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내 땅 지분에 저당 잡혔는데, 땅 나눠지면 어떻게 되나요? 😰

땅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데, 내 지분에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면? 게다가 그 땅이 나눠진다면 저당권은 어떻게 될까요? 생각만 해도 머리가 복잡해지는 문제죠. 오늘은 이 문제에 대해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땅 지분에 저당권이 설정된 상황에서 땅이 분할되면 어떻게 될까요?

쉽게 설명하면, 저당권은 분할된 땅 전체에 여전히 효력을 미치며, 각각의 분할된 땅에는 원래 지분 비율대로 저당권이 유지됩니다. 마치 그림자처럼 따라다닌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A, B, C 세 사람이 땅을 3분의 1씩 공유하고 있고, A의 지분에 저당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후 이 땅이 세 필지로 나눠졌다면, A의 저당권은 세 필지 모두에 효력을 미치고, 각 필지에는 A의 원래 지분 비율인 3분의 1만큼 저당권이 존속하게 됩니다.

왜 이렇게 되는 걸까요?

이는 대법원 판례에 근거합니다 (대법원 1993. 1. 19. 선고 92다30603 판결 등). 판례는 "부동산의 일부 공유지분에 관하여 저당권이 설정된 후 그 부동산이 분할된 경우, 그 저당권은 분할된 각 부동산 위에 종전의 지분비율대로 존속하고, 분할된 각 부동산은 그 저당권의 공동담보가 된다"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즉, 땅이 나눠지더라도 저당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저당권은 분할된 모든 땅에 효력을 유지하는 것이죠. 분할된 각각의 땅은 저당권에 대해 공동으로 담보 책임을 지게 됩니다.

핵심 정리!

  • 내 땅 지분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땅이 분할되면, 저당권은 분할된 모든 땅에 적용됩니다.
  • 각각의 분할된 땅에는 원래의 지분 비율대로 저당권이 유지됩니다.
  • 분할된 모든 땅은 저당권에 대해 공동으로 담보 책임을 집니다.

이처럼 부동산 지분과 저당권, 그리고 땅 분할은 복잡한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적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토지 공유지분에 설정된 근저당권, 땅 분할 후 어떻게 될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땅을 소유하면서 각자 사용할 부분을 정해놓은 경우, 그중 한 사람 몫에 대한 근저당이 설정된 후 땅이 각자 소유로 분할되더라도, 근저당은 원래 지분 비율대로 분할된 모든 땅에 효력이 미치며, 근저당 설정자의 단독 소유 땅에만 효력이 집중되지 않는다.

#공유지분#근저당#토지분할#효력범위

상담사례

땅에 저당 잡혔는데, 그 위에 아파트가 올라갔다면? 저당권은 어떻게 될까?

땅에 설정된 저당권은 그 위에 아파트가 건설되어도 소멸되지 않고 각 세대 대지권에 붙어 유지되며, 한 세대 경매 시 저당권자는 대지 지분 가치 한도 내에서 채권 전액을 회수할 수 있다.

#저당권#대지권#공동담보#이시배당

상담사례

아파트 경매, 땅 지분도 내꺼? 저당권은 어떻게 되지?

아파트 경매 낙찰 시, 땅 지분도 함께 취득되며, 기존 땅 지분 저당권은 소멸된다. (단, 예외적인 경우도 있으니 관련 판례 참고)

#아파트 경매#땅 지분#저당권#종물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에 근저당 잡히면 어떻게 될까?

토지 지분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토지가 분할되고 그 위에 집합건물이 지어진 경우, 저당권자는 집합건물 일부가 경매될 때 대지권에 해당하는 금액 전부를 우선 변제받을 수 있다.

#토지지분저당권#분할#집합건물#대지권

상담사례

내 땅인 듯 내 땅 아닌 내 땅 위의 내 집, 법정지상권 이야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인 토지에 공동저당권 설정 후 경매로 소유자가 변경되더라도, 각 공유자는 자신이 사용하던 토지 부분에 대해 법정지상권을 취득하여 건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법정지상권#구분소유적 공유관계#공동소유#저당권

민사판례

땅과 건물 일괄경매, 배당은 어떻게 될까?

땅과 그 위 건물에 함께 저당권이 설정된 후 건물이 새로 지어진 경우, 땅과 새 건물을 일괄 매각할 때 땅값은 건물 사용과 관계없는 온전한 땅값으로 계산해야 하며, 건물 매각대금을 받으려면 정당한 배당 요구가 있어야 한다.

#토지건물 일괄매각#토지매각대금 안분기준#건물매각대금 배당요건#배당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