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할 때 부부가 함께 모은 재산을 나누는 재산분할은 굉장히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런데 남편 명의로 된 재산이 시아버지에게 물려받은 것이라면 어떨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아내는 이혼 소송을 하면서 남편 명의의 땅도 재산분할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남편은 그 땅이 원래 자신의 아버지 소유였던 집을 팔아서 산 것이라며, 아내와는 상관없는 재산이라고 맞섰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아내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비록 그 땅을 사는 데 사용된 돈이 남편 아버지의 집을 판 돈이라고 하더라도, 그 사실만으로는 그 땅이 부부가 함께 이룩한 재산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더 나아가 설령 그 땅이 남편 고유의 재산이라고 하더라도, 아내가 결혼 생활 동안 적극적으로 가사노동을 하고 생활비를 부담하는 등 간접적으로 기여하여 그 재산의 유지에 도움을 준 이상, 재산분할의 대상이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아내의 노력 덕분에 남편은 고유의 재산을 유지할 수 있었고, 그만큼 다른 경제활동에 집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이처럼 부부 일방 명의의 재산이라도 상대방의 기여가 인정된다면 재산분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혼 시 재산분할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사판례
남편 또는 아내가 제3자와 공동으로 소유한 재산이라도 이혼 시 재산분할 대상이 될 수 있다. 단순히 합유라는 형식만으로 재산분할에서 제외할 수 없으며, 실질적인 소유 관계와 부부의 기여도를 고려해야 한다.
상담사례
배우자 명의로 되어있지 않더라도 부부 공동 노력으로 형성된 재산은 이혼 시 재산분할 대상에 포함되어 배우자에게 더 많은 재산분할 금액이 지급될 수 있다.
상담사례
혼인 파탄 후 별거 중 상속받은 재산은 이혼 재산분할 대상이 아니다.
상담사례
시어머니가 증여한 아파트는 원칙적으로 재산분할 대상이 아니지만, 아내가 시어머니 재산 유지·증식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면 기여도만큼 재산분할을 받을 수 있다.
가사판례
이혼할 때 재산을 나누는 기준에 대한 판례입니다. 부부 중 한 사람의 결혼 전 재산이나 혼인 중 생긴 빚도 경우에 따라 재산분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가사판례
이혼 후 재산분할 과정에서, 공동명의로 된 부동산이 제3자의 명의신탁 재산인 것이 밝혀진 경우, 그 부동산에 대한 재산분할금 지급 의무를 강제할 수 없으며, 새롭게 발견된 재산에 대해서는 추가 재산분할 청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