 동일한지, 그리고 그 차이가 업계 전문가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인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특허의 핵심 기술 사상이 이미 알려진 기술이라면, 개별 구성 요소의 기능과 역할을 비교하여 침해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특허침해#균등침해#판단기준#과제해결원리

특허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론에 대한 설명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비교 대상 제품이 특허의 모든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하지 않더라도, 변경된 부분이 특허의 핵심 원리를 해치지 않고, 전문가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변경이라면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는 판결.

#특허침해#구성요소#치환#변경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청구취지 특정

특허의 일부 구성이 다르더라도 핵심 기술사상이 같고, 그 차이가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침해 금지 소송에서는 사회통념상 침해 대상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만 특정하면 된다.

#특허 균등침해#판단 기준#금지청구#특정

민사판례

단추 감침 기계, 특허 침해일까? 감침 *방법*도 중요해요!

단추 감침 특허는 '감침 장치' 뿐 아니라 '감침 방법'도 포함하는데, 판매된 기계가 특허받은 감침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특허 침해가 아니다.

#특허 침해#방법 특허#장치 특허#단추 감침 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