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내 부주의도 문제지만, 상대방은 고의였는데?! 책임은 어떻게 나눌까요?

길을 걷다가 갑자기 튀어나온 차에 부딪혔습니다. 다행히 크게 다치진 않았지만,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기도 전에 상대방 운전자가 "당신도 핸드폰 보면서 걷고 있었잖아!"라며 오히려 큰소리를 칩니다. 억울하지만, 사실 핸드폰을 보고 있던 건 맞습니다. 이런 경우, 상대방이 고의로 사고를 낸 것 같은데, 제 부주의 때문에 책임을 덜 지게 되는 걸까요?

상대방의 행위가 고의적인 불법행위였다고 해서 무조건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판례에 따르면, 고의적인 불법행위의 경우에도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면, 상황에 따라 책임을 나눌 수 있습니다. 핵심은 '공평의 원칙'입니다.

대법원은 고의에 의한 불법행위라도 피해자가 얻은 이익이 없고, 책임을 제한하더라도 가해자가 불법행위로 인한 이익을 부당하게 갖는 것이 아니라면, 과실상계와 공평의 원칙에 따라 책임을 제한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2016. 4. 12. 선고 2013다31137 판결).

쉽게 풀어 설명하자면, 가해자가 고의로 불법행위를 저질렀더라도, 피해자의 부주의가 사고 발생이나 손해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면, 피해자의 과실만큼 책임을 줄여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단, 이때 가해자가 불법행위로 인해 부당한 이득을 취해서는 안 됩니다.

위의 예시로 돌아가 볼까요? 운전자가 고의로 차를 몰아 사람을 쳤지만, 보행자가 핸드폰을 보며 걷다가 사고가 난 경우, 보행자의 부주의가 사고 발생이나 손해 확대에 일부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운전자의 고의적인 행위를 인정하면서도, 보행자의 과실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책임을 일부 제한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 사건의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과실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판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부주의, 남의 고의… 모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타인의 부주의를 악용한 고의적 불법행위자는 책임 회피가 불가능하지만, 다른 공동불법행위자는 피해자의 부주의를 근거로 과실상계를 주장할 수 있다.

#공동불법행위#부주의#고의#과실상계

상담사례

내 잘못도 있는데, 상대방이 가만히 있으면 배상 안 받아도 되나요? 🤔

교통사고에서 상대방이 내 과실을 지적하지 않더라도 법원은 증거를 통해 양측 과실을 판단하므로, 내 잘못이 있다면 인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유 advantageous.

#교통사고#과실비율#배상책임#증거자료

민사판례

자동차전용도로 무단횡단 사고, 피해자 과실 비율은?

야간에 차량 통행이 빈번한 자동차전용도로를 무단횡단하다 사고를 당한 경우, 피해자의 과실이 운전자보다 훨씬 크게 인정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전용도로#무단횡단#야간사고#과실비율

상담사례

경찰 부른데 또 사고가 났어요! 제 잘못도 있나요? 😥

경찰 신고 후 설명 미숙으로 추가 사고 발생 시, 설명 부족이 과실로 작용하여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경찰#사고#과실상계#손해배상

민사판례

내 차에 타고 있었는데, 내가 고른 운전자 때문에 사고가 났다면?

차량 소유주가 자신의 차에 동승 중, 본인이 지정한 운전자의 과실로 사고가 났을 경우, 소유주의 손해배상액 산정 시 운전자의 과실을 참작해야 한다.

#차량 소유주 동승#운전자 과실 참작#손해배상#무상동승자

상담사례

아들의 친구와 교통사고, 제 책임인가요? 😰

아들이 무단으로 차를 운전해 친구를 다치게 한 사고에서, 차주인 부모는 차량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을 일부 부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사고 경위 파악, 관련 자료 수집, 보험사 상담 등을 통해 적절히 대처해야 한다.

#미성년자 무단운전#교통사고#손해배상#차량 소유자 책임