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날짜를 미룬 수표, 언제까지 쓸 수 있을까? (선일자수표의 지급제시기간과 소멸시효)

돈 빌려줄 때 현금 대신 수표를 쓰는 경우가 종종 있죠? 그런데 당장 돈이 없어서 나중에 현금화할 수 있도록 수표 발행일을 미래 날짜로 적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수표를 선일자수표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5월 1일) 수표를 발행하면서 발행일을 5월 10일로 적는 것이죠.

그렇다면 이런 선일자수표, 언제까지 쓸 수 있을까요? 지급 제시 기간과 소멸시효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선일자수표는 당장 돈이 없지만 곧 생길 예정이거나, 상대방에게 일정 시간 후에 돈을 지급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그런데 수표에 적힌 날짜와 실제 발행일이 다르기 때문에 지급 제시 기간과 소멸시효 계산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핵심은 수표에 적힌 발행일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수표법 제29조 제4항에서는 수표의 지급 제시 기간인 10일을 계산할 때 "수표에 기재된 발행일"을 기준으로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위의 예시처럼 5월 10일로 발행일이 적힌 수표라면, 5월 10일부터 10일 이내, 즉 5월 20일까지 은행에 제시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대법원 판례(대법원 1982. 4. 13. 선고 81다1000 판결)도 있습니다. 이 판례에서는 수표에 적힌 발행일과 실제 발행일이 다른 경우, 지급 제시 기간을 계산할 때 수표에 적힌 발행일을 기준으로 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했습니다.

따라서 선일자수표의 경우에도 지급 제시 기간과 소멸시효는 수표에 적힌 발행일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수표에 적힌 날짜를 잘 확인하고 기간 내에 은행에 제시해야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선일자수표, 약속 어기고 미리 현금화하면 어떻게 되나요? 💸

선일자수표는 발행일 이전 현금화 가능하지만, 약속된 날짜 이전 현금화로 부도 발생 시 발행인은 부정수표단속법 처벌 대상이 될 수 있고, 수표 소지인의 약속 위반 시 손해배상 청구 가능하며, 상호 신뢰 및 약속 준수가 중요하다.

#선일자수표#현금화#약속#부도

상담사례

돈 받을 날 미뤘다면? 소멸시효도 미뤄진다!

채권자와 채무자가 돈 받는 날짜를 미루기로 합의하면 소멸시효도 그 새로운 날짜부터 다시 계산된다.

#소멸시효#채권#채무#이행기

형사판례

발행일 백지수표, 언제까지 쓸 수 있을까?

발행일이 비어있는 백지수표의 경우, 백지보충권(수표에 비어있는 내용을 채워넣을 권리)은 언제 소멸되고, 그 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또한, 백지수표에 내용을 언제 채워넣을지에 대해 당사자 간 합의가 가능할까요? 이 판례는 이러한 질문에 답합니다.

#백지수표#백지보충권#소멸시효#기산점

상담사례

수표 발행일, "발행일"이라고 꼭 써야 하나요?

수표에 "발행일"이란 단어 없이 날짜만 적어도("2023.10.27."처럼) 대법원 판례상 유효한 수표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지만, 분쟁 예방을 위해 "발행일 2023.10.27."처럼 명확히 적는 것이 좋다.

#수표#발행일#날짜#유효성

상담사례

수표 유효기간, 헷갈리면 손해! 발행일 함정 피하기!

수표 유효기간은 수표에 적힌 발행일 다음날부터 10일이며, 실제 발행일과 다르더라도 수표상의 발행일을 기준으로 한다.

#수표#유효기간#발행일#10일

형사판례

백지수표, 언제까지 쓸 수 있을까? 발행일 백지수표의 함정

날짜가 비어있는 백지수표를 발행한 후, 수표에 대한 권리가 사라진 뒤에 날짜를 채워 넣어 사용하면 부정수표가 되는가? (아니다)

#백지수표#보충권#소멸시효#부정수표단속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