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억울하게 누명을 쓰는 것만큼 괴로운 일이 또 있을까요? 특히 누군가 고의로 거짓말을 해서 죄 없는 사람을 범죄자로 몰아간다면 그 피해는 상상 이상일 것입니다. 이처럼 타인을 억울하게 처벌받게 하려고 거짓으로 신고하는 범죄를 무고죄라고 합니다. 오늘은 무고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어떤 경우에 무고죄가 성립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무고죄란 무엇일까요?
무고죄는 타인을 형사처분이나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신고하는 범죄입니다 (형법 제156조). 즉, 거짓말로 다른 사람을 곤경에 빠뜨리는 행위를 말합니다. 국가의 형사사법권을 악용하는 범죄이기 때문에 엄하게 처벌됩니다.
2. 나 자신을 거짓으로 고소하면 무고죄일까요? (자기무고)
아닙니다. 스스로 자신을 무고하는 것은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대법원 2008. 10. 23. 선고 2008도4852 판결). 무고죄는 국가의 형사사법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기 자신을 고소하는 행위는 이러한 법익을 침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3. 누군가 시켜서 거짓 고소를 하면 어떻게 될까요? (교사·방조)
시킨 사람과 거짓 고소를 한 사람 모두 처벌받습니다. 다른 사람을 시켜서(교사) 또는 도와서(방조) 무고를 하게 한 경우, 시킨 사람과 실행한 사람 모두 무고죄로 처벌됩니다 (대법원 2008. 10. 23. 선고, 2008도4852 판결). 예를 들어, A가 B에게 C를 거짓으로 고소하라고 시켰고, B가 실제로 C를 거짓 고소했다면 A는 교사범, B는 무고죄의 정범으로 처벌받습니다. A가 B의 거짓 고소를 도왔다면 A는 방조범으로 처벌받습니다. 참고로 '교사'란 범죄 의도가 없는 사람에게 범죄를 하도록 부추기는 행위를, '방조'란 타인의 범죄를 돕는 행위를 말합니다.
4. 상대방이 동의했어도 무고죄일까요? (승낙)
네, 그렇습니다. 설령 고소당하는 사람이 동의했더라도, 거짓 고소를 한 사람은 무고죄로 처벌받습니다 (대법원 2005. 9. 30. 선고, 2005도2712 판결). 무고죄는 국가의 형사사법권을 보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개인 간의 합의로 죄가 성립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5. 공범끼리 서로 거짓 고소하면 어떻게 될까요?
공범 중 한 명이 자신의 범행을 숨기고 다른 공범만 고소한 경우, 고소 내용이 다른 공범의 범행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이기 때문에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대법원 2008. 8. 21. 선고, 2008도3754 판결). 하지만, 자신의 범행을 숨기는 것 외에 다른 공범에게 없는 죄를 뒤집어씌운다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무고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10. 2. 25. 선고, 2009도1302 판결).
무고죄는 억울한 피해자를 만들 뿐만 아니라, 국가의 사법 시스템을 어지럽히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따라서 타인을 고소할 때는 신중하게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법과 원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형사판례
다른 사람을 억울하게 처벌받게 할 목적으로 거짓 신고를 했을 때, 설령 신고 내용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을 알면서도 무시하고 신고했다면 무고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조사를 요청하는 목적이었다거나 자신의 주장이 옳다고 믿는 것만으로는 무고죄를 피할 수 없습니다.
생활법률
타인에게 형사처분이나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신고하는 무고죄는 10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지며, 억울함을 풀려다 오히려 범죄자가 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형사판례
다른 사람을 시켜서 자신에 대한 허위 사실을 신고하도록 하는 경우, 시킨 사람도 무고죄의 교사범 또는 방조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거짓으로 남을 신고했더라도, 신고 내용 자체가 범죄가 아니면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고 당시에는 범죄였지만 나중에 판례가 바뀌어 범죄가 아니게 된 경우에는 무고죄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형사판례
자신도 범죄에 가담했지만, 이를 숨기고 다른 공범만 고소한 경우, 고소 내용이 사실이라면 무고죄로 처벌받지 않는다.
형사판례
여럿이 함께 범죄를 저지른 공범 중 한 사람이 자신의 범행은 숨기고 다른 공범만 고소했더라도, 고소 내용이 허위라면 무고죄가 성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