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1.12

형사판례

나중에 확정된 판결이 이전 판결에 영향을 미칠까?

오늘은 형사 재판에서 여러 범죄가 있을 때, 나중에 확정된 판결이 이전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핵심은 원심 판결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사기죄로 재판을 받았습니다.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했지만, 항소심에서도 기각되었습니다. 그런데 항소심 판결 이후, 피고인의 다른 범죄에 대해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되었습니다. 이에 피고인은 이전 판결에서 형법 제39조 제1항(경합범 감경)을 적용하지 않은 것은 위법하며, 나중에 확정된 판결로 인해 이전 판결을 파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상고심은 원심 판결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상고심은 원심 판결 당시의 법령과 사실관계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따라서 원심 판결 이후에 다른 범죄의 판결이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원심 판결 당시에는 그 사실을 알 수 없었으므로 이를 근거로 원심 판결을 위법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1호 -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법률 위반)

  1. '형의 변경'은 법령 개정을 의미한다.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2호(판결 후 형의 폐지나 변경)는 법령의 개정으로 형이 폐지되거나 변경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단순히 형을 감경할 수 있는 사유가 새롭게 발생한 경우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에게 형을 감경할 수 있는 다른 범죄의 판결 확정은 법령 개정이 아니므로,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2호에도 해당하지 않습니다.

  1. 형법 제39조 제1항 개정 이후의 판결

이 사건에서는 형법 제39조 제1항(경합범 감경)이 개정된 이후에 원심 판결이 선고되었습니다. 따라서 원심 판결 당시에는 이미 개정된 법률이 적용되었으므로, 피고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9조 제1항 (경합범 감경)
  •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1호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법률 위반)
  •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2호 (판결 후 형의 폐지나 변경)
  • 대법원 1969. 12. 9. 선고 69도1736 판결
  • 대법원 1986. 1. 21. 선고 85도2514 판결

결론

이 판례는 나중에 확정된 다른 범죄의 판결이 이전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상고심은 원심 판결 당시의 법령과 사실관계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여러 사건으로 처벌받을 때, 나중에 확정된 판결이 앞선 사건의 항소심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

한 사람이 여러 범죄를 저질렀는데, 각 범죄가 따로 재판받는 경우, 항소심 진행 중에 다른 사건의 판결이 확정되면 항소심 법원은 이를 경합범으로 보고 다시 판결해야 한다.

#경합범#항소심#확정판결#파기환송

형사판례

상습범과 형법 개정, 판결에 미치는 영향은?

이 판례는 상습범의 일부 범죄에 대해 유죄가 확정된 후, 나머지 범죄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요건과 형법 개정으로 인해 이전 판결을 파기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즉, 모든 범죄 행위가 하나의 상습 범죄로 묶여 처벌받아야 하는데, 그 중 일부가 이미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나머지는 처벌할 수 없다는 원칙과 관련된 판례입니다. 또한, 형법 개정으로 형량 계산 방식이 바뀌면서 이전 판결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상습범#면소#유죄 확정#형법 개정

형사판례

상습절도 재심 판결, 과거 유사 범죄 판결에 영향 안 줘!

상습절도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후 또 절도를 저질렀는데, 이전 판결에 대한 재심이 진행 중이라면 이후 절도 사건의 판결이 이전 사건의 재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쉽게 말해, 이전 절도 사건을 다시 재판할 때 이후 절도 사건 판결에 얽매이지 않고 새롭게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습절도#재심#후행범죄#기판력

형사판례

재심으로 뒤집힌 유죄 판결, 그 후는?

이전 유죄 확정판결을 증거로 사용하여 새로운 유죄 판결을 받았는데, 이후 이전 확정판결에 재심이 인용되어 무죄가 되면 새로운 판결도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

#확정판결#증거#재심#무죄

형사판례

사기죄 판단 시점과 항소심에서의 양형 문제

돈을 빌릴 당시 갚을 능력과 의사가 있었다면, 나중에 상황이 어려워져 갚지 못하게 되더라도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 또한, 항소심에서 형량이 과중하다고 판단하여 1심 판결을 파기했으면서 1심과 같은 형을 선고하는 것은 판결에 모순이 있다.

#사기죄#변제능력#변제의사#항소심

형사판례

선고유예, 아무에게나 해주는 거 아니에요!

이미 금고 이상의 형을 확정받은 사람은 그 이전에 저지른 다른 범죄에 대해서는 선고유예를 받을 수 없다.

#선고유예#전과#금고 이상 형#확정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